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즈 응답 비교

황금기와 신자유주의 시기 소득5분위별 소득증가율

집계

  황금기에 소득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계층은 하위 20%(1분위)이다. 황금기에 소득증가율이 가장 높은 계층은 하위 20%(1분위)이다. 신자유주의시기에 소득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계층은 하위 20%(1분위)이다. 신자유주의시기에 소득증가율이 가장 높은 계층은 하위 20%(1분위)이다.
Red 51 193 15 14 273
Black 55 187 18 13 273
106 380 33 27 546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0.5554 NA 0.906

%

황금기에 소득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계층은 하위 20%(1분위)이다. 황금기에 소득증가율이 가장 높은 계층은 하위 20%(1분위)이다. 신자유주의시기에 소득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계층은 하위 20%(1분위)이다. 신자유주의시기에 소득증가율이 가장 높은 계층은 하위 20%(1분위)이다.
19.4 69.6 6.0 4.9 100.0

최고한계세율과 소득증가율

집계

  최고한계세율이 높았던 시기에 하위 99%의 소득증가율이 상위1%의 소득증가율 보다 높았다. 최고한계세율을 높이면 하위 99%의 소득증가율이 상위1%의 소득증가율보다 높아진다. 최고한계세율이 높았던 시기에 하위 99%의 소득이 상위1%의 소득보다 많았다. 최고한계세율을 높이면 하위 99%의 소득이 상위1%의 소득보다 많아진다.
Red 177 42 42 12 273
Black 171 46 38 18 273
348 88 80 30 546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1.685 NA 0.6537

%

최고한계세율이 높았던 시기에 하위 99%의 소득증가율이 상위1%의 소득증가율 보다 높았다. 최고한계세율을 높이면 하위 99%의 소득증가율이 상위1%의 소득증가율보다 높아진다. 최고한계세율이 높았던 시기에 하위 99%의 소득이 상위1%의 소득보다 많았다. 최고한계세율을 높이면 하위 99%의 소득이 상위1%의 소득보다 많아진다.
63.7 16.1 14.7 5.5 100.0

생산성과 임금

집계

  1948년부터 1973년까지는 생산성과 임금이 함께 상승하였다. 1973년 이후 생산성과 임금이 함께 상승하였다. 1973년 이후 생산성은 70%가 넘는 상승을 보였다. 1973년 이후 임금은 10% 미만의 상승을 보였다.
Red 21 206 33 13 273
Black 28 208 26 11 273
49 414 59 24 546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2.007 NA 0.5657

%

1948년부터 1973년까지는 생산성과 임금이 함께 상승하였다. 1973년 이후 생산성과 임금이 함께 상승하였다. 1973년 이후 생산성은 70%가 넘는 상승을 보였다. 1973년 이후 임금은 10% 미만의 상승을 보였다.
9.0 75.8 10.8 4.4 100.0

생산성과 평균 및 중위임금(1973 ~ 2014)

집계

  생산성향상 만큼 임금 상승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고임금의 상승이 훨씬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 왔다. 임금격차가 점점 커지고 있다. 중산층의 임금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Red 23 43 30 177 273
Black 21 39 24 189 273
44 82 54 366 546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1.346 NA 0.7236

%

생산성향상 만큼 임금 상승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고임금의 상승이 훨씬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 왔다. 임금격차가 점점 커지고 있다. 중산층의 임금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8.1 15.0 9.9 67.0 100.0

LM3

집계

  10억원 20억원 25억원 30억원
Red 15 191 57 10 273
Black 14 198 48 13 273
29 389 105 23 546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1.323 NA 0.7351

%

10억원 20억원 25억원 30억원
5.3 71.2 19.2 4.2 100.0

식량자급률

집계

  100% 75% 50% 25%
Red 12 69 45 147 273
Black 15 76 33 149 273
27 145 78 296 546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2.531 3 0.4697

%

100% 75% 50% 25%
4.9 26.6 14.3 54.2 100.0

국공립대 등록금 국제 비교

이 질문은 기준점이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서 응답이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국공립대학의 등록금이 무상인 나라들을 소개한 Red군에서는 적정 수준이 “무상” 또는 100만원 이라고 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64%로 국공립대학의 등록금이 우리나라보다 높거나 대등한 나라들의 예를 먼저 들고 적정 수준을 물어본 경우(Black)에 “무상” 또는 100만원이라고 응답한 비율인 29.5%보다 월등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500만원 이상을 적정하다고 응답한 비율의 비교도 흥미롭습니다.

국공립대 등록금의 적정 수준 (집계)

  무상 100만원 200만원 500만원 1,000만원
Red(등록금무상국가 소개) 47 129 89 7 1 273
Black(등록금고액국가 소개) 16 53 175 26 3 273
63 182 264 33 4 546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86.94 NA 0.0004998 * * *

국공립대 등록금의 적정 수준 (%)

  무상 100만원 200만원 500만원 1,000만원
Red(등록금무상국가 소개) 17.22 47.25 32.60 2.56 0.37 100.00
Black(등록금고액국가 소개) 5.86 19.41 64.10 9.52 1.10 100.00

국공립대 등록금의 적정 수준 (%)

무상, 100만원 => 100만원 이하, 200만원, 500만원, 1,000만원 => 200만원 이상

  100만원 이하 200만원 이상
Red(등록금무상국가 소개) 64.5 35.5 100.0
Black(등록금고액국가 소개) 25.3 74.7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