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네트워크 구성 기준


전체 네트워크 분석(기업명 및 그래프 상세는 게피파일 참조)

네트워크 지도

  1. 전체네트워크 Node:5264 / Edge:6012
  1. 거대컴포넌트(끊어짐이 없는 가장 큰 연결을 갖는 그래프) Node:3981(75.63%) / Edge:5013(83.38%)
  1. 선도기업 하봉찬 외(2016)는 선도기업을 거래 네트워크에서 규모가 크고 매입이 많은 기업들로 정의하였다. 주어진 데이터에서 인바운드(매입)순으로 정렬하였을 때 아웃바운드(매출)이 0인 경우는 삼성엔지니어링을 제외하고 없었으나, 인디그리가 높은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아웃바운드가 적은(1~5)의 경우에 속한다. 때문에 구조적인 측면에서 하봉찬 외(2016)에서 주장한 선도기업으로서의 조건에 근사한다고 할 수 있다.
require(dplyr)
## Loading required package: dplyr
## 
## Attaching package: 'dplyr'
## The following objects are masked from 'package:stats':
## 
##     filter, lag
## The following objects are masked from 'package:base':
## 
##     intersect, setdiff, setequal, union
require(readxl)
## Loading required package: readxl
waternode <- read_excel("./0_data/nodedata.xlsx")
waterlead<-select(waternode, name, indegree, outdegree)
head(waterlead[order(-waterlead$indegree),], 20)
## # A tibble: 20 x 3
##                     name indegree outdegree
##                    <chr>    <dbl>     <dbl>
##  1 한국수자원공사 김건호      115         1
##  2          현대건설(주)       48         5
##  3            GS건설(주)       43         3
##  4    대림산업(주)(본사)       36         1
##  5        (주)포스코건설       31         2
##  6            SK건설(주)       24         3
##  7        현대산업개발㈜       24         2
##  8    삼성엔지니어링(주)       24         0
##  9          롯데건설(주)       23         1
## 10    현대엔지니어링(주)       21         3
## 11      코오롱글로벌(주)       20         1
## 12    (주)도화엔지니어링       19         4
## 13      두산건설주식회사       18         0
## 14          금호산업(주)       17         1
## 15      (주)케이씨씨건설       16         2
## 16      계룡건설산업(주)       15         0
## 17          (주)태영건설       15         4
## 18            ㈜엘지화학       15         7
## 19       두산중공업(주)*       15         0
## 20    효성굿스프링스(주)       12         3

네트워크 레벨 분석

  • 노드의 수(네트워크 내 기업의 수)
## [1] 5264
  • 엣지의 수(네트워크 내 기업간 매출관계 연결의 수)
## [1] 6012
  • 네트워크 밀도(전체 가능연결 대비 연결을 통해 얼마나 조밀하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말해주는 지표)
## [1] 0.000217005

네트워크 밀도는 0.000217이며 이는 전체 가능한 연결을 고려할때 0.02%의 연결이 존재함을 말함. 네트워크 밀도를 통해 높고 낮음은 다른 네트워크와 비교해서 판단해야 함. 기존 분석에서의 철강, 전자와 비교했을때 낮은 편은 아니나, 네트워크 단절을 고려했을때 컴포넌트 분석에서 밀도는 높아질 것으로 예상

  • 네트워크 중심성경향 (연결중심도, 매개중심도, 근접중심도를 기준으로 얼마나 이 네트워크에 중심화 경향이 있는지를 나타내주는 지표) 1에 가까울수록 중심화경향이 높으며 이는 네트워크의 모양이 별(star)에 가까움을 말함
## [1] 0.01080538

연결중심성경향은 0.01080538로 중심성경향은 낮은편임. 그러나 전체 네트워크 그래프를 고려했을때 몇몇 두드러진 기업들을 중심으로 네트워크의 구조가 유지되는것으로 보아 이러한 중심성 경향은 하도급 기업들간의 조밀한 연결관계에 기인한다고 판단.

## [1] 0.0005715918

매개중심성은 0.0005로 연결중심성보다 크게 낮음 이는 매개를 해주는 기업들이 네트워크에서 상대적으로 적음을 알 수 있음

## [1] 8.892548e-06
  • 중심화 경향 히스토그램 순서대로 연결중심화경향, 매개중심성경향, 근접중심성경향

  • 네트워크 직경 (네트워크 내 가장 긴 연결)

## [1] 19
## + 20/5264 vertices:
##  [1] 4834 4898 2876 3486 4293 4605 3185 4749 4137 5145 5096 4124 5048 5098
## [15] 5143 4649 2555  848 4906 2304

네트워크 직경은 19으로 20개의 기업간의 19개 연결이 가장 긴 연결로 나타남

  • 평균 연결길이
## [1] 5.608039

평균연결길이(Average path length)는 5.60으로 네트워크 내 기업들의 매출관계가 평균적으로 5.6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평균적으로 5~6번의 연결로 모든 네트워크내 기업들이 연결되어있다는 것을 암시함

