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타 수정하기
pander(table(quiz0927$Q3))
err_idx <- which(quiz0927$Q3 == "다 ")
quiz0927$Q3[err_idx] <- "다"
pander(table(quiz0927$Q3))
응답 집계
지역 및 지역크기별 가구수 비례 무작위추출법

집계
Red |
72 |
8 |
0 |
3 |
7 |
90 |
Black |
69 |
9 |
1 |
3 |
8 |
90 |
계 |
141 |
17 |
1 |
6 |
15 |
180 |
한달 독서량의 분포

집계
Red |
7 |
7 |
27 |
24 |
18 |
7 |
90 |
Black |
11 |
4 |
27 |
21 |
19 |
8 |
90 |
계 |
18 |
11 |
54 |
45 |
37 |
15 |
180 |
%
10.9 |
6.7 |
32.7 |
27.3 |
22.4 |
100 |
최근 1개월간 독서량

집계
Red |
13 |
6 |
56 |
6 |
2 |
0 |
7 |
90 |
Black |
13 |
5 |
50 |
11 |
2 |
1 |
8 |
90 |
계 |
26 |
11 |
106 |
17 |
4 |
1 |
15 |
180 |
%
15.9 |
6.7 |
64.6 |
10.4 |
2.4 |
100 |
개헌 찬성 여부
질문지 답 문항 순서의 영향
Red

Black

찬성부터(Red), 또는 반대부터(Black) 문항을 주느냐에 따라 응답이 달라질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고 있습니다.
Red |
31 |
13 |
39 |
0 |
7 |
90 |
Black |
28 |
13 |
39 |
2 |
8 |
90 |
계 |
59 |
26 |
78 |
2 |
15 |
180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tbl.q4[-3, -5]
2.147 |
NA |
0.6697 |
% 비교.
Red |
37.3 |
15.7 |
47 |
0 |
100 |
Black |
34.1 |
15.9 |
47.6 |
2.4 |
1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