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 집계

해방직후 비문해율

집계
  90% 80% 50% 20% 10% 결석
Red 7 60 1 2 4 8 82
Black 6 62 1 1 3 9 82
13 122 2 3 7 17 164
%
90% 80% 50% 20% 10%
8.8 83.0 1.4 2.0 4.8 100.0

세대간 문해력 격차

집계
  대한민국 영국 이탈리아 미국 결석
Red 62 1 5 6 8 82
Black 61 3 4 4 10 82
123 4 9 10 18 164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1.492 NA 0.7436
%
대한민국 영국 이탈리아 미국
84.2 2.7 6.2 6.8 100.0

문해력 격차의 파급효과

집계
  60% 낮은 임금 실직 가능성 나쁜 건강 활동 불참 덜 신뢰 결석
Red 23 6 32 6 6 9 82
Black 23 6 23 16 5 9 82
46 12 55 22 11 18 164
%
60% 낮은 임금 실직 가능성 나쁜 건강 활동 불참 덜 신뢰
31.5 8.2 37.7 15.1 7.5 100.0

법안 패스트트랙 처리

부연설명의 위치

Red

Black

부연설명을 찬성 쪽에 붙이는가(Red), 또는 반대 쪽에 붙이는가(Black)에 따라 응답이 달라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됨.

  찬성한다 반대한다 잘 모르겠다 결석
Red(찬성에 부연설명) 39 17 18 8 82
Black(반대에 부연설명) 27 30 16 9 82
66 47 34 17 164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5.769 NA 0.02549 *
% 비교.
  찬성한다 반대한다 잘 모르겠다
Red(찬성에 부연설명) 52.7 23.0 24.3 100.0
Black(반대에 부연설명) 37.0 41.1 21.9 100.0
% 합계
찬성한다 반대한다 잘 모르겠다
44.9 32.0 23.1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