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월03일 | 03월06일 | 03월07일 | 04월18일 | 04월25일 | 05월02일 | 05월06일 | 06월18일 | 06월21일 | 07월04일 | 07월26일 | 07월27일 | 07월29일 | 09월07일 | 10월24일 | 11월02일 | 11월29일 | 12월29일 | 계 |
|---|---|---|---|---|---|---|---|---|---|---|---|---|---|---|---|---|---|---|
| 2 | 2 | 2 | 2 | 2 | 3 | 2 | 3 | 2 | 2 | 2 | 2 | 2 | 2 | 3 | 2 | 2 | 3 | 40 |
## [1] 18
\(N\)을 전체 인원이라 할 때, 기대 인원은 \(N\times\{1- (\frac{364}{365})^{N-1}\}\), 분산은 \(N\times\{1- (\frac{364}{365})^{N-1}\} + N\times(N-1)\times\{1-(\frac{363}{365})^{N-2}\}\)로 계산된다.
무응답이거나 결석한 학생을 제외한 응답 인원 146명에 대하여 기대인원을 계산하면 47.9명, 표준오차는 6.9명으로 계산되어 관찰된 값이 그 범위에 약긴 못 미침을 알 수 있다.
## [1] 47.9
## [1] 6.9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계 | |
|---|---|---|---|---|---|---|---|---|---|---|---|---|---|
| Red | 4 | 7 | 8 | 5 | 5 | 9 | 7 | 4 | 6 | 8 | 6 | 4 | 73 |
| Black | 6 | 5 | 9 | 8 | 5 | 4 | 8 | 5 | 2 | 7 | 6 | 8 | 73 |
| 계 | 10 | 12 | 17 | 13 | 10 | 13 | 15 | 9 | 8 | 15 | 12 | 12 | 146 |
| Test statistic | df | P value |
|---|---|---|
| 6.985 | NA | 0.8126 |
| Test statistic | df | P value |
|---|---|---|
| 6.384 | 11 | 0.8466 |
| 0개 | 1개 | 2개 | 4개 | 계 | |
|---|---|---|---|---|---|
| Red | 18 | 35 | 12 | 8 | 73 |
| Black | 15 | 40 | 11 | 7 | 73 |
| 계 | 33 | 75 | 23 | 15 | 146 |
랜덤하게 골랐다면, 각각의 확률은 9/24, 8/24, 6/24, 1/24임. 응답인원 146명을 각 확률에 곱해보면 이론적으로 기대되는 인원이 계산된다. 기대값과 표준편차가 다 1이라고 해서 1개 맞추는 사람들이 가장 많은 게 아닙니다.
| 0개 | 1개 | 2개 | 4개 | 계 | |
|---|---|---|---|---|---|
| Observed | 33.0 | 75.0 | 23.0 | 15.0 | 146.0 |
| Expected | 54.8 | 48.7 | 36.5 | 6.1 | 146.0 |
| Difference | -21.8 | 26.3 | -13.5 | 8.9 | 0.0 |
| Test statistic | df | P value |
|---|---|---|
| 40.95 | 3 | 6.694e-09 * * * |
1,200 킬로미터룰 주행한다고 해 보자. ’가’는 120리터에서 100리터로 20리터를 절감하고, ’나’는 40리터에서 30리터 10리터를 절감하게 된다. 따라서 ’가’운전자가 이전보다 더 절감하게 된다.
| 연비 10 => 12 | 연비 30 => 40 | 계 | |
|---|---|---|---|
| Red | 35 | 38 | 73 |
| Black | 27 | 46 | 73 |
| 계 | 62 | 84 | 146 |
| Test statistic | df | P value |
|---|---|---|
| 0 | NA | 1 |
| 연비 10 => 12 | 연비 30 => 40 | 계 |
|---|---|---|
| 42.5 | 57.5 | 100.0 |
인플레 없이 7%를 삭감하는 것과 12% 인플레 상황에서 5%임금 인상은 동등한 조건인데도 ’임금인상’이라는 말에 ’수용가능하다’는 응답 비율이 늘어남에 유의.
| 수용가능 | 불공정 | 계 | |
|---|---|---|---|
| 실업+인플레0%, 임금삭감7% | 37 | 36 | 73 |
| 실업+인플레12%, 임금인상5% | 44 | 29 | 73 |
| 계 | 81 | 65 | 146 |
| Test statistic | df | P value |
|---|---|---|
| 0.9983 | 1 | 0.3177 |
| 수용가능 | 불공정 | 계 | |
|---|---|---|---|
| 실업+인플레0%, 임금삭감7% | 50.7 | 49.3 | 100.0 |
| 실업+인플레12%, 임금인상5% | 60.3 | 39.7 | 1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