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2025년 5월 20일 (화) 09:00
순위 | 주제 | 주요 내용 | 관련 언론사 |
---|---|---|---|
1 | 지귀연 판사 룸살롱 접대 의혹 사진 공개 (27%) | 민주당 "지귀연 판사 룸살롱 의혹 사진 공개", "뻔뻔한 거짓말", "룸살롱서 삼겹살 먹나", "당장 법복 벗겨야", "공수처 고발 검토", 지귀연 "민주당 제기한 접대 의혹 사실 아냐", "접대 받는 생각도 해본 적 없다", 나경원 "애매한 사진 공개로 마녀사냥", "판사 숙청 선언", 민주 "사법부 자정 노력 지켜보겠다" | 뉴시스, 국민일보, 머니투데이, 파이낸셜뉴스, 연합뉴스, JTBC, 한겨레, 경향신문, 매일경제, 서울경제, 한국경제, 헤럴드경제, 동아일보, 문화일보, 세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TV조선, Channel A, SBS, KBS, MBN, 노컷뉴스, 서울신문, 강원일보, 매일신문, 조세일보, 더팩트, 오마이뉴스, 주간경향, 한경비즈니스 |
2 | 이재명 후보 지지율 조사 결과 (15%) | "이재명 50.2%, 김문수 35.6%, 이준석 8.7%[리얼미터]", "이재명 51%, 수도권·호남서 과반...보수단일화 50%가 '반대'[입소스]", "이재명 48%·김문수 33%·이준석 7%...박스권 갇힌 세 후보[매경·MBN]", "가상대결 이재명 52.1%, 김문수 29.5%, 이준석 7.0%", "중도층 53%도 이재명 지지...김문수, 영남서도 50% 못 넘겨", "이재명, 다자·양자 모두 50% 넘는 지지율로 1위", "TK서는 김문수 44.9%, 이재명 43.5% 오차범위 내 경합", 박지원 "이재명 60%, 김문수 30% 득표율 예상" | 국민일보, 조세일보, 강원일보, 미디어오늘, 전자신문, 시사저널, 더팩트, 매일경제, 한국경제, 이코노미스트, 아시아경제, SBS, 연합뉴스, 조선비즈, 한경비즈니스 |
3 | 중도보수 인사들의 이재명 지지 선언 (12%) | "허은아도 이재명 지지 선언...'일관된 포용의 리더십'", "박근혜 지지자들, 태극기 쥐고 이재명 응원", "김상욱, 민주당 입당식...'국민의힘은 정당으로서 기능 상실'", "김용남 '팬클럽 수준'...개혁신당 탈당하고 이재명 지지한 이유", "일부 '박근혜 지지' 모임 '파렴치한 국힘 떠나겠다'...이재명 지지선언", "민주당으로 몰려드는 보수 정치인들...김상욱·김용남 이어 허은아까지?", "'파란 민주당 옷' 입은 김상욱...개혁신당 출신 인사들도 '이재명 지지'", 홍준표 프로필 파란 넥타이로 바꿨다 빨간 넥타이로 변경 | 매일경제, 매일신문, 여성신문, 연합뉴스, 조선비즈, 조세일보, 경기일보, 프레시안, 한국경제, 중앙일보, 아시아경제, 시사저널, 주간조선 |
4 | 커피 원가 120원 논란 (10%) | "민주, '커피 원가 120원' 김용태 고발... 국민의힘도 맞고발", "커피 원가가 대체 얼만데? 이재명 '120원' 논란, 맥락과 진실은", "이재명 커피 원가 120원 발언에 뿔난 커피 점주들, '자영업자 노고 폄하'", "카페 사장들, 이재명 '원가 120원' 발언에 뿔났다...형사고발까지", "김문수 '커피 원가 120원인가' 이재명 '말엔 맥락있어, 왜곡'", "국힘, 이재명 '커피 원가 120원'에 '자영업자 가슴에 대못...사과부터 해야'", 한동훈 "이재명, 의원 원가 0원인데 억대 세비 왜 받나" | 파이낸셜뉴스, 서울신문, 주간조선, CJB청주, 매일신문, 세계일보, 중앙일보, 이데일리, Channel A, 국힘 KBS |
