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Report - 9월 9일 (화)

오늘의이슈:
검찰청 78년 만의 폐지

작성일: 2025년 9월 9일 (화) 12:00

검찰청 78년 만의 폐지 발표가 정치권을 뒤흔들며 최대 관심사로 부상했습니다.
임은정 지검장의 '지공장님' 호칭 논란이 2,415개 댓글로 폭발적 반응을 이끌어냈고, 나경원 의원의 "정권 범죄 덮겠다는 선언" 발언이 1,750개 댓글로 검찰 개편 논란의 중심에 섰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재판 중계 허용 문제와 특검법 위헌 주장이 연일 최고 관심도를 기록하며 사법부와 정치권 간 대립이 격화되었고, 검찰총장 대행의 "깊이 반성" 발언이 추가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미국 조지아주 한국인 구금 사태도 76개 기사로 대규모 외교 현안으로 대두되었으며, 조국혁신당 성비위 논란과 이진숙 방통위원장 자동 면직도 주요 정치적 쟁점을 형성했습니다.
세대별로는 20대가 기술 혁신과 사회 사건에, 30대가 교육과 정치 현안에, 50대가 정치 권력 구조 비판에, 60대 이상이 정치인 간 화해에 각각 높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성별로는 남성층이 사건사고와 사회 질서에, 여성층이 교육 문제와 생활 이슈에 더 집중하며, 수사기관 대개편을 둘러싼 정치적 격돌이 국정 전반의 주요 화두로 자리 잡았습니다.


검찰청 폐지 관련 댓글 분석

주요 인사이트

• 검찰 비판/폐지 찬성 의견이 전체의 41.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여론 성향은 검찰 폐지 지지 52.4%가 폐지 우려 47.6%보다 높게 나타남

• 검찰 조직에 대한 불신과 개혁 필요성 vs 사법 공백에 대한 우려가 팽팽히 대립

• "특권의식", "썩어빠진 조직" 등 검찰에 대한 강한 비판적 표현이 다수

• 댓글 참여도가 높으며, 국민들의 사법제도 개편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음

주제별 분석 결과 (상위 5개)

순위 주제 비율 주요 내용 댓글 예시
1 검찰 비판/폐지 찬성 41.3% 검찰 조직의 특권의식과 부패에 대한 비판, 개혁 및 폐지 필요성 주장 "지들이 무슨 특권을 가지고 있는듯, 국민위에 군림하려는 검찰 조직은 해체가 맞다. 썩어문드러진 검사집단"
2 기타 38.2% 정치 전반, 사회 현상, 개인적 의견 등 다양한 주제 "범죄자 ~ 전과자들이 정의를 말하는 세상~ 자유대한민국 끝났다"
3 정치인/정권 관련 8.0% 특정 정치인이나 정당에 대한 언급, 정치적 입장 표명 "이재명은 계엄같은거는 안한다. 오로지 국민만 보고간다"
4 법치/사법 관련 5.3% 사법권, 법치주의, 재판 시스템에 대한 논의 "이것들한테 사법권을 넘겨주라고"
5 독재/권위주의 우려 4.9% 정치적 독재 가능성과 민주주의 위기에 대한 우려 "나라 다 찢어놨네?"

여론 성향 분석

감정별 댓글 예시

감정 분류 댓글 예시 분류 근거
긍정적 (52.4%) - 검찰 폐지/개혁 지지 "지들이 무슨 특권을 가지고 있는듯, 국민위에 군림하려는 검찰 조직은 해체가 맞다. 썩어문드러진 검사집단" 검찰 해체를 강력히 지지
"개기생충보다 더 해악한 조작검찰 없애는게 정답" 검찰 폐지를 정답으로 표현
"썩어빠져서 악취가 진동하는 집단은 냄새가 빠질 때까지 고삐를 늦추지 말고 깨끗이 청소하고 환기까지 시켜야지" 검찰 개혁/청소 필요성 강조
"이재명은 계엄같은거는 안한다. 오로지 국민만 보고간다" 현 정권 정책 지지
부정적 (47.6%) - 현 상황/정책 우려 "범죄자들이 지덜 수사 안받기 위해 검찰을 쑥대밭 만들기. 나라가 몇 개월만에 이 모냥이 되냐. 범죄자들이 활개치는 나라가 됐네" 사법 공백에 대한 우려
"나라 다 찢어놨네?" 국정 운영에 대한 비판적 우려
"범죄자 ~ 전과자들이 정의를 말하는 세상~ 자유대한민국 끝났다" 현 정치 상황에 대한 강한 비관
"국가기관을 지들 맘에 안든다고 쪼개고 없애버릴수 있나??? 이러다가 북한처럼 일당독재로 갈것 같고" 제도 변화와 독재 가능성 우려

세부 분석

검찰 폐지 지지 여론 (52.4%):

검찰 조직의 특권의식과 권위주의적 행태에 대한 강한 비판

"기생충", "썩어빠진", "조작검찰" 등 매우 강한 표현 사용

검찰 개혁보다는 완전한 폐지/해체를 지지하는 의견이 주류

국민 위에 군림하는 검찰 문화에 대한 깊은 반감 표출

현 정권의 사법개혁 정책에 대한 지지 의견 포함

검찰 폐지 우려 여론 (47.6%):

