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즈 응답

BFI 줄 긋기

몇 개나 맞추나?

  0 1 2 3 5
Red 2 9 13 13 30 67
Black 2 8 8 17 32 67
4 17 21 30 62 134

몇 개나 맞추나? (%)

0 1 2 3 5
3.0 12.7 15.7 22.4 46.3 100.0

맞힌 갯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각각 3.4, 1.6 으로 완전히 랜덤하게 골랐을 때의 기대값과 표준편차인 1, 1과 매우 어긋난다.

다중지능 짝 짓기

몇 개나 맞추나?

  0 1 2 3 4 5 6 8
Red 4 0 4 0 4 5 20 30 67
Black 3 3 2 2 1 5 21 30 67
7 3 6 2 5 10 41 60 134

몇 개나 맞추나? (%)

0 1 2 3 4 5 6 8
5.2 2.2 4.5 1.5 3.7 7.5 30.6 44.8 100.0

맞힌 갯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각각 6.1, 2.3 으로 완전히 랜덤하게 골랐을 때의 기대값과 표준편차인 1, 1과 매우 어긋난다.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점

자기성찰지능의 중요성

  언어 논리수학 인간친화 자기성찰 자연친화
Red 7 3 18 38 1 67
Black 6 3 13 42 3 67
13 6 31 80 4 134

자기성찰지능 (%)

언어 논리수학 인간친화 자기성찰 자연친화
9.7 4.5 23.1 59.7 3.0 100.0

Framing Effect

실업률과 취업률

Red

Black

실업률이 10%인 것과 취업률이 90%인 것은 같은 내용임에도 인플레이션과 연계하였울 때 반응이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였고, 기대한 바와 같이 차이는 관찰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닙니다..

집계결과

  실업률10%(취업률90%), 인플레이션 12% 실업률5%(취업률95%), 인플레이션 17%
실업률 프레임 32 35 67
취업률 프레임 38 29 67
70 64 134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Yates’ continuity correction: .
Test statistic df P value
0.7478 1 0.3872

% 비교.

  실업률10%(취업률90%), 인플레이션 12% 실업률5%(취업률95%), 인플레이션 17%
실업률 프레임 47.8 52.2 100.0
취업률 프레임 56.7 43.3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