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즈 응답

BFI 줄 긋기

몇 개나 맞추나?

  0 1 2 3 5
Red 4 9 9 15 100 137
Black 5 7 4 19 101 136
9 16 13 34 201 273

몇 개나 맞추나? (%)

0 1 2 3 5
3.3 5.9 4.8 12.5 73.6 100.0

맞힌 갯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각각 4.2, 1.4 으로 완전히 랜덤하게 골랐을 때의 기대값과 표준편차인 1, 1과 매우 어긋난다.

다중지능 짝 짓기

몇 개나 맞추나?

  0 1 2 3 4 5 6 8
Red 3 2 1 3 2 5 29 92 137
Black 4 1 2 1 3 2 34 89 136
7 3 3 4 5 7 63 181 273

몇 개나 맞추나? (%)

0 1 2 3 4 5 6 8
2.6 1.1 1.1 1.5 1.8 2.6 23.1 66.3 100.0

맞힌 갯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각각 7, 1.8 으로 완전히 랜덤하게 골랐을 때의 기대값과 표준편차인 1, 1과 매우 어긋난다.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점

자기성찰지능의 중요성

  언어 논리수학 인간친화 자기성찰 자연친화
Red 9 3 21 103 1 137
Black 5 3 14 112 2 136
14 6 35 215 3 273

자기성찰지능 (%)

언어 논리수학 인간친화 자기성찰 자연친화
5.1 2.2 12.8 78.8 1.1 100.0

Framing Effect

실업률과 취업률

실업률이 10%인 것과 취업률이 90%인 것은 같은 내용임에도 인플레이션과 연계하였울 때 반응이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였고, 기대와는 달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관찰하지 못하였습니다. 실업률 프래임에서는 실업률이 낮은 쪽에, 취업률 프레임에서는 인플레이션이 낮은 쪽을 고르는 경향이 있다고 알려져 있었습니다만, 이번 학기에는 그렇지 않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집계결과

  실업률10%(취업률90%), 인플레이션 12% 실업률5%(취업률95%), 인플레이션 17%
실업률 프레임 64 73 137
취업률 프레임 66 70 136
130 143 273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Yates’ continuity correction: .
Test statistic df P value
0.032 1 0.858

% 비교.

  실업률10%(취업률90%), 인플레이션 12% 실업률5%(취업률95%), 인플레이션 17%
실업률 프레임 46.7 53.3 100.0
취업률 프레임 48.5 51.5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