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 Black을 잘못 표시한 사람들
랜덤화출석부에 있는 Red, Black 과 실제 구글예습퀴즈에 올린 Red, Black
이 다른 사람들이 있어서 파악해 보았습니다. 해당하는 인원이 워낙 적어서
랜덤화 효과를 논할 필요도 없습니다. 세 명이 잘못 선택하였는데 Black 인데
Red 를 선택한 사람이 1명, Red 인데 Black을 선택한 사람이 2명 있었습니다.
굳이 학번까지 올린 이유는 그 다음 구글예습퀴즈부터라도 제대로 올려주길
바라서입니다.
20183403 |
Black |
Red |
20212216 |
Red |
Black |
20221103 |
Red |
Black |
Red(랜덤화출석부) |
505 |
2 |
Black(랜덤화출석부) |
1 |
499 |
퀴즈 응답 비교
Q1. 우리나라 국세와 지방세 배분비율

국세와 지방세
Red |
9 |
327 |
131 |
34 |
5 |
506 |
Black |
14 |
325 |
127 |
33 |
2 |
501 |
계 |
23 |
652 |
258 |
67 |
7 |
1007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2.431 |
NA |
0.6742 |
국세와 지방세(%)
2.3 |
64.7 |
25.6 |
6.7 |
0.7 |
100.0 |
Q2. 공법도입에 대한 대신들의 찬성율

공법도입과 대신들(집계표)
Red |
293 |
79 |
77 |
50 |
7 |
506 |
Black |
297 |
69 |
55 |
68 |
12 |
501 |
계 |
590 |
148 |
132 |
118 |
19 |
1007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8.406 |
NA |
0.08246 |
공법도입과 대신들(%)
58.6 |
14.7 |
13.1 |
11.7 |
1.9 |
100.0 |
Q3. 공법도입과 품관촌민들의 찬반

품관촌민들의 찬반(집계표)
Red |
25 |
381 |
38 |
48 |
14 |
506 |
Black |
38 |
369 |
37 |
43 |
14 |
501 |
계 |
63 |
750 |
75 |
91 |
28 |
1007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3.138 |
NA |
0.5472 |
품관촌민들의 찬반(%)
6.3 |
74.5 |
7.4 |
9.0 |
2.8 |
100.0 |
Q4. 공법

기본세율
Red |
95 |
56 |
338 |
17 |
506 |
Black |
97 |
63 |
325 |
16 |
501 |
계 |
192 |
119 |
663 |
33 |
1007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0.693 |
NA |
0.943 |
Q5. 1423년 조선시대 호구와 인구

호구와 인구
Red |
30 |
375 |
71 |
30 |
506 |
Black |
38 |
344 |
94 |
25 |
501 |
계 |
68 |
719 |
165 |
55 |
1007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5.914 |
NA |
0.1074 |
Q6. 지방관료와 품관촌민

찬반이 반대인 곳(집계표)
Red |
40 |
65 |
68 |
38 |
295 |
506 |
Black |
47 |
58 |
71 |
47 |
278 |
501 |
계 |
87 |
123 |
139 |
85 |
573 |
1007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2.459 |
NA |
0.6467 |
찬반이 반대인 곳(%)
8.6 |
12.2 |
13.8 |
8.4 |
56.9 |
100.0 |
법원 판결과 법적 절차
Q7. 부연설명의 효과
Red

Black

부연설명을 문제가 없다 쪽에 붙이는가(Red), 또는 문제가 있다 쪽에
붙이는가(Black)에 따라 응답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관찰됩니다.. 문제의
유무를 놓고 볼 때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합니다. 그런데
모름/무응답이 왜 이렇게 많은가요?
Red(문제가 없다에 부연설명) |
87 |
128 |
291 |
506 |
Black(문제가 있다에 부연설명) |
58 |
196 |
247 |
501 |
계 |
145 |
324 |
538 |
1007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16.95 |
NA |
0.0004998 * * * |
% 비교
Red(문제가 없다에 부연설명) |
17.2 |
25.3 |
57.5 |
100.0 |
Black(문제가 있다에 부연설명) |
11.6 |
39.1 |
49.3 |
100.0 |
% 합계
두 그룹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기 때문에 합쳐 보는 것이
적절치 않으나 경계에 놓여 있어서 합쳐 봄.
Mosaic Plot

제출 시간의 분포
과제 제출이 제출 기간 마지막 날에 몰린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싶어서 하나 추가하였습니다. 5주차에 접어들어가는 시점에서 마지막 날에
몰리는 현상이 뚜럇해지고 있습니다. 여기서조차 랜덤화 효과를 관찰할 수
있네요. p-value 에 유의해 주세요. 제출시간과 관련한 두 가지 현상에
대해서도 여러분의 생각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첫째, 랜덤화 효과. 둘쨰,
마감날에 몰리는 현상.
일 단위 마감 시간으로부터 제출 시간의 분포
일 단위
Red |
122 |
44 |
24 |
16 |
14 |
25 |
23 |
40 |
17 |
25 |
35 |
33 |
51 |
37 |
Black |
142 |
46 |
17 |
20 |
16 |
12 |
26 |
35 |
21 |
22 |
37 |
36 |
38 |
33 |
Pearson’s Chi-squared test: .
11.32 |
13 |
0.584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