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토론회 Youtube 라이브 채팅 분석: 후보 언급 및 활동 지형

작성일: 2025년 5월 24일 (토) 09:00 | 데이터 출처: 제2차 대선 토론회 Youtube 라이브 채팅 데이터

2025년 5월 23일 20:00–24:00 제2차 대선 토론회에서 수집된 라이브 채팅 데이터 총 875,770건을 분석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네 명의 주요 후보(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권영국)의 채팅 언급패턴, 열성 지지자 활동(채팅별 2회 이상 언급), 및 후보 조합별 논의를 분석합니다.

1. 채팅 데이터 개요 및 주요 트렌드
총 채팅 건수
875,770
고유 참여자 수
120,957
참여 방송사
11

방송사별 채팅 분포

방송사 채팅 건수 사용자 ID 수 비율
MBC302,10946,31734.5%
SBS138,27619,70915.8%
채널A114,95131,20813.1%
YTN84,8246,7909.7%
KBS73,8867,1528.4%
TV조선64,8704,2207.4%
델리민주44,8249,3315.1%
JTBC31,2787,4383.6%
오마이TV16,8271,6621.9%
MBN3,6193030.4%
연합뉴스3061070.0%

사용자별 채팅 빈도 분석

채팅 횟수 사용자 수 비율
1회47,46639.2%
2회19,27415.9%
3회10,9309.0%
4회7,1655.9%
5회5,1964.3%
6회3,8703.2%
7회3,1162.6%
8회2,4422.0%
9회1,9751.6%
10회1,7731.5%
11회 이상17,75014.7%

채팅 참여도 통계

평균 채팅 수7.24회
중간값2회
최대 채팅 수687회
Q1 (하위 25%)1회
Q3 (상위 25%)6회

* 39.2%의 사용자가 1회만 채팅
* 상위 25% 사용자가 6회 이상 채팅
* 평균(7.24회)이 중간값(2회)보다 높아 소수의 적극적 참여자 존재

채팅 데이터 주요 트렌드:

총 채팅 건수는 875,770건으로, 120,957명의 고유 사용자가 11개 방송사를 통해 활발히 참여했습니다. 평균적으로 한 사용자당 7.24회 채팅했으나, 중간값은 2회로 소수의 적극적 참여자가 전체 채팅량을 주도했습니다.

방송사별 채팅 분포는 MBC(34.5%, 302,109건, 46,317명)가 가장 높았고, SBS(15.8%, 138,276건, 19,709명), 채널A(13.1%, 114,951건, 31,208명), YTN(9.7%, 84,824건, 6,790명) 순으로 주요 방송사가 채팅량과 사용자 수를 주도했습니다. 연합뉴스는 0.0%로 미미했습니다.

사용자 참여 패턴은 39.2%가 1회만 채팅한 일회성 참여자였으며, 2회 참여자가 15.9%, 3회 이상 참여자가 44.9%를 차지했습니다. 특히 상위 25%의 사용자가 6회 이상 채팅하여 전체 채팅의 상당 부분을 생성했으며, 최다 채팅자는 687회를 기록했습니다.

참여자 다양성은 MBC(46,317명)와 채널A(31,208명)에서 높은 사용자 수를 보이며 다양한 시청자층의 참여를 반영합니다. 반면, 연합뉴스는 사용자 수(107명)가 적어 제한적 참여를 나타냅니다.

2. Youtube 영상 조회수 및 참여도 분석

방송사별 Youtube 영상 조회수 및 참여도

방송사 영상 수 총 조회수 총 좋아요수 총 댓글수(~24시) 평균 좋아요율
MBC21,332,17427,1551,4002.0%
채널A11,138,92714,65101.3%
SBS2856,7785,41800.6%
델리민주1341,03621,8018616.4%
JTBC1201,3012,7137791.3%
KBS1191,7711,95701.0%
YTN2139,026990480.7%
TV조선155,7041,47402.6%
오마이TV146,3294,025178.7%
연합뉴스312,84818481.4%
MBN15,3757101.3%

* 평균 좋아요율 = (총 좋아요수 / 총 조회수) × 100

Youtube 영상 참여도 주요 트렌드:

조회수 선두 그룹: MBC(133만), 채널A(114만), SBS(86만)가 압도적인 조회수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MBC는 2개 영상으로 가장 높은 조회수를 달성했으며, 채널A는 단일 영상으로 114만 조회수를 기록했습니다.

높은 참여율 방송사: 오마이TV(좋아요율 8.7%)와 델리민주(6.4%)가 상대적으로 적은 조회수에도 불구하고 가장 높은 좋아요율을 보였습니다. 이는 해당 방송사의 시청자층이 더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댓글 참여도: MBC(1,400개), 델리민주(861개), JTBC(779개)만이 유의미한 댓글 수를 기록했습니다. 대부분의 방송사가 댓글을 비활성화했거나 매우 적은 댓글만 허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채팅 활동과의 상관관계: 채팅 활동이 높았던 MBC, SBS는 조회수도 높았으나, 채널A는 채팅 활동(13.1%) 대비 조회수가 매우 높아 시청자들이 채팅보다는 시청에 집중했음을 시사합니다.

