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즈 응답 비교

최고한계세율과 소득증가율

집계
최고한계세율과 소득증가율
  높았던 시기에 높았다 높이면 높아진다 높았던 시기에 많았다 높이면 많아진다 결석
Red 39 19 21 4 8
Black 37 13 23 3 13
76 32 44 7 21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Q1.tbl.am[-3, 1:5]
Test statistic df P value
2.58 NA 0.6622
%
높았던 시기에 높았다 높이면 높아진다 높았던 시기에 많았다 높이면 많아진다 결석
42.2 17.8 24.4 3.9 11.7

생산성과 임금

집계
생산성과 임금
  황금기 함께 상승 신자유주의시기 함께 상승 신자유주의시기 생산성 상승 신자유주의시기 임금 상승 결석
Red 14 55 9 5 8
Black 7 60 6 3 13
21 115 15 8 21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Q2.tbl.am[-3, 1:5]
Test statistic df P value
4.82 NA 0.3218
%
황금기 함께 상승 신자유주의시기 함께 상승 신자유주의시기 생산성 상승 신자유주의시기 임금 상승 결석
11.7 63.9 8.3 4.4 11.7

생산성과 평균 및 중위임금(1973 ~ 2014)

집계
생산성과 평균 및 중위 임금
  임금 상승 미흡 고임금 상승률 가속 임금격차 심화 중산층 임금 회복세 불참 결석
Red 7 10 9 50 7 8
Black 4 8 11 46 7 13
11 18 20 96 14 21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Q3.tbl.am[-3, 1:6]
Test statistic df P value
2.576 NA 0.7876
%
임금 상승 미흡 고임금 상승률 가속 임금격차 심화 중산층 임금 회복세 불참 결석
6.1 10 11.1 53.3 7.8 11.7

통치권력구조의 개헌 방향

부연설명의 효과

Red

Black

설문 원문

집계표 발췌

집계표.

통치권력구조 중 어느 형태에 부연설명을 하였는가(Red는 이원집정부제와 의원내각제에 부연설명, Black은 부연설명 없음)에 따라 응답이 달라질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관찰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님.

통치권력구조의 개헌 방향
  대통령중임제 이원집정부제 의원내각제 현재의 대통령 단임제 기타 모름/무응답 불참 결석
Red 12 7 11 28 1 17 7 8
Black 12 6 5 33 0 13 7 13
24 13 16 61 1 30 14 21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Q4.tbl.e[, -(7:8)]
Test statistic df P value
3.941 NA 0.5817
% 비교.
  대통령중임제 이원집정부제 의원내각제 현재의 대통령 단임제 기타 모름/무응답
Red 15.8 9.2 14.5 36.8 1.3 22.4
Black 17.4 8.7 7.2 47.8 0 18.8

합산

대통령중임제 이원집정부제 의원내각제 현재의 대통령 단임제 기타 모름/무응답 불참
15.1 8.2 10.1 38.4 0.6 18.9 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