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 1 | 2 | 3 | 5 | 계 | |
---|---|---|---|---|---|---|
Red | 2 | 3 | 5 | 6 | 47 | 63 |
Black | 0 | 6 | 2 | 9 | 47 | 64 |
계 | 2 | 9 | 7 | 15 | 94 | 127 |
0 | 1 | 2 | 3 | 5 | 계 |
---|---|---|---|---|---|
1.6 | 7.1 | 5.5 | 11.8 | 74.0 | 100.0 |
맞힌 갯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각각 4.2, 1.4 으로 완전히 랜덤하게 골랐을 때의 기대값과 표준편차인 1, 1과 매우 어긋난다.
0 | 2 | 3 | 4 | 5 | 6 | 8 | 계 | |
---|---|---|---|---|---|---|---|---|
Red | 1 | 0 | 2 | 1 | 1 | 19 | 39 | 63 |
Black | 2 | 1 | 0 | 0 | 0 | 14 | 47 | 64 |
계 | 3 | 1 | 2 | 1 | 1 | 33 | 86 | 127 |
0 | 2 | 3 | 4 | 5 | 6 | 8 | 계 | 계 |
---|---|---|---|---|---|---|---|---|
1.2 | 0.4 | 0.8 | 0.4 | 0.4 | 13.0 | 33.9 | 50.0 | 100.0 |
맞힌 갯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각각 7.1, 1.6 으로 완전히 랜덤하게 골랐을 때의 기대값과 표준편차인 1, 1과 매우 어긋난다.
언어 | 논리수학 | 인간친화 | 자기성찰 | 자연친화 | 계 | |
---|---|---|---|---|---|---|
Red | 6 | 3 | 3 | 50 | 1 | 63 |
Black | 5 | 1 | 7 | 50 | 1 | 64 |
계 | 11 | 4 | 10 | 100 | 2 | 127 |
언어 | 논리수학 | 인간친화 | 자기성찰 | 자연친화 | 계 |
---|---|---|---|---|---|
8.7 | 3.1 | 7.9 | 78.7 | 1.6 | 100.0 |
실업률이 10%인 것과 취업률이 90%인 것은 같은 내용임에도 인플레이션과 연계하였울 때 반응이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였고, 기대한 바와 같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관찰하였습니다. 실업률 프래임에서는 실업률이 낮은 쪽에, 취업률 프레임에서는 인플레이션이 낮은 쪽을 고르는 경향이 두드러집니다.
실업률10%(취업률90%), 인플레이션 12% | 실업률5%(취업률95%), 인플레이션 17% | 계 | |
---|---|---|---|
실업률 프레임 | 27 | 36 | 63 |
취업률 프레임 | 41 | 23 | 64 |
계 | 68 | 59 | 127 |
Test statistic | df | P value |
---|---|---|
4.918 | 1 | 0.02657 * |
실업률10%(취업률90%), 인플레이션 12% | 실업률5%(취업률95%), 인플레이션 17% | 계 | |
---|---|---|---|
실업률 프레임 | 42.9 | 57.1 | 100.0 |
취업률 프레임 | 64.1 | 35.9 | 1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