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소가 들어있는 문을 보여줌으로써 다른 문에 자동차가 들어 있을 확률은 2/3로 늘어나므로 바꾸는 것이 적절한 판단임. Red와 Black의 차이는 “바꾼다”와 “고수한다”의 순서를 바꾼 것으로 “바꾼다”를 앞에 놓은 Black 집단에서 바꾼다는 응답이 다소 높게 나왔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님.
고수한다 | 바꾼다 | 결석 | 계 | |
---|---|---|---|---|
Red | 26 | 11 | 3 | 40 |
Black | 24 | 13 | 1 | 38 |
계 | 50 | 24 | 4 | 78 |
Test statistic | df | P value |
---|---|---|
1.196 | NA | 0.6822 |
고수한다 | 바꾼다 | 계 | |
---|---|---|---|
Red | 70.3 | 29.7 | 100.0 |
Black | 64.9 | 35.1 | 100.0 |
고수한다 | 바꾼다 | 계 | |
---|---|---|---|
계 | 67.6 | 32.4 | 100.0 |
소득의 절대값이 아니라 상대 비교가 중요하다는 Solnick and Hemenway(1998)의 연구결과와 일치. 랜덤화하였지만 응답에는 차이가 없음.
내가 남보다 | 남이 나보다 | 결석 | 계 | |
---|---|---|---|---|
Red(‘내가 남보다’ 먼저) | 30 | 7 | 3 | 40 |
Black(‘남이 나보다’ 먼저) | 32 | 5 | 1 | 38 |
계 | 62 | 12 | 4 | 78 |
내가 남보다 | 남이 나보다 | 계 | |
---|---|---|---|
Red(‘내가 남보다’ 먼저) | 81.1 | 18.9 | 100.0 |
Black(‘남이 나보다’ 먼저) | 86.5 | 13.5 | 100.0 |
내가 남보다 | 남이 나보다 | 계 |
---|---|---|
83.8 | 16.2 | 100.0 |
같은 내용의 문제를 추상적으로 물어볼 때와 구체적으로 사례를 들어서 물어볼 때의 정답률에 큰 차이가 있음에 유의. Red 집단에게는 추상적 질문을 먼저 던지고, 구체적 사례를 든 질문을 나중에 던졌으며 Black 집단에게는 구체적 사례를 든 질문을 먼저 던지고, 추상적 질문을 나중에 던졌다. 동일한 질문에 대해서 순서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지만 추상적이냐 구체적이냐에 따른 차이는 매우 높게 관찰된다. 추상적인 질문에 쩔쩔매는 게 정상이다.
정답 | 오답 | 결석 | 계 | |
---|---|---|---|---|
Red(추상적 질문 먼저) | 3 | 34 | 3 | 40 |
Black(구체적 질문 먼저) | 27 | 10 | 1 | 38 |
계 | 30 | 44 | 4 | 78 |
정답 | 오답 | 계 | |
---|---|---|---|
Red(추상적 질문 먼저) | 8.1 | 91.9 | 100.0 |
Black(구체적 질문 먼저) | 73.0 | 27.0 | 100.0 |
정답 | 오답 | 결석 | 계 | |
---|---|---|---|---|
Red(구체적 질문 나중) | 21 | 15 | 4 | 40 |
Black(추상적 질문 나중) | 1 | 36 | 1 | 38 |
계 | 22 | 51 | 5 | 78 |
정답 | 오답 | 계 | |
---|---|---|---|
Red(구체적 질문 나중) | 58.3 | 41.7 | 100.0 |
Black(추상적 질문 나중) | 2.7 | 97.3 | 100.0 |
정답 | 오답 | 결석 | 계 | |
---|---|---|---|---|
Wason 1(추상적 질문) | 4 | 70 | 4 | 78 |
Wason 2(구체적 질문) | 48 | 25 | 5 | 78 |
정답 | 오답 | 계 | |
---|---|---|---|
Wason 1(추상적 질문) | 5.4 | 94.6 | 100.0 |
Wason 2(구체적 질문) | 65.8 | 34.2 | 100.0 |
Cognitive Response Test 의 원형으로 얼핏 10센트라고 하기 쉬우나 (시스템1의 작용) 신중하게 생각하면(시스템2의 작용) 5센트인 것을 알게 됨. 하버드, MIT, 프린스턴 대학 학생의 50% 이상이 직관적 오답을 말했던데 비하여 여러분은 매우 심사숙고함.
5센트 | 10센트 | 결석 | 계 | |
---|---|---|---|---|
Red | 29 | 7 | 4 | 40 |
Black | 28 | 7 | 3 | 38 |
계 | 57 | 14 | 7 | 78 |
5센트 | 10센트 | 계 | |
---|---|---|---|
Red | 80.6 | 19.4 | 100.0 |
Black | 80.0 | 20.0 | 100.0 |
이득은 완전히 하고, 손실은 피하고자 하는 경향 확인. Red는 이득을 완전히 확보하려는 게임(A)에, Black은 손실을 확률적으로 피하려는 게임(B)을 많이 선택.
확률 100% | 확률 90% | 결석 | 계 | |
---|---|---|---|---|
이득 게임 | 28 | 8 | 4 | 40 |
손실 게임 | 10 | 27 | 1 | 38 |
계 | 38 | 35 | 5 | 78 |
확률 100% | 확률 90% | 계 | |
---|---|---|---|
이득 게임 | 77.8 | 22.2 | 100.0 |
손실 게임 | 27.0 | 73.0 | 100.0 |
600명 중 200명이 사는 거나 400명이 죽는 것, 모두 살리는 거나 모두 죽지 않는 것이나 같은 내용임에도 반응이 다르게 나타남에 유의. 손실회피 경향과 같은 현상을 관찰할 수 있음.
확실히 | 확률적으로 | 결석 | 계 | |
---|---|---|---|---|
생존 프레임 | 23 | 13 | 4 | 40 |
사망 프레임 | 15 | 21 | 2 | 38 |
계 | 38 | 34 | 6 | 78 |
Test statistic | df | P value |
---|---|---|
2.731 | 1 | 0.09844 |
확실히 | 확률적으로 | 계 | |
---|---|---|---|
생존 프레임 | 63.9 | 36.1 | 100.0 |
사망 프레임 | 41.7 | 58.3 | 100.0 |
표시하지 않으면 장기 기증의사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경우(Red)와 표시하면 장기 기증의사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경우(Black), 표시하지 않으면 기증 의사가 있다고 보는 질문지에 기증 의사 비율이 더 높게 나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숫자 상으로는 차이가 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닙니다.
있음 | 없음 | 불참 | 결석 | 계 | |
---|---|---|---|---|---|
Red | 23 | 13 | 0 | 4 | 40 |
Black | 20 | 17 | 0 | 1 | 38 |
계 | 43 | 30 | 0 | 5 | 78 |
Test statistic | df | P value |
---|---|---|
0.7873 | 2 | 0.6746 |
있음 | 없음 | 계 | |
---|---|---|---|
Red | 63.9 | 36.1 | 100.0 |
Black | 54.1 | 45.9 | 100.0 |
있음 | 없음 | 계 | |
---|---|---|---|
계 | 58.9 | 41.1 | 1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