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16일 | 3월8일 | 4월17일 | 4월30일 | 4월8일 | 5월16일 | 6월24일 | 8월17일 | 8월31일 | 9월5일 | 계 |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0 |
\(N\)명 중에 생일이 같은 사람의 수는 대략 \(N\times\{1- (\frac{364}{365})^{N-1}\}\)라고 기대된다. 89명 응답한 중에는 19.1 명 정도로 기대된다. 이때, 오차는 4.4 정도이므로 관찰된 인원 20명은 범위 안에 잘 들어간다.
January | February | March | April | May | June | July | August | September | October | November | December | 계 |
---|---|---|---|---|---|---|---|---|---|---|---|---|
6 | 7 | 10 | 12 | 10 | 12 | 6 | 10 | 2 | 4 | 2 | 8 | 89 |
Test statistic | df | P value |
---|---|---|
18.46 | NA | 0.07896 |
0 | 1 | 2 | 4 | 계 | |
---|---|---|---|---|---|
Red | 4 | 11 | 11 | 21 | 47 |
Black | 6 | 9 | 4 | 24 | 43 |
계 | 10 | 20 | 15 | 45 | 90 |
Test statistic | df | P value |
---|---|---|
3.897 | NA | 0.2789 |
Test statistic | df | P value |
---|---|---|
476.3 | NA | 0.0004998 * * * |
실업률이 10%인 것과 취업률이 90%인 것이 동등함에도 불구하고, 실업률과 인플레가 나오면 실업률이 낮아지는 정책을 선호하고 취업률과 인플레가 나오면 인플레가 낮아지는 정책을 선호함에 유의.
실업률10%(취업률90%), 인플레12% | 실업률5%(취업률95%), 인플레17% | 결석 | |
---|---|---|---|
Red(실업률 관점) | 22 | 25 | 3 |
Black(취업률 관점) | 36 | 7 | 2 |
Test statistic | df | P value |
---|---|---|
11.79 | 1 | 0.0005953 * * * |
실업률10%(취업률90%), 인플레12% | 실업률5%(취업률95%), 인플레17% | 계 | |
---|---|---|---|
Red(실업률 관점) | 47 | 53 | 100 |
Black(취업률 관점) | 84 | 16 | 100 |
인플레 없이 7%를 삭감하는 것과 12% 인플레 상황에서 5%임금 인상은 동등한 조건인데도 ’임금인상’이라는 말에 ’수용가능하다’는 응답 비율이 늘어남에 유의.
수용가능 | 불공정 | 결석 | |
---|---|---|---|
Red(인플레0%, 임금삭감7%) | 25 | 22 | 3 |
Black(인플레12%, 임금인상5%) | 34 | 9 | 2 |
Test statistic | df | P value |
---|---|---|
5.563 | 1 | 0.01834 * |
수용가능 | 불공정 | 계 | |
---|---|---|---|
Red(인플레0%, 임금삭감7%) | 53 | 47 | 100 |
Black(인플레12%, 임금인상5%) | 79 | 21 | 1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