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을 전체 인원이라 할 때, 기대 인원은 \(N\times\{1- (\frac{364}{365})^{N-1}\}\)로 계산된다. 무응답이거나 결석한 학생을 제외한 응답 인원 158명에 대하여 기대인원을 계산하면
## [1] 55.3
Jan | Feb | Mar | Apr | May | Jun | Jul | Aug | Sep | Oct | Nov | Dec | 계 | |
---|---|---|---|---|---|---|---|---|---|---|---|---|---|
Red | 5 | 6 | 5 | 5 | 8 | 8 | 5 | 8 | 9 | 9 | 3 | 4 | 75 |
Black | 5 | 6 | 9 | 6 | 8 | 6 | 7 | 4 | 7 | 9 | 7 | 9 | 83 |
계 | 10 | 12 | 14 | 11 | 16 | 14 | 12 | 12 | 16 | 18 | 10 | 13 | 158 |
Test statistic | df | P value |
---|---|---|
6.571 | NA | 0.8471 |
0 | 1 | 2 | 4 | 계 | |
---|---|---|---|---|---|
Red | 10 | 20 | 13 | 33 | 76 |
Black | 5 | 11 | 14 | 48 | 78 |
계 | 15 | 31 | 27 | 81 | 154 |
랜덤하게 골랐다면, 각각의 확률은 9/24, 8/24, 6/24, 1/24임. 응답인원 150명을 각 확률에 곱해보면,
0 | 1 | 2 | 4 |
---|---|---|---|
56 | 50 | 38 | 6 |
Test statistic | df | P value |
---|---|---|
910 | NA | 0.0004998 * * * |
실업률이 10%인 것과 취업률이 90%인 것이 동등함에도 불구하고, 실업률과 인플레가 나오면 실업률이 낮아지는 정책을 선호하고 취업률과 인플레가 나오면 인플레가 낮아지는 정책을 선호함에 유의.
실업률10%(취업률90%), 인플레12% | 실업률5%(취업률95%), 인플레17% | 결석 | |
---|---|---|---|
Red(실업률 관점) | 35 | 42 | 13 |
Black(취업률 관점) | 50 | 32 | 8 |
Test statistic | df | P value |
---|---|---|
3.246 | 1 | 0.07158 |
실업률10%(취업률90%), 인플레12% | 실업률5%(취업률95%), 인플레17% | 계 | |
---|---|---|---|
Red(실업률 관점) | 45.5 | 54.5 | 100 |
Black(취업률 관점) | 61 | 39 | 100 |
인플레 없이 7%를 삭감하는 것과 12% 인플레 상황에서 5%임금 인상은 동등한 조건인데도 ’임금인상’이라는 말에 ’수용가능하다’는 응답 비율이 늘어남에 유의.
수용가능 | 불공정 | 결석 | |
---|---|---|---|
Red(인플레0%, 임금삭감7%) | 33 | 45 | 12 |
Black(인플레12%, 임금인상5%) | 47 | 35 | 8 |
Test statistic | df | P value |
---|---|---|
3.027 | 1 | 0.08189 |
수용가능 | 불공정 | 계 | |
---|---|---|---|
Red(인플레0%, 임금삭감7%) | 42.3 | 57.7 | 100 |
Black(인플레12%, 임금인상5%) | 57.3 | 42.7 | 1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