5 | TV토론 후속 분석 및 평가 (9%) | "꼬리에 꼬리 문 '저격 사슬'... 김문수·이준석 협공에 이재명 '단편적·극단화' 역공", "'이재명 청문회' 된 첫 TV토론...'어대명' 굳힐까, 금갈까", "첫발 뗀 TV 토론, 이재명 '진지한 토론 됐다'...이준석 '토론 안 돼' 극과 극", "경제활성화 대책? 김문수 '일자리' 이재명 '추경' 이준석 '최저임금 자율제'", "불법 대북 송금 캐물은 김문수…이재명 '억지 기소'", "이준석 '셰셰는 친중 발언'...이재명 '뭐든지 극단화시켜'", "이준석 '호텔결제 취소해도 돈 돈다?' 이재명 '극단적 예일뿐'", "논란의 중심에 선 이재명의 '호텔경제학'... '단순화하면서 오해 불러'", 천하람 "이재명, 토론회 태도 오만하고 거만해...정책 숙지되지 않은 모습", 권성동 "이재명, 토론서 金에 '어쩌라고' 조롱...인성·자질 모두 미달" | 머니투데이, 시사저널, 디지털데일리, 한국일보, 헤럴드경제, 연합뉴스, 중앙일보, JTBC, 시사저널, 대전일보 |
6 | 선거 홍보물 훼손 지속 (7%) | "제주서 훼손된 이재명 벽보, 용의자는 초등학생 2명", "[단독]서초에서도...이재명 입 찢은 벽보, 용의자 특정 중", "전국 곳곳서 이재명만 찢긴다...이번엔 충남 태안서 선거벽보 훼손, 민주당이 신고", "[단독] 라이터로 이재명 현수막 훼손한 50대 남성, 수일 만에 체포", "민주당 이재명 후보 현수막 훼손한 70대 남성 입건", "이재명 벽보 입 찢고, 김문수 현수막 불붙이고...'극단 정치'에 전염된 유권자들", "경찰, '이재명 살해협박' 게시자 2명 특정...이준석 살해협박 글도 수사 중", "'이재명 살해 위협' 주장에...경찰 '유의미한 첩보 없어'", "경찰 '전담기동대 등 후보자 3선 경호...이재명 살해협박 2명 특정'", "이재명, '방탄 유리막' 유세...대선 후보 사상 처음", "'방탄유리' 설치된 유세차량에서 연설하는 이재명" | 부산일보, 경향신문, 경기일보, CJB청주, 시사저널, JTBC, 이데일리, 문화일보, TV조선, 조선일보, 더팩트 |
7 | AI 및 경제정책 공약 (7%) | "이재명 '재생에너지 과감히 늘려야'...태양광株 날았다", "이재명 '게임은 일탈 아닌 문화'...e스포츠 산업 육성 의지 밝혀", "[대선 2025] 이재명 '모두의 AI' 꼬집은 이준석...'갈라파고스 우려'", "[대선 2025] AI 전력 어디서? '재생' 이재명 vs '원전' 김문수·이준석", "이재명 '원전 활용하되 재생에너지 중심 전환'...김문수 '탈원전 잘못'", "이재명 '에너지 정책, 재생에너지 중심'... 태양광·풍력 관련주 강세", "[오늘의 급등주] 이재명 후보 재생에너지 관련 발언에 HD현대에너지솔루션 급등세", "이재명표 '지역화폐' 공방 격화...'현금깡' vs '써봤나'", 한동훈 "이재명 지역화폐 겨냥 '나라 망가져도 표 챙기겠단 것'" | 이데일리, 지디넷코리아, 머니S, 주간동아, 디지털데일리, 한국경제, 대전일보 |
