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n R Markdown document. Markdown is a simple formatting syntax for authoring HTML, PDF, and MS Word documents. For more details on using R Markdown see http://rmarkdown.rstudio.com.
When you click the Knit button a document will be generated that includes both content as well as the output of any embedded R code chunks within the document. You can embed an R code chunk like this:
summary(cars)
## speed dist
## Min. : 4.0 Min. : 2.00
## 1st Qu.:12.0 1st Qu.: 26.00
## Median :15.0 Median : 36.00
## Mean :15.4 Mean : 42.98
## 3rd Qu.:19.0 3rd Qu.: 56.00
## Max. :25.0 Max. :120.00
You can also embed plots, for example:
Note that the echo = FALSE
parameter was added to the code chunk to prevent printing of the R code that generated the plot.
일반적인 줄바꿈은 엔터입니다. 그런데… 한번 엔터를 넣으면 이렇게 안됩니다.
그래서 엔터를 두번 하거나,(엔터 두번은 문단 바꿈) 바꿀 줄 끝에서 스페이스를 두번 입력합니다.
그러면 세줄에서 편집이 가능합니다.
앞서 봤듯이 볼드체는 별사탕 두개를 씁니다. 이렇게요 볼드체
별사탕 한 개는 이탤릭입니다. 이탤릭
윗 첨자의 경우 ^를 이용합니다. y=ax2
취소건은 틸드를 두개 사용합니다. –취소선–
대쉬와 마이너스는 서로 다릅니다.
마이너스의 경우 키보드의 -를 사용하고, 대쉬의 경우 마이너스 두 개를 붙혀 사용합니다. –(대쉬)
수식의 경우 Tex의 수식표현을 사용합니다. 그리고 수식은 달ㄹ러 표시 사이에 넣습니다.
\(y=ax^2\) $P(A)
수평선 (웹 문서에 종종 등장)의 경우 별사탕 세개만 씁니다
인용문 표기를 위해 부등호를 사용합니다.
어제의 홈련이 오늘의 승리를 가져오지 못한다.
별사탕 혹은 +를 문단ㅇ을 다르게 해서(엔터 두번) 사용
한식 면요리 탕요리 분식 중식 양식
해당 줄 내용의 시작을 숫자와 문자 그리고 점을 사용합니다.
1.한식 a. 면요리 b. 탕요리 c. 분식 2. 중식 3. 양식
Code chunk 삽입은 상단의 Insert 버튼 이용
mean( cars$dist )
## [1] 42.98
R 명령문 출력을 원하지 않을 경우 중괄호 안에 echo=FALSE를 입력
## [1] 42.98
R 명력문만 출력하고 싶을 경우 중괄호 안에 eval=FALSE를 입력
mean( cars$dist )
인라인 코드 블럭의 경우 R의 실행 결과를 바로 풀력하고자 할 때 사용하며, 다음과 같습니다.
제동거리의 평균을 알아보기 위해 총 50 대의 자동차로부터 실험한 결과 평균 42.98를 얻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