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개요

소개

이 네트워크는 4차산업 혁명과 관련된 키워드들의 네트워크로서 책,신문,블로그 자료들에서 데이터를 모아 키워드들간의 네트워크를 만들고 분석하였다

관계

이 네트워크에서 키워드들의 관계는 함께 출현한 관계로서 키워드가 문서에서 함께 출현하면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하여 그래프를 작성하였다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위해 R과 Rmarkdonw, gephi가 사용되었다.

# 준비
require(igraph)
## Loading required package: igraph
## 
## Attaching package: 'igraph'
## The following objects are masked from 'package:stats':
## 
##     decompose, spectrum
## The following object is masked from 'package:base':
## 
##     union
# 그래프 로딩
graph<-read.graph("graph.gml", format = 'gml')
## 서머리
summary(graph)
## IGRAPH b867fbc U--- 5 9 -- 
## + attr: id (v/n), label (v/c), graphics (v/c), id (e/n), value
## | (e/n), fill (e/c)

노드와 엣지

length(V(graph))
## [1] 5
length(E(graph))
## [1] 9

분석을 통해 8개의 키워드(노드)간의 13개의 관계가 파악되었다

네트워크 직경

diameter(graph)
## [1] 2
get.diameter(graph)
## + 3/5 vertices, from b867fbc:
## [1] 1 4 3

네트워크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직경은 가장 긴 패스를 말하는데, 이 네트워크에서는 2로서 키워드 2번-1번-4번을 연결하는 패스였다.

네트워크 밀도

graph.density(graph)
## [1] 0.9

네트워크 밀도는 전체가능한 연결분에 현제 네트워크에서 확인가능한 연결로 나타내는데 이 네트워크의 밀도는 0.46으로 확인되었다

중심성

degree(graph)
## [1] 3 4 1 6 4
betweenness(graph)
## [1] 0 0 0 3 0

연결중심도와 매개중심도를 확인하였고 하나의 키워드(4차산업혁명, 연결중심도:7, 매개 중심도 14.5)가 중심성이 매우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시각화

해석과 결론

요즈음 많이 거론되는 4차산업혁명과 관련한 키워드들의 관계를 통해 4차산업혁명의 내용을 이해하려는 목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행하였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결과 HR analytics, 웨어러블디바이스, 나노테크놀러지, 빅데이터, 3D 프린트와 같은 키워드들이 중요한 키워드로 확인되었고 이러한 키워드들은 4차 산업혁명에 연결되어 4차산업혁명에 대한 담론을 형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