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 Black을 잘못 표시한 사람들
랜덤화출석부에 있는 Red, Black 과 실제 구글예습퀴즈에 올린 Red, Black
이 다른 사람들이 있어서 파악해 보았습니다. 랜덤화 효과는 여기서도
작동하고 있는 걸 알 수 있습니다. Red를 Black 이라고 한 사람의
수효(3명)과 Black을 Red 라고 한 사람의 수효(4명)이 비슷합니다 group 을
잘못 기억하고 있는 사람들의 수효조차 Red, Black 에 비슷하게
나뉘었습니다. 굳이 학번까지 올린 이유는 그 다음 구글예습퀴즈부터라도
제대로 올려주길 바라서입니다. 다
20182627 |
Black |
Red |
20183428 |
Red |
Black |
20226110 |
Red |
Black |
20226132 |
Black |
Red |
20226714 |
Red |
Black |
Red(랜덤화출석부) |
493 |
3 |
Black(랜덤화출석부) |
2 |
491 |
퀴즈 응답 비교
Q1. 통계학의 기본원리

공평하게 추출하면 …
Red |
383 |
8 |
5 |
99 |
495 |
Black |
367 |
19 |
11 |
97 |
494 |
계 |
750 |
27 |
16 |
196 |
989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7.092 |
NA |
0.06447 |
Q2. 리터러리 다이제스트의 실패

Selection Bias
Red |
352 |
43 |
87 |
13 |
495 |
Black |
328 |
61 |
90 |
15 |
494 |
계 |
680 |
104 |
177 |
28 |
989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4.155 |
NA |
0.2409 |
Q3. 1948년, 여론조사가 듀이를 당선시킨 해

할당법의 문제점
Red |
52 |
338 |
87 |
18 |
495 |
Black |
52 |
327 |
101 |
14 |
494 |
계 |
104 |
665 |
188 |
32 |
989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1.723 |
NA |
0.6402 |
Q4. 1948 미 대선 이후

확률적 표본추출방법 도입
Red |
372 |
45 |
28 |
50 |
495 |
Black |
366 |
45 |
33 |
50 |
494 |
계 |
738 |
90 |
61 |
100 |
989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0.4576 |
NA |
0.937 |
Q5. 표본오차를 반으로 줄이려면?

4배로 늘려야
Red |
128 |
319 |
31 |
17 |
495 |
Black |
133 |
310 |
38 |
13 |
494 |
계 |
261 |
629 |
69 |
30 |
989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1.467 |
NA |
0.6852 |
Q6. 대선 여론조사의 목표모집단?

선거당일 투표하는 유권자 전체
Red |
21 |
114 |
95 |
265 |
495 |
Black |
33 |
119 |
77 |
265 |
494 |
계 |
54 |
233 |
172 |
530 |
989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4.657 |
NA |
0.2024 |
Wason Selection
추상적 표현과 구체적 표현?
같은 내용의 문제를 추상적으로 물어볼 때와 구체적으로 사례를 들어서
물어볼 때의 정답률에 큰 차이가 있음에 유의. Red 집단에게는 추상적 질문을
먼저 던지고, 구체적 사례를 든 질문을 나중에 던졌으며 Black 집단에게는
구체적 사례를 든 질문을 먼저 던지고, 추상적 질문을 나중에 던졌다.
추상적인 질문에 대해서는 매우 낮은 정답률을 보이지만 구체적인 질문에
대해서는 정답률이 훨씬 올라가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추상적인 질문에
쩔쩔매는 것이 정상이다.
Q7. Red에 추상적 문제, Black에 구체적 문제


집계
Wason Selection 1 in Red
Red(추상적 질문) |
86 |
409 |
495 |
Black(구체적 질문) |
292 |
202 |
494 |
계 |
378 |
611 |
989 |
% 비교
Red(추상적 질문) |
17.4 |
82.6 |
100.0 |
Black(구체적 질문) |
59.1 |
40.9 |
100.0 |
Mosaic Plot

Q8. Red에 구체적 문제, Black에 추상적 문제


집계
Wason Selection 1 in Black
Red(구체적 질문) |
271 |
224 |
495 |
Black(추상적 질문) |
66 |
428 |
494 |
계 |
337 |
652 |
989 |
% 비교.
Red(구체적 질문) |
54.7 |
45.3 |
100.0 |
Black(추상적 질문) |
13.4 |
86.6 |
100.0 |
Mosaic Plot

학습 순서의 영향
집계표
구체적 질문을 먼저 학습하고 추상적 질문을 학습하는 것과 추상적 질문을
먼저 학습하고 구체적 질문을 학습하는 방식 중에 어느 것이 더 나은지
비교하였으나 정답 인원이 매우 닮았을 뿐 아니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Wason Selection
Red(추상적 질문 먼저) |
86 |
271 |
357 |
Black(구체적 질문 먼저) |
66 |
292 |
358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Yates’ continuity correction:
.
3.084 |
1 |
0.07906 |
% 비교
이 표는 추상적 질문에 대한 Red, Black 간 정답률 차이와 구체적 질문에
대한 Red, Black 간 정답률 차이를 비교하는 것입니다. 1번효과라기 보다는
학습 순서가 정답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려는 것인데, 관찰된 숫자
상으로는 약간의 차이가 있어 보이지만 p-value 가 얘기해 주듯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닙니다.
Wason Selection
Red(추상적 질문 먼저) |
56.6 |
48.1 |
Black(구체적 질문 먼저) |
43.4 |
51.9 |
계 |
100.0 |
100.0 |

합산
집계표
실험에 참여한 어느 누구나 추상적 문제와 구체적 문제를 한 번씩 풀게
됩니다.학습 순서의 영향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니까 추상적 문제의
정답률과 구체적 문제의 정답률을 합쳐서 비교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추상적 문제 |
152 |
837 |
989 |
구체적 문제 |
563 |
426 |
989 |
% 비교
추상적 문제 |
15.4 |
84.6 |
100.0 |
구체적 문제 |
56.9 |
43.1 |
100.0 |
Barplot

일 단위 마감 시간으로부터 제출 시간의 분포
일 단위
Red |
132 |
32 |
23 |
15 |
19 |
12 |
15 |
37 |
15 |
21 |
24 |
44 |
55 |
51 |
Black |
137 |
27 |
29 |
19 |
19 |
16 |
15 |
38 |
23 |
21 |
25 |
38 |
43 |
44 |
Pearson’s Chi-squared test: .
6.392 |
13 |
0.93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