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2025년 5월 20일 (화) 21:00 | 데이터 출처: 주요 언론사 보도 기사, 후보자 발언
5월 19-20일 07:00-19:00 시간대에 생산된 언론 기사 중 대선 후보 관련 기사 총 4,384건 분석. 이 보고서는 세 명의 주요 후보(이재명, 김문수, 이준석)와 두 정당(민주당, 국민의힘)의 언론 보도 흐름과 후보들의 발언 패턴의 인용을 종합적으로 분석합니다.
구분 | 5월 19일 | 5월 20일 | 변화율 | 비고 | |
---|---|---|---|---|---|
후보 관련 기사 | 2,283건 | 2,101건 | -8.0% | 주요 시간대(07:00-19:00) 기준 | |
이재명 언급 | 1,311건 (46.4%) | 1,113건 (46.5%) | -15.1% | 언급 비율 유지, 절대 건수 감소 | 최다 언급 |
김문수 언급 | 962건 (34.1%) | 918건 (38.4%) | -4.6% | 언급 비율 4.3%p 증가 | |
이준석 언급 | 550건 (19.5%) | 362건 (15.1%) | -34.2% | 언급 비율 4.4%p 감소 | |
민주당 연관 | 84건 | 89건 | +6.0% | 이재명 연관 기사 제목 기준 | |
국민의힘 연관 | 77건 | 80건 | +3.9% | 김문수 연관 기사 제목 기준 |
후보 조합 | 5월 19일 | 5월 20일 | 변화율 | 시사점 | |
---|---|---|---|---|---|
이재명 단독 | 1,059건 | 921건 | -13.0% | 여전히 가장 많은 단독 언급 | 최다 |
김문수 단독 | 591건 | 704건 | +19.1% | 단독 언급 크게 증가 | |
이준석 단독 | 187건 | 213건 | +13.9% | 소폭 증가 | |
이재명 + 김문수 | 83건 | 114건 | +37.3% | 양자 구도 강화 신호 | 최대 증가 |
이재명 + 이준석 | 75건 | 49건 | -34.7% | 언급 조합 크게 감소 | |
김문수 + 이준석 | 194건 | 71건 | -63.4% | 보수 연대 약화 신호 | |
이재명 + 김문수 + 이준석 | 94건 | 29건 | -69.1% | 3자 구도 소개 급격히 약화 |
후보 | 건수 | 비율 |
---|---|---|
이재명 | 1,311 | 46.4% |
김문수 | 962 | 34.1% |
이준석 | 550 | 19.5% |
합계 | 2,823 | 100% |
후보 | 건수 | 비율 |
---|---|---|
이재명 | 1,113 | 46.5% |
김문수 | 918 | 38.4% |
이준석 | 362 | 15.1% |
합계 | 2,393 | 100% |
후보 조합 분석 결과: 후보 언급 조합 패턴에 뚜렷한 변화가 관찰되었습니다. '이재명+김문수' 조합이 37.3%나 증가한 반면, '김문수+이준석' 조합은 63.4% 감소했고 '이재명+김문수+이준석' 3인 조합의 종합 소개는 무려 69.1%나 급감했습니다. 이는 선거 구도 보도가 3자 경쟁 소개에서 이재명-김문수 간 양자 구도로 재편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김문수 후보의 단독 언급이 19.1% 증가하며 독자적 행보가 강화되었고, 이는 민주당-이재명 VS 국민의힘-김문수의 양당 양자 대결 구도가 언론 지형에서 형성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준석 후보의 경우 단독 언급은 13.9% 증가했으나 전체 언급 비율은 19.5%에서 15.1%로 감소하여 선거 구도에서 입지가 약화되고 있습니다.