  • 이행성 (이행성 지표는 글로벌 틀러스터링 코이피션시라고도 불리우며 클러스터링화 되는 경향을 나타냄)
## [1] 0.005606333

평균연결길이와 함께 보았을때 평균연결길이가 짧고 클러스터링화 되는 경향이 0.005정도이며 이에 대한 상세분석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생성된 네트워크의 디스트리뷰션과 비교예정임

노드레벨 분석

##      EnS_Lable              EnS_degree EnS_indegree EnS_outdegree
## [1,] "중앙소방설비공사"     "1"        "0"          "1"          
## [2,] "명화엔지니어링(주)" "1"        "1"          "0"          
## [3,] "(주)공간이.엔.지"     "1"        "1"          "0"          
## [4,] "(주)대흥이엔텍"       "1"        "1"          "0"          
## [5,] "(주)심프라임소프트"   "1"        "1"          "0"          
## [6,] "위즈이노텍 주식회사" "1"        "0"          "1"          
##      EnS_betweeness EnS_closeness          EnS_eigencentrality 
## [1,] "0"            "3.61296202151873e-08" "0"                 
## [2,] "0"            "3.60953077832457e-08" "0"                 
## [3,] "0"            "3.60953077832457e-08" "0.0713570713853183"
## [4,] "0"            "3.60953077832457e-08" "0"                 
## [5,] "0"            "3.60953077832457e-08" "0"                 
## [6,] "0"            "3.61364837408951e-08" "0"                 
##      EnS_clusteringcoefficient EnS_pagerank           EnS_hubscore
## [1,] "NaN"                     "9.50179361658899e-05" "0"         
## [2,] "NaN"                     "0.000175783181906896" "0"         
## [3,] "NaN"                     "0.000168558946797345" "0"         
## [4,] "NaN"                     "0.000149534477041069" "0"         
## [5,] "NaN"                     "0.00031533570106761"  "0"         
## [6,] "NaN"                     "9.50179361658899e-05" "0"         
##      EnS_authscore          EnS_constraint
## [1,] "0"                    "1"           
## [2,] "0"                    "1"           
## [3,] "1.78715492157384e-10" "1"           
## [4,] "0"                    "1"           
## [5,] "0"                    "1"           
## [6,] "0"                    "1"
  • 매개중심도, 연결중심도, 연결중심도(인), 연결중심도(아웃)
waterlead<-select(waternode, name, indegree, outdegree, degree)
head(waterlead[order(-waterlead$degree),], 20)
## # A tibble: 20 x 4
##                     name indegree outdegree degree
##                    <chr>    <dbl>     <dbl>  <dbl>
##  1 한국수자원공사 김건호      115         1    116
##  2          현대건설(주)       48         5     53
##  3            GS건설(주)       43         3     46
##  4    대림산업(주)(본사)       36         1     37
##  5        (주)포스코건설       31         2     33
##  6            SK건설(주)       24         3     27
##  7        현대산업개발㈜       24         2     26
##  8    삼성엔지니어링(주)       24         0     24
##  9          롯데건설(주)       23         1     24
## 10    현대엔지니어링(주)       21         3     24
## 11    (주)도화엔지니어링       19         4     23
## 12            ㈜엘지화학       15         7     22
## 13      코오롱글로벌(주)       20         1     21
## 14          (주)태영건설       15         4     19
## 15            (주)케이티        5        14     19
## 16      두산건설주식회사       18         0     18
## 17          금호산업(주)       17         1     18
## 18      (주)케이씨씨건설       16         2     18
## 19      계룡건설산업(주)       15         0     15
## 20       두산중공업(주)*       15         0     15

서브그래프 분석

## $mut
## [1] 144
## 
## $asym
## [1] 5723
## 
## $null
## [1] 13846349

서로 양방향의 관계를 가진 형태는 144개, 한쪽방향으로(하도급으로 예상)되는 관계는 5723개

##  [1] -71756654  29257517   1108670      5143     15541      7629       502
##  [8]       425        51         0        26         2         2         0
## [15]         0         0

