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스포드 행복 설문지 실험결과를 분석한다. 이 실험에는 두 가지 목적이
있다. 첫째는 있는 그대로 옥스포드 행복 설문지로 측정하는 여러분의 행복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둘째는 영문판으로 응답할 때와 국문판으로 응답할 때
어떤 차이가 있는지, 특히 응답에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해 보았다.
Data
행복 점수 비교
국문 설문지와 영문 설문지의 행복점수를 비교한다. 행복점수 단계별로
비교했을 때나 기초통계로 비교했을 때나 국문 설문지로 작성한 그룹 (Red)의
행복점수가 높게 나온다. 이는 통계적으로 매우 매우 유의한 수준이다.
summary()
국문:
1.897 |
3.621 |
4.138 |
4.086 |
4.621 |
5.724 |
영문:
2.103 |
3.552 |
3.931 |
3.95 |
4.345 |
5.655 |
table()
국문 |
2 |
17 |
102 |
132 |
27 |
280 |
영문 |
0 |
14 |
136 |
116 |
13 |
279 |
계 |
2 |
31 |
238 |
248 |
40 |
559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11.08 |
NA |
0.01499 * |
0.4 |
5.5 |
42.6 |
44.4 |
7.2 |
100.0 |
geom_boxplot()

t.test()
on means
Welch Two Sample t-test: Scores
by
Group
2.408 |
543.9 |
0.008176 * * |
greater |
4.086 |
3.95 |
소요시간 비교
초 단위로 측정한 소요시간에서는 오전, 오후를 잘못 쓴다거나 시작
시간이 제출 시간보다 늦게 입력한 사람들이 있고, 과도하게 (세 시간) 이상
소요된 것으로 나오는 사람들이 있어서 일일이 찾아서 수정하였고, 세 시간
이상은 사실상 설문지를 작성하다가 다른 일을 하고 다시 돌아와 마치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NA 로 처리하였다. 소요 시간에 있어서도
국문과 영문에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평균적으로 64.7초, 즉 1분 5초정도 국문 질문지에 더 빨리 응답한다.
소요시간의 중위값을 비교해 보면 82 초, 약 1분 22초 만큼 국문 질문지에 더
빨리 응답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다.
summary()
국문:
32 |
140 |
182 |
280.7 |
252.2 |
3689 |
10 |
영문:
33 |
160.5 |
264 |
345.5 |
395.8 |
4107 |
13 |
geom_boxplot()

t.test()
on means
Welch Two Sample t-test: as.numeric(Duration)
by
Group
-2.026 |
532.7 |
0.0433 * |
two.sided |
280.7 |
34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