구분 | 이재명 | 김문수 | 이준석 | 주요 특징 | |
---|---|---|---|---|---|
독백형 자기주장 | 300건 (81.7%) | 144건 (55.8%) | 77건 (30.2%) | 이재명은 독백형, 이준석은 상호작용형 중심 | |
상호작용형 발언 | 67건 (18.3%) | 114건 (44.2%) | 178건 (69.8%) | 이준석의 상호작용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음 | |
정책중심 발언 | 259건 (70.6%) | 84건 (32.6%) | 37건 (14.5%) | 이재명의 정책중심 발언 비중이 가장 높음 | |
비판/공격 발언 | 41건 (11.2%) | 60건 (23.3%) | 120건 (47.1%) | 이준석의 비판/공격 발언 비중이 가장 높음 | 최고 비율 |
주요 타깃 | 김문수(29건) | 이재명(50건) | 이재명(92건) | 이준석과 김문수 모두 이재명을 주요 타깃으로 삼음 |
후보별 발언 패턴 특징: 세 후보는 매우 뚜렷한 발언 패턴 차이를 보여주었습니다.
① 이재명 후보의 '정책 중심, 독백형' 전략: 이재명 후보는 전체 발언의 81.7%를 독백형 자기주장으로 구성하며, 70.6%가 정책중심 발언이었습니다. 이는 선두 주자로서 다른 후보의 공격에 직접 대응하기보다 자신의 정책과 비전을 강조하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특히 "주 4.5일제", "GTX-D 원주 연장", "방탄유리" 등이 주요 키워드로 등장했습니다.
② 김문수 후보의 '균형형' 전략: 김문수 후보는 독백형(55.8%)과 상호작용형(44.2%) 발언이 비교적 균형을 이룬 것이 특징입니다. 정책중심(32.6%)보다는 이재명 후보 비판(50건)과 이준석 후보 포용(31건의 제안)에 주력했습니다. 특히 '방탄조끼' 관련 발언과 단일화 제안이 주요 키워드였습니다.
③ 이준석 후보의 '공격형, 상호작용' 전략: 이준석 후보는 독백형(30.2%)보다 상호작용형(69.8%) 발언에 집중했으며, 정책중심(14.5%)보다 비판/공격(47.1%) 발언이 압도적으로 많았습니다. 특히 이재명 후보에 대한 공격이 92건으로, '총통', '연산군', '호텔경제학' 등 강한 어조의 표현을 사용했습니다. 동시에 김문수 후보의 단일화 제안에 대해 "구태", "전혀 할 생각 없다"는 식의 거부 발언이 두드러졌습니다.
구분 | 민주당 | 국민의힘 | 주요 특징 | |
---|---|---|---|---|
독백형 자기 주장 | 15건 (22.1%) | 24건 (30.0%) | 양당 모두 독백보다 비판형 발언 위주 | |
타 정당 비판 | 52건 (76.5%) | 51건 (63.8%) | 정당 간 상호 비판이 주를 이룸 | |
타 후보 비판 | 1건 (1.4%) | 5건 (6.2%) | 정당의 후보 직접 비판은 적은 편 | |
주요 정책 발언 | 정책/공약 (9건) | 정책/공약 (20건) | 국민의힘이 더 많은 정책 발언 | |
후보와의 연계성 (본문 기준) |
5월 19일: 91.1% 5월 20일: 93.8% |
5월 19일: 71.0% 5월 20일: 80.9% |
양당 모두 후보와 연계성 강화 | 강화 |
정당-후보 관계 분석: 양 정당은 모두 직접적인 정책 주장보다는 상대 정당 비판에 치중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민주당은 발언의 76.5%, 국민의힘은 63.8%가 상대 정당 비판이었습니다. 주목할 점은 정당-후보 간 연계성이 5월 19일에서 20일로 가면서 모두 강화되었다는 것입니다. 민주당-이재명 연계성은 91.1%에서 93.8%로, 국민의힘-김문수 연계성은 71.0%에서 80.9%로 증가했습니다. 이는 선거 구도가 더욱 정당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국민의힘-김문수 연계성이 크게 강화(+9.9%p)된 것은 국민의힘이 김문수 후보를 중심으로 단일화하려는 전략이 강화되었음을 보여줍니다. 반면 개혁신당-이준석 연계성은 오히려 41.5%에서 31.3%로 하락하여 이준석 후보의 독자 노선이 강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항목 | 변화 내용 | 시사점 | |
