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2월 19일
연구 배경
자료 소개
공간 시각화와 그래프
기초 통계량
공간 시각화 및 그래프
분석 결과 요약
활용방안
- 인구주택총조사(최근 5개년도/최근 3년) -> 1인가구
추세 비교
- 인구주택총조사 등록센서스(2017년) -> 1인가구 성별,연령별 비교/강원도 시군별 1인가구 비율
- 인구주택총조사 마이크로데이터(20%표본 가구부문+인구부문) -> 공간시각화와 그래프
=> 사용변수 :가구일련번호,행정구역(시도)코드,
행정구역(시군구)코드,가구원번호,점유형태,
거처의 종류, 세대유형/ 성별,만 나이 (총 9개)
- 지도 : 구글 지도(OpenStreetMap)
<20대> -> 고성군(34.8%)/월세/단독주택
- 20대 1인가구는 대부분 군지역 단위보다는 시지역 단위에서 살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 20대 1인가구는 시군을 가리지 않고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형태는 월세였습니다.
- 20대 1인가구는 압도적으로 단독주택에 사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로 미루어봤을 때는 대부분 자취방을 구해 사는 경우가 많아서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으로 보여집니다.
<30대> -> 정선군(16.5%)/월세/단독주택
- 시군별 30대 중 1인가구의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정선군으로 16.5%였습니다. 그 다음은 춘천시가 13.2%, 원주시,인제군,속초시가 12%대로 보여졌습니다.
- 30대 1인가구는 20대 1인가구와 마찬가지로 월세의 형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보여집니다. 하지만, 20대 1인가구와의 차이점은 전세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입니다.
- 30대 1인가구의 거처는 역시 상당수가 단독주택에서 사는 것으로 확인 되어집니다.그런데, 20대와 달라진 점은 아파트의 비중이 다소 증가했다는 점입니다.
<40대> -> 태백시(16.4%)/월세/단독주택or아파트
- 40대 1인가구의 특징적인 부분은 가장 높은 태백시(16.4%)를 중심으로 그 인접 지역인 삼척시,정선군,영월군까지 타 지역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습니다.
-40대의 1인가구의 점유형태는 이전 2030연령대와 다르게 자가의 형태도 조금 증가한 비중을 차지함과 동시에 다양하게 점유형태가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0대 1인가구의 거처도 이전 연령대와 마찬가지로 단독주택과 아파트가 상당수를 차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0대> -> 태백시(24.5%)/자가/단독주택or아파트
-50대 1인 가구는 지역적으로 봤을 때 영동쪽의 비율이 영서쪽의 비율보다 전반적으로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0대 1인가구는 처음으로 월세의 형태보다 자가의 형태가 더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납니다.
-50대 1인가구는 40대 1인가구와 마찬가지로 단독주택과 아파트에서 거처하는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60대 이상> -> 삼척시(26.0%)/자가/단독주택
-60대 이상의 1인가구는 지역적 특징으로는 50대와 마찬가지로 동남쪽의 지역들이 고성군을 제외한다면 1인가구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겠습니다.
-60대 이상 1인가구는 이전연령대와 다르게 압도적으로 자가의 비율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지역을 가리지 않고 나타났습니다.
-60대 이상 1인 가구의 거처는 단독주택이 가장 많았습니다. 그리고 시단위 지역의 경우에는 군단위 지역보다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조금 더 높았습니다.
Focus - 태백시 40~50대
- 4-50대 중년층: 대체로 이혼자들로서 고등학교 이상 학력자로 경제활동참여율이 높으며, 주요 관심은 건강과 노후준비이고 소득수준 낮을수록 재혼 하지 못하고 1인가구로 남을 확률이 큼 (1인 취약가구 위험분석 및 맞춤형 정책지원 방안 연구,한국보건사회연구원)
=> 타 도시들에 비해 40~50대 1인가구의 무상(관사,사택 등)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Focus - 태백시 40~50대
=> 40~50대 1인가구로의 공공임대주택 우선지원범위 확대
<기사 자료>
<사진 자료>
<참고 자료>
1인 취약가구 위험분석 및 맞춤형 정책지원 방안 연구(최현수 외 9명,2016,한국보건사회연구원)
1인 가구의 인구·경제·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장패턴과 공간분포(이희연 외 2명,2011,대한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