급격한 제도 변화로 인한 사법 공백 상태에 대한 걱정

범죄자들이 활개치는 무법천지가 될 것에 대한 우려

정치적 독재로의 변질 가능성에 대한 경계

국가기관을 임의로 해체하는 것에 대한 절차적 문제 제기

현 정치 상황 전반에 대한 비관적 전망

향후 전망:

검찰 폐지를 지지하는 여론이 과반수로 우세하나, 우려 의견도 상당한 비중

사법 공백을 메울 대안적 시스템에 대한 구체적이고 신뢰할 만한 계획 제시 필요

정치적 중립성 확보와 민주적 절차를 통한 개혁이 사회적 합의 형성의 핵심

급진적 변화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킬 단계적이고 투명한 개혁 과정 필요

국민 신뢰 회복을 위한 새로운 사법 시스템의 공정성과 독립성 보장이 관건


주제별 분류

순위 주제 핵심 키워드 총 댓글수 / 총 조회수
1 검찰 개편/폐지 검찰청 78년 만에 폐지, 임은정 지공장님 논란, 중수청 신설, 행안부 수사권 독점, 검찰동우회 반발, 공소청 설치, 현직 검사 토론 요청 8,665개 / 184,499회
2 내란재판/윤석열 관련 MBC 내란 재판 중계 신청, 12월 심리 종결 예상, 위헌법률심판 제청, 헌법소원 청구, 8회 연속 불출석, 내란특별재판부 논란 7,924개 / 524,412회
3 미국 한국인 구금 사태 조지아주 현대차 공장 단속, 자진출국 형식 협상, 트럼프 한국과 좋은 관계, ICE 대규모 체포, 전세기 귀국, 비자 문제 해결 5,015개 / 250,416회
4 북한 관련 박지원 김주애 후계자 아니다, 김정은 두 번 외면, 유학 중인 아들 은폐, 사회주의 국가 여성 원수 없어 3,160개 / 201,894회
5 경제/사회 문제 일하는 곳 70% 무너진다, 서민들의 눈물, 나경원 수사권 독점 비판, 현대차 노조 정년 64세 연장, 현금부자들 긴장 2,599개 / -
6 방통위/이진숙 관련 법 바꾸는 것은 독재 발언, 조직개편으로 자동 면직, 방통위 폐지, 임기 채우다 뜻밖의 암초 2,339개 / 198,206회
7 범죄/사건 관련 양어머니 살해 중학생, 국민참여재판, 부산구치소 재소자 사망, 프로야구 출신 조폭, 길에 버려진 아기 15년 키워 2,194개 / 832,928회
8 조국혁신당 성비위 논란 성추행 피해자 10쪽 손편지, 조국 답장 없어, 지도부 총사퇴, 최강욱 윤리심판원 회부, 2차 가해 논란 2,026개 / 340,774회
9 이재명 대통령 관련 지지율 56% 3주 연속 상승, 민생 정책 효과, 여야 대표 회동, 임금체불 전수조사 지시, 민생경제협의체 구성 1,850개 / 120,000회
10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논란 국회 방문 항의 시위, 광복 연합국 승리 발언, 매국노 규탄 몸싸움, 독립기념관 위기 주장, 시민들 아수라장 1,200개 / 150,000회

댓글 Top 10

순위 제목 언론 댓글수 조회
1 지귀연, MBC '내란 재판 중계 신청' 불허‥"특검·尹 신청 시 검토" MBC 2,492 207,454 관심
2 "임은정 '지공장님' 좋으세요?" 곧 없어질 檢내부망서 '난리' MBC 2,415 93,694
3 지귀연 "尹 내란 사건 12월 무렵 심리 종결‥김용현·조지호 등 병합 예정" MBC 1,922 170,713
4 나경원, '검찰청 폐지안'에 "개악…정권 범죄 덮겠다는 선언" JTBC 1,750 47,571
5 박지원 "김주애, 후계자 아니다… 유학 중인 아들 숨기려 내세운 것" 조선일보 1,270 -
6 "일하는 곳 70%가 무너진다"…서민들의 눈물 세계일보 1,142 -
7 '검찰청 폐지' 발표에 현직 검사 "범죄수사 통제 기능 증발... 지휘부, 플랜B는 있느냐" 조선일보 1,094 -
8 "두 번 불러도 외면한 김정은, 안 서운했냐" 박지원에게 묻자… 한겨레 1,009 170,804
9 이진숙 방통위원장 "법대로 되지 않을 때 법 바꾸는 것은 독재" 연합뉴스 1,000 57,041
10 정청래 "'관봉권 띠지 분실' 검찰 수사관, 국회 조롱‥상설특검 검토" MBC 951 167,564

