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즈 응답 비교

춘추전국시대에 국가통계관리의 중요성 강조

관자(집계표)
  공자 맹자 관자 노자 장자 불참 결석
Red 4 0 77 0 0 1 6 88
Black 0 0 80 1 0 0 10 91
4 0 157 1 0 1 16 179
관자(%)
공자 맹자 관자 노자 장자
2.5 0 96.9 0.6 0 100

국가정책을 수립하는 데 통계의 역할

통계의 중요성(집계표)
  절대 중요 않음 거의 중요 않음 보통 상당히 중요 절대 중요 불참 결석
Red 0 0 8 38 35 1 6 88
Black 0 0 0 33 48 0 10 91
0 0 8 71 83 1 16 179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tbl.q2[, -c(1:2, 6)]
Test statistic df P value
11.3 NA 0.005997 * *
통계의 중요성(%)
절대 중요 않음 거의 중요 않음 보통 상당히 중요 절대 중요
0 0 4.9 43.8 51.2 100

우리나라 생산가능인구 감소 시기

생산가능인구 감소 시기(집계표)
  2012 2016 2020 2030 불참 결석
Red 1 73 6 0 2 6 88
Black 2 74 4 1 0 10 91
3 147 10 1 2 16 179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tbl.q3[, -c(1, 4:5)]
Test statistic df P value
1.355 NA 0.5787
생산가능인구 감소 시기(%)
2012 2016 2020 2030
1.9 91.3 6.2 0.6 100

남북정상회담

부연설명의 위치에 따른 응답의 변화

Red

Black

집계표.

찬반 어느 쪽에 부연설명을 하였는가(Red는 찬성 쪽에 부연설명, Black은 반대 쪽에 부연설명)에 따라 응답에 영향.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님.

남북정상회담
  찬성 입장 반대 입장 모름/무응답 불참 결석
Red 49 23 9 1 6 88
Black 44 30 7 0 10 91
{“불참” => “모름/무응답”}
  찬성 반대 모름/무응답
Red 49 23 10 82
Black 44 30 7 81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tbl.q4.2
Test statistic df P value
1.717 NA 0.4358
% 비교.
남북정상회담
  찬성 반대 모름/무응답
Red 59.8 28 12.2 100
Black 54.3 37 8.6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