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2025년 5월 25일 (일) 11:00 | 토론 예정일: 2025년 5월 27일 (화) 20:00
- 5월 27일(화) 오후 8시로 예정된 제21대 대통령선거 3차 TV토론(정치 분야)에서 김문수 후보가 소폭 우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됩니다.
- 이재명 후보에 대한 국민의 높은 기대치가 오히려 부담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김문수 후보의 전략적 대응이 보수층 결집의 명분을 제공하여, 1% 내외의 지지율 상승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됩니다.
일시 | 2025년 5월 27일(화) 오후 8시~10시 (120분) |
장소 | 서울 상암동 MBC 스튜디오 |
주제 | 정치 양극화 해소 방안 |
중계채널 | KBS1, MBC, SBS, YTN 등 동시 생중계 |
구분 | 이재명 (민주당) | 김문수 (국민의힘) | 이준석 (개혁신당) |
---|---|---|---|
개헌 | • 대통령 4년 연임제 • 국무총리 국회 추천 • 사시·인문상 및 정당정기평상 입명시 국회 동의 의무화 • 감사원 국회 소속 이관 |
• 대통령 4년 중임제 • 차기 대통령 임기 3년으로 단축 (총선 주기와 대통령 선거 일치) |
• 대통령·광역단체장 동일 선거 • 국회의원·기초의원은 2년 후 선거에서 선출하는 구조로 단순화 • 대통령·광역단체장 선거에 결선투표제 도입 |
정치개혁 | • 국민투표법 개정 및 국회 개혁 • 사시기관장 및 종합적기관장 • 대통령 재임요구권(거부권) 제한 등 |
• 대통령 불소추특권 및 국회의원 불체포특권·면책특권 폐지 • 대법관·헌법재판관 추천위원회 법정 기구화 • 국민입법제 및 국회의원 국민소환제 도입 등 |
• 대통령 특별사면 국회 동의 의무화 • 감사원 국회 소속으로 이전 • 국회의 대통령실의 세종 이전 근거 및 사법 독립 수호 헌법 조항 신설 • 국회 탄핵 남용 방지 등 |
5.18 민주화정신 |
헌법 전문에 수록 |
방송사 | 김문수 | 이재명 | 이준석 | 권영국 |
---|---|---|---|---|
KBS | 18,112 | 11,423 | 2,057 | 634 |
SBS | 16,624 | 14,967 | 4,116 | 876 |
MBC (합계) | 16,417 | 21,122 | 14,070 | 3,736 |
채널A | 8,386 | 2,735 | 2,392 | 906 |
* 2차 토론회 YouTube 라이브 채팅 681,742건 분석 결과
채팅 데이터 기반 3차 토론 예측:
① 김문수 우세 가능성: KBS, SBS, 채널A에서 김문수 언급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열성 지지자 활동(2회 이상 언급)이 KBS(2,634건), SBS(2,025건)에서 강세
② 이재명 방어전 예상: MBC 채널들에서만 우세를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김문수보다 언급량이 적어 3차 토론에서 공세적 입장 불가피
③ 이준석 변수 작동: '김문수+이준석' 조합 언급(총 2,862건)이 높아 보수 연대 논의가 활발하며, 이는 김문수에게 유리한 환경 조성
연령대 | 주요 관심사 | 높은 관심 기사 |
---|---|---|
20-30대 | 세대교체, 정치개혁 | 이준석 관련 기사 (토론 중 얼굴 벌개진 이준석) |
40대 | 정치 안정성 | 에너지·기후 정책, 윤석열 '王' 패러디 |
50-60대+ | 정권 심판, 품격 | 이재명 '어쩌라고' 발언, 김문수 토론 준비 |
순위 | 제목 | 언론사 | 댓글수 |
---|---|---|---|
1 | 1차 토론 후 이재명 46.0%, 김문수 41.6% '오차범위 내' | 매일신문 | 1,461 |
2 | 권성동 "이재명, TV 토론서 '어쩌라고'… 대통령 돼선 안 되는 이유" | 경기일보 | 910 |
3 | 이준석 "이재명과 토론 불가…트럼프와 협상할 수 있겠나" | 아시아경제 | 815 |
4 | 토론 중 얼굴 벌개진 이준석?..."목 안좋아 염증약 먹고 있어서" | 이데일리 | 704 |
5 | 이준석 "호텔결제 취소해도 돈 돈다?" 이재명 "극단적 예일뿐" | 중앙일보 | 634 |
주요 변수:
① 토론 매너와 품격: 2차 토론의 공격적 자세에서 탈피, 대안 중심 접근
② 이준석 변수: 중도층 표심 분산 효과 vs 反윤석열 정서 결집
③ 중도층의 여론 반응: 언론 및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의 즉각적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