8 | 개헌 논의 (5%) | "이재명 '연임'에 '중임'으로 맞받아친 김문수", "이재명, '4년 연임' 개헌안 발표...'나는 적용 대상 아냐'", "대선후보 첫 TV토론, 이재명-김문수가 던진 개헌 카드", "김용태 '이준석과 적절한 시기에 단일화 논의...이재명, 임기 단축 개헌 답해야'", "[人사이더] 민주 '김문수 개헌 주장, 술수에 불과' vs 국힘 '이재명, 장기집권 위한 개헌안'", "'이재명 개헌론에 화답'...현장 소속 김종민, 7당 전원 참여 '개헌절차법' 발의", "개헌 띄운 이재명...尹탈당 추격전 나선 김문수" | 주간조선, YTN, 기자협회보, 강원일보, 뉴시스, 디지털타임스, 시사저널 |
9 | 안보 및 외교 정책 (4%) | "이재명 '尹 계엄 할 것 같았다...북한이 휴전선에 장벽 쌓아서'", "북핵 해법에 김문수 '보복타격 확보'...이재명 '한반도 비핵화'", "불법 대북 송금 캐물은 김문수...이재명 '억지 기소'", "[속보] 김문수 '한미동맹이 기본 축'... 이재명 '중·러 관계도 중요'", "김문수 '中 협박에 침묵' 이준석 '셰셰는 친중'...이재명 '안보관' 집중 포화", "이재명 '軍 쿠데타 상속인에도 배상 책임 물어야'... 최태원·노소영 이혼 소송 영향은", "이재명 '美 관세전략, 미국민들도 수용 못해...견디는 게 중요'" | 헤럴드경제, 연합뉴스, 국제신문, 프레시안, 한국경제, 시사저널, 조선비즈 |
10 | 김혜경 관련 보도 및 기타 (4%) | "'이재명 아내' 김혜경, 공직선거법 위반 항소심 벌금형 불복해 상고", "이재명 '차별금지법 방향 맞지만 논쟁·갈등 심화로 당장 해야할 일 못해'", "'방향은 맞지만, 지금은...' 차별금지법에 대한 이재명의 답이 놓친 것", "의협 '민주당 공공의대 공약, 기대효과 불투명'...'사립의대 역차별' 주장도", "국민의힘 부산선대위 '이재명, 산업은행 이전 외면은 시민 우롱'", "해운·수산 25개 노조, 이재명의 HMM본사 부산 이전 지지선언", "국힘 '이재명, 판교구청사 부지 매각 직권남용죄 혐의로 고발할 것'" | 아이뉴스24, 여성신문, 국제신문, 동아사이언스, 부산일보, CJB청주 |
① 보도 주제군: 이재명 관련 주요 보도는 지귀연 판사 룸살롱 접대 의혹 사진 공개(27%), 이재명 후보 지지율 조사 결과(15%), 중도보수 인사들의 이재명 지지 선언(12%)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전날 대비 개헌 구상과 5·18 기념식 관련 보도는 감소한 반면, 지귀연 판사 의혹이 새로운 핵심 이슈로 부상했습니다.
② TV토론 유튜브 채팅 분석 결과: TV토론 라이브 채팅에서 총 66만여 개의 댓글이 발생했으며, 중복 제거한 고유 사용자 수는 10.6만여 명입니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후보별 언급 패턴으로, 김문수 후보는 총 언급 횟수는 1위(39.9%)지만 고유 사용자 기준으로는 2위(29.5%)인 반면, 이재명 후보는 역으로 총 언급 횟수는 2위(36.3%)이나 고유 사용자 기준으로는 1위(32.7%)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이재명 후보가 더 넓은 유권자층에게 관심을 받는 반면, 김문수 후보는 적극적인 지지층의 반복 언급이 많음을 시사합니다.
③ 댓글 반응: 이재명의 '방탄 유리막' 유세 관련 기사(1,967건)와 지귀연 판사 접대 의혹 관련 기사(1,934건)에 가장 많은 댓글이 달렸습니다. 조회수는 JTBC의 TV토론 관련 기사가 14만 이상으로 가장 높았습니다. 지귀연 판사 관련 기사들이 대부분의 상위 댓글수를 차지했습니다.
