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즈 응답 비교

1948 미 대선 이후

확률적 표본추출방법 도입
  확률적 표본추출 할당법 유선전화번호부 RDD도입 불참 결석
Red 48 5 0 11 1 10 75
Black 47 5 3 10 0 13 78
95 10 3 21 1 23 153
확률적 표본추출방법 도입 … (%)
확률적 표본추출 할당법 유선전화번호부 RDD도입
73.6 7.8 2.3 16.3 100.0

표본오차를 반으로 줄이려면?

4배로 늘려야
  2배로 4배로 1/2로 1/4로 결석
Red 33 23 8 1 10 75
Black 24 30 7 4 13 78
57 53 15 5 23 153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4.212 NA 0.2404
4배로 눌려야 (%)
2배로 4배로 1/2로 1/4로
43.8 40.8 11.5 3.8 100.0

대선 여론조사의 목표모집단?

선거당일 투표하는 유권자 전체
  국민전체 18세 이상 전체 등록유권자 전체 선거 당일 투표 유권자 전체 결석
Red 0 10 22 33 10 75
Black 1 9 24 31 13 78
1 19 46 64 23 153
선거당일 투표하는 유권자 전체(%)
국민전체 18세 이상 전체 등록유권자 전체 선거 당일 투표 유권자 전체
0.77 14.62 35.38 49.23 100.00

개헌안 국민투표 실시 시기

질문지 답 문항 순서의 영향

Red

Black

빠른 시기(지방선거와 동시 실시)가 먼저 나오는지(Red), 늦은 시기 (내년이후 실시)가 먼저 나오는지(Black)에 따라 응답이 달라질 것으로, Red 집단의 빠른 시기 선호비율이 높게, Black 집단의 늦은 시기 선호 비율이 높게 나올 것으로 기대하였고 표면적으로 그렇게 나왔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임. “불참” => “모름/응답거절” 으로 재분류.

  지방선거와 동시에 지방선거 이후 올해에 내년이후 기타 모름/응답거절 결석
Red(빠른 시기 먼저) 21 21 10 2 11 10 75
Black(늦은 시기 먼저) 14 11 19 4 17 13 78
35 32 29 6 28 23 153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6.698 NA 0.03948 *
% 비교.
  지방선거와 동시에 지방선거 이후 올해에 내년이후 기타 모름/응답거절
Red(빠른 시기 먼저) 32.3 32.3 15.4 3.1 16.9 100.0
Black(늦은 시기 먼저) 21.5 16.9 29.2 6.2 26.2 100.0
% 합계
지방선거와 동시에 지방선거 이후 올해에 내년이후 기타 모름/응답거절
26.9 24.6 22.3 4.6 21.5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