---|---|---|---|
3자 구도 → 양자 구도 | '이재명+김문수' 조합 37.3% 증가 '세 후보 동시 언급' 69.1% 감소 |
이재명-김문수 중심의 양자 대결 구도로 언론보도 재편 중 | 핵심 변화 |
후보별 전략 차별화 | 이재명 '정책형 독백'(70.6%) 김문수 '균형형'(양쪽 40% 내외) 이준석 '비판형 상호작용'(47.1%) |
각 후보의 선거 전략 뚜렷이 차별화 | |
정당-후보 결속 강화 | 민주당-이재명 93.8%(+2.7%p) 국민의힘-김문수 80.9%(+9.9%p) |
양당 양자 구도 강화, 정당 중심 선거 재편 | |
비판 타깃 구조화 | 이준석→이재명(92건) 김문수→이재명(50건) 이재명→김문수(29건) |
이재명이 주요 공격 대상, 방어적 자세 유지 |
종합 분석 및 향후 예상:
5월 19-20일 07:00-19:00 시간대 언론 보도 분석 결과, 언론의 대선 구도 보도가 '3자 경쟁'에서 '이재명-김문수' 양자 대결로 재편되고 있음이 확인되었습니다. 세 후보 동시 언급이 69.1% 감소한 반면, 이재명-김문수 조합은 37.3% 증가했습니다. 각 후보의 뚜렷이 차별화된 전략이 언론상으로 두드러지는데, 이재명 후보는 정책 중심 발언(70.6%)을 통해 선두 주자로서 안정감을 보여주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김문수 후보는 균형적 접근으로 이재명 비판과 함께 이준석 포용 전략을 병행하며 보수 단일화 주도권을 확보하려 하고 있습니다. 이준석 후보는 공격적 상호작용 전략(47.1%)으로 이재명을 집중 공격하며 차별화를 시도하지만, 언론 노출도는 감소(-34.2%) 추세입니다.
향후 예상되는 언론 보도 흐름:
1. 양자 구도 고착화: 이재명-김문수 중심 보도 증가
2. 정책 논쟁 심화: 이재명의 정책 중심 전략에 대한 김문수의 정책 대응 증가 예상
3. 이준석의 공격 강화: 제3후보 위치 약화될수록 이재명 공격 수위 높일 것으로 예상
4. 정당 역할 확대: 후보 대신 정당이 비판 역할 맡는 패턴 강화될 것으로 예상
5. 정당-후보 연계성 심화: 민주당-이재명, 국민의힘-김문수 간 결속 더욱 강화될 전망
언론 보도 주요 트렌드: 몇 가지 중요한 추세가 확인되었습니다.
① 이재명 후보의 언급 빈도(46.4→46.5%)는 유지되고 있으나, 절대적 언급 건수는 15.1% 감소했습니다. 이는 전체 후보 관련 기사 수 감소(8.0%)보다 큰 폭으로, 이재명 후보의 뉴스 가치가 다소 하락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② 김문수 후보의 언급 비율(34.1→38.4%)은 4.3%p 증가했으며, 절대적 언급 건수 감소율(-4.6%)도 다른 후보들에 비해 낮았습니다. 이는 김문수 후보가 5월 20일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언론의 주목을 받았음을 의미합니다.
③ 이준석 후보의 언급 비율(19.5→15.1%)과 절대 건수(-34.2%)가 크게 감소했습니다. 이는 이준석 후보의 언론 노출이 5월 20일에 눈에 띄게 줄어들었음을 보여줍니다.
④ 정당-후보 연관성에서는 민주당-이재명(6.0% 증가), 국민의힘-김문수(3.9% 증가) 모두 약간 상승했으나, 개혁신당-이준석 연관성은 동일 수준(4건)을 유지했습니다. 이는 기존 정당의 후보에 대한 지지와 결속이 강화되는 반면, 이준석 후보는 소속정당(개혁신당)과의 연계보다는 독자 노선을 강화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