Content

  • Part I. Bad vis
    • 3 step framework
    • 왜 bad vis 인가?  
  • Part II. Good vis
    • 어떤 점이 나아졌는가?

Part I. Bad vis

그래프 소개

3 step framework

  • (Data) What
    • 구조조정 대상이 될 수 있는 직원 유형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백분율)
  • (Task) Why
    • 어떤 유형의 직원이 구조조정의 우선 순위 인지 알아보기 위해
  • (Vis Idiom) How
    • 수평 막대 그래프(horizontal bar chart)
    • 막대의 크기, 색, 텍스트(구조조정 대상 유형, %)

왜 bad vis 인가?

1. 5.7%가 52.3%의 절반 정도를 차지함

  • 그래프 상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 하는 것이 52.3% 인데, 가장 적은 비율인 5.7%가 52.3%의 절반정도를 차지하도록 그렸다.

왜 bad vis 인가?

2. 비율 합 90.2%

  • 그래프 상의 비율의 합이 100%가 되지 않는다.

왜 bad vis 인가?

3. 부적절한 색 사용

  • 막대의 색깔을 보면, 유형별로 다른 색이 아니라 %별로 다른 색이다.

Part II. Good vis

Good Vis

어떤 점이 나아졌는가?

1. 그래프의 비율

  • 5%에 대한 막대 크기가 52.3%의 절반이 되는 부분 수정

어떤 점이 나아졌는가?

2. 그래프의 비율 합

  • 그래프 비율의 합이 100%가 되지 않는 부분 수정
    • 9.8% 에 대한 항목을 알 수 없어 기타 로 설정

어떤 점이 나아졌는가?

3. 막대 그래프 색

  • 막대의 색을 유형 별로 나눔

느낀점

  • 기사를 찾아보는데, 생각보다 그래프 비율에 대한 문제가 굉장히 많았음

  • 비율을 지켜서 그리는 것은 당연히 기본적으로 갖춰져야할 사항이라고 생각하는데,
    그렇지 않은 그래프들이 많아서 이러한 문제에 대해 비판적으로 봐야할 필요성을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