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 Black을 잘못 표시한 사람들

랜덤화출석부에 있는 Red, Black 과 실제 구글예습퀴즈에 올린 Red, Black 이 다른 사람들이 있어서 파악해 보았습니다. 랜덤화 효과는 여기서도 작동하고 있는 걸 알 수 있습니다. Red를 Black 이라고 한 사람의 수효(8명)과 Black을 Red 라고 한 사람의 수효(7명)이 비슷합니다 group 을 잘못 기억하고 있는 사람들의 수효조차 Red, Black 에 비슷하게 나뉘었습니다. 굳이 학번까지 올린 이유는 그 다음 구글예습퀴즈부터라도 제대로 올려주길 바라서입니다.

학번 랜덤화출석부 구글예습퀴즈
20171216 Black Red
20183719 Red Black
20196413 Red Black
20201712 Red Black
20226132 Black Red
  Red(구글예습퀴즈) Black(구글예습퀴즈)
Red(랜덤화출석부) 483 3
Black(랜덤화출석부) 2 485

퀴즈 응답 비교

Q1. Wilkinson

소득불평등과 건강 및 사회문제 지표

  소득불평등이 심한 나라에서 건강 및 사회문제지수가 나쁘게 나온다. 소득이 많은 나라에서 건강 및 사회문제지수가 나쁘게 나온다. 소득불평등이 심하면 건강 및 사회문제지수가 나빠진다. 소득이 많아지면 건강 및 사회문제지수가 나빠진다.
Red 367 40 73 5 485
Black 346 52 76 14 488
713 92 149 19 973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6.498 3 0.08974

소득불평등과 건강 및 사회문제 지표 (%)

소득불평등이 심한 나라에서 건강 및 사회문제지수가 나쁘게 나온다. 소득이 많은 나라에서 건강 및 사회문제지수가 나쁘게 나온다. 소득불평등이 심하면 건강 및 사회문제지수가 나빠진다. 소득이 많아지면 건강 및 사회문제지수가 나빠진다.
73.3 9.5 15.3 2.0 100.0

Q2. 소득 상위1%의 몫과 시대적 사건들

대공황. 대번영, 대침체

  대공황, 대침체, 대번영 대침체, 대공황, 대번영 대번영, 대공황, 대침체 대공황, 대번영, 대침체
Red 65 43 52 325 485
Black 73 50 58 307 488
138 93 110 632 973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1.821 3 0.6103

대공황. 대번영, 대침체(%)

대공황, 대침체, 대번영 대침체, 대공황, 대번영 대번영, 대공황, 대침체 대공황, 대번영, 대침체
14.2 9.6 11.3 65.0 100.0

Q3. 1944년 미국의 최고소득세율

최고소득세율 94%

  7.0% 35% 70% 94%
Red 29 80 82 294 485
Black 37 92 79 280 488
66 172 161 574 973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2.195 3 0.5329

최고소득세율 94% (%)

7.0% 35% 70% 94%
6.8 17.7 16.5 59.0 100.0

Q4. 1993 ~ 2012 미국 소득증가 집단별 비교

천지비

  지천태 천지비 풍뢰익 산택손
Red 47 335 66 37 485
Black 58 333 54 43 488
105 668 120 80 973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2.799 3 0.4236

천지비(%)

지천태 천지비 풍뢰익 산택손
10.8 68.7 12.3 8.2 100.0

Q5. 최고세율과 상위1% 소득점유율

완전히 반대로 움직임

  최고소득세율이 높을 때 상위1%의 소득점유율도 높다. 최고소득세율이 낮을 때 상위1%의 소득점유율도 낮다. 최고소득세율이 높을 때 상위1%의 소득점유율은 낮다. 최고소득세율이 높아지면 상위1%의 소득점유율은 낮아진다.
Red 48 59 325 53 485
Black 44 56 311 77 488
92 115 636 130 973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4.982 3 0.1731

완전히 반대로 움직임 (%)

최고소득세율이 높을 때 상위1%의 소득점유율도 높다. 최고소득세율이 낮을 때 상위1%의 소득점유율도 낮다. 최고소득세율이 높을 때 상위1%의 소득점유율은 낮다. 최고소득세율이 높아지면 상위1%의 소득점유율은 낮아진다.
9.5 11.8 65.4 13.4 100.0

Q6. 소득10분위 가계 동향

낙수효과?

  있다. 없다. 있는 듯하다. 소득계층별로 다르다.
Red 73 201 85 126 485
Black 77 197 89 125 488
150 398 174 251 973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0.2336 3 0.972

낙수효과? (%)

있다. 없다. 있는 듯하다. 소득계층별로 다르다.
15.4 40.9 17.9 25.8 100.0

Q7. Prospect Theory

이득과 손실

이득은 완전히 하고, 손실은 피하고자 하는 경향 확인. Red는 이득을 완전히 확보하려는 게임(A)에, Black은 손실을 확률적으로 피하려는 게임(B)을 많이 선택.

집계

  확률 100% 확률 90%
이득 게임 385 100 485
손실 게임 166 322 488
551 422 973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Yates’ continuity correction: .
Test statistic df P value
202 1 7.722e-46 * * *

Mosaic Plot

% 비교.

  확률 100% 확률 90%
이득 게임 79.4 20.6 100.0
손실 게임 34.0 66.0 100.0

일 단위 마감 시간으로부터 제출 시간의 분포

일 단위
  [0,1] (1,2] (2,3] (3,4] (4,5] (5,6] (6,7] (7,8] (8,9] (9,10] (10,11] (11,12] (12,13] (13,14]
Red 173 42 14 20 16 15 16 33 12 23 21 21 30 49
Black 188 41 20 11 14 13 16 35 18 20 23 23 25 41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7.39 13 0.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