3. 후보별 언급 및 열성 지지자 활동 분석

방송사별 후보 언급 건수

방송사 김문수 이재명 이준석 권영국
MBC21,901 (7.2%)29,640 (9.8%)19,770 (6.5%)4,675 (1.5%)
SBS21,887 (15.8%)19,761 (14.3%)6,260 (4.5%)1,537 (1.1%)
채널A13,648 (11.9%)4,773 (4.2%)3,949 (3.4%)1,399 (1.2%)
YTN10,271 (12.1%)7,687 (9.1%)4,455 (5.3%)1,512 (1.8%)
KBS21,003 (28.4%)13,582 (18.4%)2,873 (3.9%)877 (1.2%)
TV조선10,136 (15.6%)5,415 (8.3%)2,158 (3.3%)2,104 (3.2%)
델리민주1,252 (2.8%)6,437 (14.4%)1,123 (2.5%)1,642 (3.7%)
JTBC2,266 (7.2%)3,424 (10.9%)3,151 (10.1%)788 (2.5%)
오마이TV860 (5.1%)1,234 (7.3%)1,273 (7.6%)299 (1.8%)
MBN404 (11.2%)310 (8.6%)162 (4.5%)142 (3.9%)
연합뉴스19 (6.2%)26 (8.5%)28 (9.2%)15 (4.9%)

방송사별 열성 지지자 채팅 (2회 이상 후보 언급/채팅1회당)

방송사 김문수 이재명 이준석 권영국
MBC2,573 (0.9%)4,251 (1.4%)1,611 (0.5%)208 (0.1%)
SBS3,565 (2.6%)2,867 (2.1%)753 (0.5%)20 (0.0%)
채널A915 (0.8%)400 (0.3%)236 (0.2%)27 (0.0%)
YTN1,492 (1.8%)1,014 (1.2%)479 (0.6%)28 (0.0%)
KBS3,368 (4.6%)2,163 (2.9%)452 (0.6%)46 (0.1%)
TV조선1,085 (1.7%)639 (1.0%)122 (0.2%)54 (0.1%)
델리민주15 (0.0%)441 (1.0%)20 (0.0%)15 (0.0%)
JTBC106 (0.3%)342 (1.1%)130 (0.4%)19 (0.1%)
오마이TV17 (0.1%)84 (0.5%)38 (0.2%)4 (0.0%)
MBN56 (1.5%)27 (0.7%)13 (0.4%)1 (0.0%)
연합뉴스2 (0.7%)1 (0.3%)1 (0.3%)0 (0.0%)

* 열성 지지자 라이브 채팅: 한 채팅글에서 특정 후보를 2회 이상 언급한 경우

4. 후보 조합 언급 분석

방송사별 후보 조합 언급

방송사 이재명+김문수 김문수+이준석 이준석+이재명 이재명+김문수+이준석 권영국+김문수 권영국+이재명 권영국+이준석
MBC1,531 (0.5%)1,879 (0.6%)1,558 (0.5%)429 (0.1%)287 (0.1%)927 (0.3%)317 (0.1%)
SBS369 (0.3%)503 (0.4%)326 (0.2%)109 (0.1%)81 (0.1%)272 (0.2%)80 (0.1%)
채널A238 (0.2%)601 (0.5%)243 (0.2%)107 (0.1%)40 (0.0%)115 (0.1%)21 (0.0%)
YTN349 (0.4%)394 (0.5%)358 (0.4%)103 (0.1%)64 (0.1%)210 (0.2%)55 (0.1%)
KBS189 (0.3%)206 (0.3%)83 (0.1%)25 (0.0%)36 (0.0%)129 (0.2%)33 (0.0%)
TV조선353 (0.5%)305 (0.5%)145 (0.2%)56 (0.1%)84 (0.1%)231 (0.4%)50 (0.1%)
델리민주51 (0.1%)104 (0.2%)61 (0.1%)24 (0.1%)48 (0.1%)245 (0.5%)42 (0.1%)
JTBC183 (0.6%)199 (0.6%)171 (0.5%)37 (0.1%)69 (0.2%)83 (0.3%)64 (0.2%)
오마이TV57 (0.3%)138 (0.8%)77 (0.5%)30 (0.2%)20 (0.1%)49 (0.3%)32 (0.2%)
MBN18 (0.5%)61 (1.7%)12 (0.3%)3 (0.1%)5 (0.1%)18 (0.5%)3 (0.1%)
연합뉴스2 (0.7%)2 (0.7%)1 (0.3%)0 (0.0%)1 (0.3%)3 (1.0%)2 (0.7%)

후보 언급 및 조합 분석 결과:

후보 언급: 김문수는 MBC(21,901건, 7.2%), SBS(21,887건, 15.8%), KBS(21,003건, 28.4%)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었으며, 이재명은 MBC(29,640건, 9.8%), SBS(19,761건, 14.3%), KBS(13,582건, 18.4%)에서 높은 언급량을 기록했습니다. 이준석은 MBC(19,770건, 6.5%)에서 두드러졌으나 전체적으로 김문수, 이재명보다 적었습니다. 권영국은 MBC(4,675건, 1.5%), TV조선(2,104건, 3.2%)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언급을 보였으나, 다른 후보들에 비해 언급량이 적었습니다.