세대별 관심

20대 관심

순위 제목 언론사 20대 비율 댓글수
1 7년만에 대개편에…카카오톡, 삭제 이용 수 327%↑ 서울경제 14% 139
2 펨코의 팬덤, 이준석의 중독 한겨레21 12% 152
3 [단독]부산구치소 20대 재소자 사망… 폭행 추정 부산일보 11% 397 관심
4 "교권침해 신고하자 1년 고소 시달려"…계속되는 서이초 사건 중앙일보 10% 193
5 [속보] 외교부 "美 구금시설, 우리 국민의 환경 문제나 인권 침해 보고 없어" 머니투데이 10% 119

30대 관심

순위 제목 언론사 30대 비율 댓글수
1 與 "美구금 국민 석방 다행…비자쿼터, 尹정부가 해결했어야" 뉴스1 43% 114
2 "교권침해 신고하자 1년 고소 시달려"…계속되는 서이초 사건 중앙일보 40% 193
3 펨코의 팬덤, 이준석의 중독 한겨레21 38% 152
4 두 번 유산했는데…남편 "전자담배는 수증기" 황당 변명 뉴시스 33% 386 관심
5 제주에 미확인 보트 신고…구명조끼 6벌·중국빵 발견 부산일보 32% 195

40대 관심

순위 제목 언론사 40대 비율 댓글수
1 대도서관 사망이 李대통령 때문?…가세연, 선넘은 음모론 매일신문 52% 178
2 "아이 등원 시키고 10시 출근"…월급은 안 깎인다, 무슨 제도길래 머니투데이 50% 144
3 "오히려 덤덤했다"…21억 복권 당첨된 그 순간 뉴시스 50% 112
4 [속보] 검찰총장 대행 "검찰 개명 위기, 우리 잘못에 기인…깊이 반성" 국제신문 48% 109
5 두 번 유산했는데…남편 "전자담배는 수증기" 황당 변명 뉴시스 47% 386 관심

50대 관심

순위 제목 언론사 50대 비율 댓글수
1 盧사위 곽상언, 김어준 정면 겨냥 "유튜브 권력이 정치 권력을 휘두르고 있다" 프레시안 49% 305 관심
2 국회 온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민주당이 배후" 주장하다 줄행랑 오마이뉴스 47% 199
3 [단독] 한은 띠지 '또 다른 관봉권' 사진 나왔다…통일교→건진 전달 의심 JTBC 47% 176
4 검찰총장 대행 "검찰, 개명 당할 위기...국민 입장에서 설계되어야" YTN 47% 166
5 '잡혀가는 한국인' 본 교민들…"진짜 범죄자 취급당했어요" JTBC 47% 161

60대+ 관심

순위 제목 언론사 60대+ 비율 댓글수
1 홍준표 "檢, 헌법기관 아닌 법률기관…해체 자업자득, 尹·韓이 망친 업보" 뉴스1 56% 144
2 張 "악수하려고 마늘·쑥 먹어" 鄭 "대통령은 하모니메이커" 조선일보 52% 372 관심
3 임영웅 팬클럽 이름으로 기부까지…하나 'HERO 체크카드' 출시 한국경제 52% 127
4 "악수는 사람과 한다"더니...정청래·장동혁 손 잡았다 조선일보 51% 353
5 송언석 "여의도 대통령은 정청래…李대통령 당부 아랑곳안해" 동아일보 51% 346

성별 관심

남성 관심

순위 제목 언론사 1위/2위 연령대 댓글수
1 "명동에서 홍대 4만 5천 원?"…일본 언론에 딱 걸린 바가지 택시 [잇슈#태그] KBS 40대(36%) / 50대(33%) 276
2 "4만5000원 내라"…서울 택시 바가지 요금, 일본 방송에 포착 동아일보 50대(36%) / 60대+(35%) 106
3 프로야구 선수 출신 부산 조폭, 가정폭력 혐의 구속영장 연합뉴스 40대(41%) / 50대(26%) 376 관심
4 "캠핑카가 벼슬인가?"…해수욕장 주차장 3칸 '꿀꺽' 연합뉴스TV 50대(39%) / 40대(33%) 222
5 '검찰청 간판' 78년 만에 내린다…檢 내부 "현실로 다가와 막막" 노컷뉴스 50대(39%) / 60대+(38%) 209

여성 관심

순위 제목 언론사 1위/2위 연령대 댓글수
1 임영웅 팬클럽 이름으로 기부까지…하나 'HERO 체크카드' 출시 한국경제 60대+(52%) / 50대(40%) 127
2 "교권침해 신고하자 1년 고소 시달려"…계속되는 서이초 사건 중앙일보 30대(40%) / 40대(38%) 193
3 홍준표 "檢, 헌법기관 아닌 법률기관…해체 자업자득, 尹·韓이 망친 업보" 뉴스1 60대+(56%) / 50대(26%) 144
4 與 "美구금 국민 석방 다행…비자쿼터, 尹정부가 해결했어야" 뉴스1 30대(43%) / 40대(39%) 114
5 비아파트 임대인들 "보수적인 HUG인정 감정평가, 시세와 괴리 커…전세사고 우려" 데일리안 40대(38%) / 50대(29%) 233 관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