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 Black을 잘못 표시한 사람들

랜덤화출석부에 있는 Red, Black 과 실제 구글예습퀴즈에 올린 Red, Black 이 다른 사람들이 있어서 파악해 보았습니다. 랜덤화 효과를 논하기에는 아주 적은 인원이 관찰되었습니다. Red를 Black 이라고 한 사람의 수효(3명)만 관찰되었습니다. 굳이 학번까지 올린 이유는 그 다음 구글예습퀴즈부터라도 제대로 올려주길 바라서입니다.

학번 랜덤화출석부 구글예습퀴즈
20182627 Black Red
20183718 Black Red
20222945 Black Red
  Red(구글예습퀴즈) Black(구글예습퀴즈)
Red(랜덤화출석부) 480 0
Black(랜덤화출석부) 3 484

퀴즈 응답

BFI 줄 긋기

몇 개나 맞추나?

  0 1 2 3 5
Red 13 35 30 65 340 483
Black 22 45 31 49 337 484
35 80 61 114 677 967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5.839 NA 0.2139

몇 개나 맞추나? (%)

0 1 2 3 5
3.6 8.3 6.3 11.8 70.0 100.0

맞힌 갯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각각 4.1, 1.5 으로 완전히 랜덤하게 골랐을 때의 기대값과 표준편차인 1, 1과 매우 어긋난다.

다중지능 짝 짓기

몇 개나 맞추나?

  0 1 2 3 4 5 6 8
Red 15 10 8 6 17 20 96 311 483
Black 35 14 11 7 10 15 106 286 484
50 24 19 13 27 35 202 597 967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13.29 NA 0.06547

몇 개나 맞추나? (%)

0 1 2 3 4 5 6 8
5.2 2.5 2.0 1.3 2.8 3.6 20.9 61.7 100.0

맞힌 갯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각각 6.6, 2.3 으로 완전히 랜덤하게 골랐을 때의 기대값과 표준편차인 1, 1과 매우 어긋난다.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점

자기성찰지능의 중요성

  언어 논리수학 인간친화 자기성찰 자연친화
Red 33 15 33 401 1 483
Black 39 13 57 372 3 484
72 28 90 773 4 967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9.13 NA 0.04948 *

자기성찰지능 (%)

언어 논리수학 인간친화 자기성찰 자연친화
7.45 2.90 9.31 79.94 0.41 100.00

Framing Effect

실업률과 취업률

실업률이 10%인 것과 취업률이 90%인 것은 같은 내용임에도 인플레이션과 연계하였울 때 반응이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였는데, 모처럼 기대한 대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습니다. 실업률 프레임에서는 실업률이 낮은 쪽에, 취업률 프레임에서는 인플레이션이 낮은 쪽을 고르는 경향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 대로 관찰값이 나왔습니다.

집계결과

  실업률10%(취업률90%), 인플레이션 12% 실업률5%(취업률95%), 인플레이션 17%
실업률 프레임 253 230 483
취업률 프레임 299 185 484
552 415 967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Yates’ continuity correction: .
Test statistic df P value
8.333 1 0.003894 * *

% 비교.

  실업률10%(취업률90%), 인플레이션 12% 실업률5%(취업률95%), 인플레이션 17%
실업률 프레임 52.4 47.6 100.0
취업률 프레임 61.8 38.2 100.0

Mosaic Plot

일 단위 마감 시간으로부터 제출 시간의 분포

일 단위
  [0,1] (1,2] (2,3] (3,4] (4,5] (5,6] (6,7] (7,8] (8,9] (9,10] (10,11] (11,12] (12,13] (13,14]
Red 149 46 19 22 20 20 18 31 15 11 16 22 33 61
Black 170 36 30 12 15 18 17 34 16 11 15 22 25 63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10.2 13 0.67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