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 Black을 잘못 표시한 사람들

랜덤화출석부에 있는 Red, Black 과 실제 구글예습퀴즈에 올린 Red, Black 이 다른 사람들이 있어서 파악해 보았습니다. 잘못 선택하는 사람들의 수효가 8명인데 Black 에서 7명이 나왔습니다. 인원이 많이 줄어서 상당히 차이가 나 보이지만 p-value가 0.07로 여전히 랜덤화 효과로 설명이 되는 수준입니다. 굳이 학번을 올린 이유는 그 다음 구글예습퀴즈부터라도 제대로 올려주길 바라서입니다.

학번 랜덤화출석부 구글예습퀴즈
20182883 Black Red
20203320 Black Red
20214150 Black Red
20221056 Black Red
20225238 Black Red
20226132 Black Red
20226212 Red Black
20226284 Black Red
  Red(구글예습퀴즈) Black(구글예습퀴즈)
Red(랜덤화출석부) 500 1
Black(랜덤화출석부) 7 494

응답 결과

Q1. 한글의 문자 유형

민주 문자, 엘리트 문자

한글은 민주 문자

  민주 문자 엘리트 문자
Red 473 34 507
Black 464 31 495
937 65 1002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0.08121 NA 0.7926

한글은 민주 문자(%)

민주 문자 엘리트 문자
93.5 6.5 100.0

Q2. 정보혁명과 문자 체계

정보혁명을 이끄는 문자는 한글(집계표)

  한자 한글
Red 45 462 507
Black 44 451 495
89 913 1002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5.351e-05 NA 1

정보혁명을 이끄는 문자는 한글(%)

한자 한글
8.9 91.1 100.0

Q3. 알기 힘든 전문 용어

몇 개나 아나요?(집계표)

  하나도 없다 1개 2개 3개 4개
Red 328 102 44 13 20 507
Black 319 97 49 17 13 495
647 199 93 30 33 1002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2.394 NA 0.6812

몇 개나 아나요?(%)

하나도 없다 1개 2개 3개 4개
64.6 19.9 9.3 3.0 3.3 100.0

Q4. 해방직후 비문해율

집계

  90% 80% 50% 20% 10%
Red 30 363 58 43 13 507
Black 25 340 58 56 16 495
55 703 116 99 29 1002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3.081 NA 0.5612

%

90% 80% 50% 20% 10%
5.5 70.2 11.6 9.9 2.9 100.0

Q5. 세대간 문해력 격차

집계

  대한민국 영국 이탈리아 미국
Red 397 28 46 36 507
Black 354 27 69 45 495
751 55 115 81 1002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7.938 NA 0.04798 *

%

대한민국 영국 이탈리아 미국
75.0 5.5 11.5 8.1 100.0

Q6. 문해력 격차의 파급효과

집계

  60% 낮은 임금 실직 가능성 나쁜 건강 활동 불참 덜 신뢰
Red 237 53 130 39 48 507
Black 227 52 131 43 42 495
464 105 261 82 90 1002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0.6804 4 0.9537

%

60% 낮은 임금 실직 가능성 나쁜 건강 활동 불참 덜 신뢰
46.3 10.5 26.0 8.2 9.0 100.0

一切唯心造(일체유심조)

Q7. 단어의 영향

Red

Black

똑같은 상황에서 긍정적인 단어를 보고 답하는 것 (Red)과, 부정적인 단어를 보고 답하는 것(Black)에 따라 Red 집단에는 긍정적 답변의 비율이 높게, Black 집단에는 부정적 답변의 비율이 높게 나올 것으로 기대한 대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가 관찰됨. 힘든 상황이라도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길~~^^

  반이나 반밖에 모름/기타
Red(긍정적 단어) 407 82 18 507
Black(부정적 단어) 137 328 30 495
544 410 48 1002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284.5 NA 0.0004998 * * *

% 비교.

  반이나 반밖에 모름/무응답
Red(긍정적 단어) 80.3 16.2 3.6 100.0
Black(부정적 단어) 27.7 66.3 6.1 100.0

% 합계

반이나 반밖에 모름/무응답
54.3 40.9 4.8 100.0

Mosaic Plot

제출 시간의 분포

과제 제출이 제출 기간 마지막 날에 몰린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싶어서 하나 추가하였습니다. 6주차에 접어들어가는 시점에서 마지막 날에 몰리는 현상이 뚜럇해지고 있습니다. 여기서조차 랜덤화 효과를 관찰할 수 있네요. p-value 에 유의해 주세요. 제출시간과 관련한 두 가지 현상에 대해서도 여러분의 생각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첫째, 랜덤화 효과. 둘쨰, 마감날에 몰리는 현상.

일 단위 마감 시간으로부터 제출 시간의 분포

일 단위
  [0,1] (1,2] (2,3] (3,4] (4,5] (5,6] (6,7] (7,8] (8,9] (9,10] (10,11] (11,12] (12,13] (13,14]
Red 160 51 25 19 15 13 22 25 19 22 26 18 42 50
Black 161 46 19 9 16 9 20 41 19 15 25 38 27 50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20.99 13 0.07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