트라이어드 관계의 16개 형태중 10개의 형태에 대한 카운트가 완료

5번형태의 트라이어드(3자관계)가 가장 많이 도출됨

## Loading required package: sna
## Loading required package: statnet.common
## Loading required package: network
## network: Classes for Relational Data
## Version 1.13.0 created on 2015-08-31.
## copyright (c) 2005, Carter T. Butts, University of California-Irvine
##                     Mark S. Handcock, University of California -- Los Angeles
##                     David R. Hunter, Penn State University
##                     Martina Morris, University of Washington
##                     Skye Bender-deMoll, University of Washington
##  For citation information, type citation("network").
##  Type help("network-package") to get started.
## 
## Attaching package: 'network'
## The following objects are masked from 'package:igraph':
## 
##     %c%, %s%, add.edges, add.vertices, delete.edges,
##     delete.vertices, get.edge.attribute, get.edges,
##     get.vertex.attribute, is.bipartite, is.directed,
##     list.edge.attributes, list.vertex.attributes,
##     set.edge.attribute, set.vertex.attribute
## sna: Tools for Social Network Analysis
## Version 2.4 created on 2016-07-23.
## copyright (c) 2005, Carter T. Butts, University of California-Irvine
##  For citation information, type citation("sna").
##  Type help(package="sna") to get started.
## 
## Attaching package: 'sna'
## The following objects are masked from 'package:igraph':
## 
##     betweenness, bonpow, closeness, components, degree,
##     dyad.census, evcent, hierarchy, is.connected, neighborhood,
##     triad.census
##      [,1] [,2] [,3]
## [1,]    0    0    0
## [2,]    1    0    0
## [3,]    1    0    0

##  [1]  8667    59     0 11302 32252     4     4   481   558     0     0
## [12]     0    52

네트워크 성격

각 네트워크 중심도에 따른 분포, 대부분의 지표들이 대다수가 적은 연결 또는 낮은 중심도를 보이나 몇몇 소수의 기업이 연결과 다른 중심도에서 높은 경향을 보이는 패턴임. 네트워크통계에서 일반적으로 관찰가능한 분포의 형태로서 좁은세상, 멱함수, 스케일프리 네트워크의 성격을 유추하는데 기초자료가 됨.

## [1] 5.608039
## [1] 7.533255

분야별 분석(기업명 및 그래프의 상세는 게피파일 참조)

net1<-read_graph("./1_graphdata/net1.graphml","graphml")
net2<-read_graph("./1_graphdata/net2.graphml","graphml")
net3<-read_graph("./1_graphdata/net3.graphml","graphml")
net4<-read_graph("./1_graphdata/net4.graphml","graphml")
net5<-read_graph("./1_graphdata/net5.graphml","graphml")
net6<-read_graph("./1_graphdata/net6.graphml","graphml")
net7<-read_graph("./1_graphdata/net7.graphml","graphml")
net8<-read_graph("./1_graphdata/net8.graphml","graphml")
net9<-read_graph("./1_graphdata/net9.graphml","graphml")
net10<-read_graph("./1_graphdata/net10.graphml","graphml")
net11<-read_graph("./1_graphdata/net11.graphml","graphml")

제조 관, 막, 펌프

Node

length(V(net1))
## [1] 2002

Edge

length(E(net1))
## [1] 2118

Density

graph.density(net1)
## [1] 0.0005287067

Average Degree

mean(igraph::degree(net1))
## [1] 2.115884

상수도

Node

length(V(net2))
## [1] 1725

Edge

length(E(net2))
## [1] 1765

Density

graph.density(net2)
## [1] 0.0005934968

Average Degree

mean(igraph::degree(net2))
## [1] 2.046377

하수도 및 재이용

Node

length(V(net3))
## [1] 469

Edge

length(E(net3))
## [1] 420

Density

graph.density(net3)
## [1] 0.001913509

Average Degree

mean(igraph::degree(net3))
## [1] 1.791045

물에너지

Node

length(V(net4))
## [1] 512

Edge

length(E(net4))
## [1] 462

Density

graph.density(net4)
## [1] 0.001765839

Average Degree

mean(igraph::degree(net4))
## [1] 1.804688

Node

length(V(net5))
## [1] 445

Edge

length(E(net5))
## [1] 426

Density

graph.density(net5)
## [1] 0.002156089

Average Degree

mean(igraph::degree(net5))
## [1] 1.914607

컨설팅 및 환경영향평가

Node

length(V(net6))
## [1] 245

Edge

length(E(net6))
## [1] 209

Density

graph.density(net6)
## [1] 0.003496153

Average Degree

mean(igraph::degree(net6))
## [1] 1.706122

제조 수처리제

Node

length(V(net7))
## [1] 201

Edge

length(E(net7))
## [1] 189

Density

graph.density(net7)
## [1] 0.004701493

Average Degree

mean(igraph::degree(net7))
## [1] 1.880597

지하수

Node

length(V(net8))
## [1] 214

Edge

length(E(net8))
## [1] 193

Density

graph.density(net8)
## [1] 0.004234128

Average Degree

mean(igraph::degree(net8))
## [1] 1.803738

하천정비

Node

length(V(net9))
## [1] 104

Edge

length(E(net9))
## [1] 89

Density

graph.density(net9)
## [1] 0.008308439

Average Degree

mean(igraph::degree(net9))
## [1] 1.711538

해수담수화

Node

length(V(net10))
## [1] 89

Edge

length(E(net10))
## [1] 85

Density

graph.density(net10)
## [1] 0.01085291

Average Degree

mean(igraph::degree(net10))
## [1] 1.910112

먹는샘물

Node

length(V(net11))
## [1] 48

Edge

length(E(net11))
## [1] 42

Density

graph.density(net11)
## [1] 0.01861702

Average Degree

mean(igraph::degree(net11))
## [1] 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