열성 지지자 활동: 김문수 열성 지지자 채팅(2회 이상)은 SBS(3,565건, 2.6%), KBS(3,368건, 4.6%)에서 강세였고, 이재명은 MBC(4,251건, 1.4%), SBS(2,867건, 2.1%)에서 활발했습니다. 이준석 열성 지지자 채팅은 MBC(1,611건, 0.5%)에서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전체 열성 지지자 활동은 김문수, 이재명보다 낮았습니다. 권영국 열성 지지자 채팅은 MBC(208건, 0.1%)에서 가장 높았으나, 다른 후보들에 비해 미미했습니다.

후보 조합: '김문수+이준석' 조합은 MBC(1,879건, 0.6%), 채널A(601건, 0.5%)에서 가장 빈번했으며, '이재명+김문수'는 MBC(1,531건, 0.5%), '이준석+이재명'는 MBC(1,558건, 0.5%)에서 두드러졌습니다. 3자 조합(이재명+김문수+이준석)은 MBC(429건, 0.1%)에서 가장 많았으나 전체적으로 적었습니다. 권영국 관련 조합은 '권영국+이재명'이 MBC(927건, 0.3%)에서 상대적으로 활발했으나, 전체적으로 낮은 빈도를 보였습니다.

시사점: 김문수와 이재명은 주요 방송사(MBC, SBS, KBS)에서 높은 언급과 열성 지지자 활동을 보이며 토론회 논의의 중심에 있었음. 특히 MBC는 이재명 언급이 가장 높았고, KBS는 김문수 언급 비율이 28.4%로 압도적이었음. 이준석은 상대적으로 낮은 언급량이나 MBC에서 조합 논의가 활발했음. 권영국은 MBC와 TV조선에서 주목받았으나, 전체 언급량과 열성 지지자 활동은 다른 후보들에 비해 적어 제한적 인지도를 시사함. '김문수+이준석' 조합의 높은 빈도는 보수 연대 논의, '이재명+김문수'는 양자 대립 구도를, '권영국+이재명'은 특정 방송사에서 제한적 비교 논의를 반영함.

보론: 채팅 내용 심층 분석 (랜덤 샘플링)

분석 방법론

작성자ID별로 하나의 채팅을 랜덤 샘플링하여 총 120,957개의 채팅을 분석했습니다. 이는 중복 채팅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다양한 참여자의 의견을 균형있게 반영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후보별 감정 분석 결과

후보자 총 언급 수 긍정(위트 포함) 부정(조롱 포함) 중립/사실논평
이재명11,251 (9.3%)25.4%11.4%63.1%
김문수12,862 (10.6%)24.5%9.6%65.9%
이준석10,678 (8.8%)22.5%14.2%63.3%
권영국3,392 (2.8%)25.5%14.1%60.4%

* 다양한 호칭(예: 재명아, 문수야, 준석아, 영국아) 포함

주제별 채팅 비중 분석

주제 언급 수 비율 주요 시간대
토론태도8,5557.07%전체 시간대
원자력발전1,8071.49%21시 (88.0%)
개인 도덕성1,5071.25%20시 (46.5%)
김문수-이준석 단일화7790.64%전체 시간대
재생에너지7650.63%21시
의료개혁7430.61%20-21시
사회갈등해결5350.44%전체 시간대
연금개혁4720.39%20-21시

채팅 내용 분석 주요 발견:

감정 분석: 모든 후보에 대해 중립/사실논평이 60% 이상으로 나타나 대체로 정책과 토론 내용에 집중한 것으로 보입니다. 권영국(25.5%)과 이재명(25.4%)이 가장 높은 긍정 비율을 보였으며, 김문수는 가장 낮은 부정 비율(9.6%)을 기록했습니다. 이준석과 권영국은 상대적으로 높은 부정 비율(각각 14.2%, 14.1%)을 보였습니다.

주제별 관심도: 토론태도(7.07%)가 압도적으로 높은 관심을 받았으며, 이는 시청자들이 정책보다 후보들의 태도와 토론 방식에 더 주목했음을 시사합니다. 정책 이슈 중에서는 원자력발전(1.49%)이 가장 높은 관심을 받았고, 특히 21시 시간대에 집중적으로 논의되었습니다.

단일화 논의: 김문수-이준석 단일화에 대한 언급(0.64%)은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꾸준히 언급되어 보수 진영 내 연대 가능성에 대한 관심을 반영합니다.

시사점: 채팅 참여자들은 정책 내용보다는 후보들의 토론 수행능력과 태도에 더 큰 관심을 보였으며, 대체로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논평이 주를 이루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