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즈 응답 비교

공법

기본세율

  1/10 1/15 1/20 1/30 불참
Red 32 16 21 6 1 76
Black 26 10 29 4 0 69
58 26 50 10 1 145

기본세율(%)

1/10 1/15 1/20 1/30
40.3 18.1 34.7 6.9 100.0

1423년 조선시대 호구와 인구

호구와 인구

  15만호 20만호 44만호 130만호
Red 6 41 23 6 76
Black 10 27 27 5 69
16 68 50 11 145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3.965 NA 0.2769

호구와 인구(%)

15만호 20만호 44만호 130만호
11.0 46.9 34.5 7.6 100.0

지방관료와 품관촌민

찬반이 반대인 곳(집계표)

  경기 평안 전라 경상 충청
Red 11 16 17 8 24 76
Black 17 11 20 2 19 69
28 27 37 10 43 145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6.313 NA 0.1789

찬반이 반대인 곳(%)

경기 평안 전라 경상 충청
19.3 18.6 25.5 6.9 29.7 100.0

성장과 분배

부연설명의 왜곡 효과

Red

Black

단순히 성장 혹은 분배에 대한 의견을 묻는 것과(Red)과 분배의 필요성을 부연설명하고 깉은 문항을 제시할 때(Black) 응답의 차이를 살펴 보았습니다. 표면적으로는 Black 집단에서 소득분배를 중시하는 것으로 나오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닙니다. 경제성장의 필요성을 부연설명으로 Red에 넣었으면 어땠을까 생각해 봅니다만 갤럽의 원래 질문을 그대로 살렸습니다.

집계

  분배보다 성장 성장보다 분배 모름/응답거절
Red(부연설명없음) 24 43 9 76
Black(분배관련 부연설명) 29 35 5 69
53 78 14 145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2.102 2 0.3496

% 비교.

  분배보다 성장 성장보다 분배 모름/응답거절
Red(부연설명없음) 31.6 56.6 11.8 100.0
Black(분배관련 부연설명) 42.0 50.7 7.2 100.0

% 합계

분배보다 성장 성장보다 분배 모름/응답거절
36.6 53.8 9.7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