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 1 | 2 | 3 | 5 | 계 | |
---|---|---|---|---|---|---|
Red | 9 | 20 | 14 | 29 | 199 | 271 |
Black | 12 | 22 | 14 | 29 | 197 | 274 |
계 | 21 | 42 | 28 | 58 | 396 | 545 |
Test statistic | df | P value |
---|---|---|
0.5174 | NA | 0.974 |
0 | 1 | 2 | 3 | 5 | 계 |
---|---|---|---|---|---|
3.9 | 7.7 | 5.1 | 10.6 | 72.7 | 100.0 |
맞힌 갯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각각 4.1, 1.5 으로 완전히 랜덤하게 골랐을 때의 기대값과 표준편차인 1, 1과 매우 어긋난다.
0 | 1 | 2 | 3 | 4 | 5 | 6 | 8 | 계 | |
---|---|---|---|---|---|---|---|---|---|
Red | 10 | 6 | 8 | 6 | 4 | 8 | 60 | 169 | 271 |
Black | 16 | 5 | 3 | 1 | 11 | 7 | 73 | 158 | 274 |
계 | 26 | 11 | 11 | 7 | 15 | 15 | 133 | 327 | 545 |
Test statistic | df | P value |
---|---|---|
12.28 | NA | 0.09295 |
0 | 1 | 2 | 3 | 4 | 5 | 6 | 8 | 계 |
---|---|---|---|---|---|---|---|---|
4.8 | 2.0 | 2.0 | 1.3 | 2.8 | 2.8 | 24.4 | 60.0 | 100.0 |
맞힌 갯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각각 6.6, 2.2 으로 완전히 랜덤하게 골랐을 때의 기대값과 표준편차인 1, 1과 매우 어긋난다.
언어 | 논리수학 | 인간친화 | 자기성찰 | 자연친화 | 계 | |
---|---|---|---|---|---|---|
Red | 16 | 7 | 21 | 226 | 1 | 271 |
Black | 13 | 8 | 33 | 218 | 2 | 274 |
계 | 29 | 15 | 54 | 444 | 3 | 545 |
Test statistic | df | P value |
---|---|---|
3.505 | NA | 0.5052 |
언어 | 논리수학 | 인간친화 | 자기성찰 | 자연친화 | 계 |
---|---|---|---|---|---|
5.32 | 2.75 | 9.91 | 81.47 | 0.55 | 100.00 |
실업률이 10%인 것과 취업률이 90%인 것은 같은 내용임에도 인플레이션과 연계하였울 때 반응이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였고, 기대한 대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관찰하였습니다. 그러나 실업률 프래임에서는 실업률이 낮은 쪽에, 취업률 프레임에서는 인플레이션이 낮은 쪽을 고르는 경향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그러한 기대와는 다른 결과가 나왔습니다.
실업률10%(취업률90%), 인플레이션 12% | 실업률5%(취업률95%), 인플레이션 17% | 계 | |
---|---|---|---|
실업률 프레임 | 136 | 135 | 271 |
취업률 프레임 | 162 | 112 | 274 |
계 | 298 | 247 | 545 |
Test statistic | df | P value |
---|---|---|
4.04 | 1 | 0.04442 * |
실업률10%(취업률90%), 인플레이션 12% | 실업률5%(취업률95%), 인플레이션 17% | 계 | |
---|---|---|---|
실업률 프레임 | 50.2 | 49.8 | 100.0 |
취업률 프레임 | 59.1 | 40.9 | 1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