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칭 모델 카이제곱 적합도 테스트
랜덤하게 골랐다면, 각각의 확률은 9/24, 8/24, 6/24, 1/24임. 응답인원
154명을 각 확률에 곱해서 기대돗수를 구해보면,
Expected Frequency
58 |
51 |
38 |
6 |
Chi-squared test for given probabilities:
table(matching.score)
910 |
3 |
5.863e-197 * * * |
Framing Effects
인플레이션과 일자리 정책 패키지
Red

Black

실업률이 10%인 것과 취업률이 90%인 것이 동등함에도 불구하고, 실업률과
인플레가 나오면 실업률이 낮아지는 정책을 선호하고 취업률과 인플레가
나오면 인플레가 낮아지는 정책을 선호함에 유의.
Framing Effect
Red(실업률 관점) |
35 |
42 |
13 |
Black(취업률 관점) |
50 |
32 |
8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Yates’ continuity correction:
tbl.q3[1:2, 1:2]
3.246 |
1 |
0.07158 |
% 비교.
Red(실업률 관점) |
45.5 |
54.5 |
100 |
Black(취업률 관점) |
61 |
39 |
100 |
화폐 착각
인플레이션과 임금인상
Red

Black

인플레 없이 7%를 삭감하는 것과 12% 인플레 상황에서 5%임금 인상은
동등한 조건인데도 ’임금인상’이라는 말에 ’수용가능하다’는 응답 비율이
늘어남에 유의.
화폐 착각
Red(인플레0%, 임금삭감7%) |
33 |
45 |
12 |
Black(인플레12%, 임금인상5%) |
47 |
35 |
8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Yates’ continuity correction:
tbl.q4[1:2, 1:2]
3.027 |
1 |
0.08189 |
% 비교.
Red(인플레0%, 임금삭감7%) |
42.3 |
57.7 |
100 |
Black(인플레12%, 임금인상5%) |
57.3 |
42.7 |
1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