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소개

김도윤: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1학년, 환경이나 차별 등 사회문제에 관심이 있고 여러 자료들을 정리해 놓는 것을 좋아합니다.

김도현: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1학년, 게임 제작과 프로그래밍에 관심이 있습니다.

서민규: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1학년, 프로그래밍, 정보보안 및 정보격차 등의 사회문제 분야에 관심이 있습니다.

장채은: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1학년, 데이터베이스에 관심이 있습니다.

프로젝트 배경/목적

학교 수업 시간에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보고서를 작성하던 중 환경오염과 관련한 다양한 문제들을 보게 되었고, 그 중에서도 쓰레기 무단 투기에 관련된 문제점에 가장 관심을 느껴 시작하게 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쓰레기 무단 투기 문제에서 CCTV 와 단속 건수가 관련이 있는지 알아본 후, 그것을 토대로 지역 내 쓰레기 관리의 증대가 필요한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리포트 개요

2021년기준 서울특별시 자치구별 CCTV 설치 개수와 쓰레기 무단 투기 단속 건수와 사이에 관계성이 있는지 인구수, 자치구별 면적, 서울시 용도지역 현황을 이용하여 알아본다.

##프로젝트에 사용된 데이터 소개

##변수명의 정의

##데이터 분석

##결론

수집한 데이터를 시각화 하였을때 CCTV의 설치개수와 쓰레기 무단 투기 단속 건수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이점을 미루어 보아 사람들이 CCTV를 의식하지 않고 쓰레기를 무단투기 하고 CCTV보다는 사람들이 무단투기를 하는 다른 이유가 있다고 생각할수 있을것 같다. 조사 및 분석의 한계점은 모은 자료에서 쓰레기 무단투기 단속 건수가 실제와 다를 수 있다는 것과 CCTV 설치 개수 만 보았기 때문에 쓰레기 무단 투기단속을 위한 CCTV가 아닐수 있다는 것 서울시의 인구수만을 고려했기 때문에 관광객은 고려되지 않은 것 등이 있었다.

##For the study

지금까지 해서 얻은 결론을 이용해서 다음에는 CCTV가 아닌 무단투기의 원인이라고 생각되는 것과 무단투기 건수를 시각화 하여서 비교해보고 싶다. 예를 들어 무단 투기의 이유와 관련된 기사를 보면 벌금이 적어서, 배출방법을 몰라서, 종량제 봉투의 가격이 비싸져서가 꽤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것과 관련지어 자치구별 혹은 나라별로 나누어서 벌금에 따른 무단투기 건수 라던지 종량제 봉투 가격에 따른 무단투기 건수들을 알아 보면 더 좋은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을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