④ 연령대별 관심:
- 20대: 지귀연 판사 접대 의혹 관련 기사(6%), 여론조사 결과(5%)에 관심
- 30대: 나경원의 지귀연 사진 관련 발언(33%), 지귀연 의혹 검증 기사(30%) 주목
- 40대: MBC의 지귀연 관련 보도(48%), 이재명 커피 원가 논란(45%) 관심
- 50대: JTBC와 경향신문의 지귀연 관련 보도(43%, 42%)에 관심
- 60대+: 지귀연 논란(45%), 박근혜 지지층의 이재명 지지 선언(45%)에 관심
⑤ 성별 관심: 남성은 지귀연 관련 기사(85-87%)에 압도적 관심을 보였으며, 여성은 한동훈 발언(70%), 나경원 발언(57%), 지귀연 의혹 검증 기사(42%)에 높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⑥ 주요 인사이트: TV토론 분석 결과, MBC 채널이 전체 채팅의 35%를 차지하며 가장 활발한 참여가 이루어졌습니다. 또한 후보별 언급 패턴은 단순 언급 횟수와 고유 사용자 언급 기준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여, 각 후보 지지층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특히 이준석 후보의 경우 총 언급 횟수(19.4%)에 비해 고유 사용자 기준 비율(28.4%)이 크게 높아, 다양한 유권자층의 관심을 받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순위 | 제목 | 언론 | 댓글수 | 조회 | |
---|---|---|---|---|---|
1 | 이재명, '방탄 유리막' 유세 …대선 후보 사상 처음 | 조선일보 | 1,967 | - | |
2 | 지귀연 "접대받은 적 없다" 민주당은 사진 공개... 진실 공방 | 조선일보 | 1,934 | - | |
3 | 민주당, 지귀연 룸살롱 사진 공개…"뻔뻔한 거짓말" | 매일경제 | 1,465 | - | |
4 | 이준석 "사이비처럼 위험" 이재명 공격...권영국 "장관 자격있냐" 김문수 지적 | JTBC | 1,429 | 140,392 | 관심 | 5 | 민주 '지귀연 룸살롱 사진' 공개…"사법부 자정 노력 지켜보겠다" | 동아일보 | 1,190 | - |
6 | 이준석 "이재명과 토론 불가…트럼프와 협상할 수 있겠나" | 아시아경제 | 1,021 | - | |
7 | 박근혜 지지단체도 이재명 지지 선언…"반성조차 없는 국힘 환멸" | 중앙일보 | 1,023 | - | |
8 | 민주당 "지귀연 판사 유흥주점 접대 사진 공개···거짓말에 책임져야" | 경향신문 | 954 | 111,007 | |
9 | 민주, 지귀연 의혹 사진 공개…"룸살롱서 삼겹살 먹나" | 서울경제 | 943 | - | |
10 | 권성동 "이재명, TV 토론서 '어쩌라고'… 대통령 돼선 안 되는 이유" | 경기일보 | 910 | 62,235 |
순위 | 언론 | 제목 | 20대 비율 | 댓글수 | |
---|---|---|---|---|---|
1 | 시사저널 | "지귀연 접대 의혹" 민주당 주장 확인해보니 룸살롱 아닌 단란주점, 남은 쟁점은 | 6% | 448 | 관심 |
2 | 머니S | [속보] 민주, 지귀연 판사 룸살롱 출입 증거 공개 | 6% | 385 | |
3 | 경기일보 | 민주당, 오후 1시50분 지귀연 판사 룸살롱 사진 공개 예정 | 6% | 219 | |
4 | 머니S | [속보] 민주 "지귀연 판사 룸살롱 의혹 사진 오후 1시50분 공개" | 6% | 205 | |
5 | 한경비즈니스 | 이재명 50.2% 김문수 35.6% 이준석 8.7% | 5% | 340 |
순위 | 언론 | 제목 | 30대 비율 | 댓글수 | |
---|---|---|---|---|---|
1 | 대전일보 | 나경원 "민주, 애매한 지귀연 사진으로 거짓 선동…결정적 증거 공개해야" | 33% | 206 | |
2 | 시사저널 | "지귀연 접대 의혹" 민주당 주장 확인해보니 룸살롱 아닌 단란주점, 남은 쟁점은 | 30% | 448 | |
3 | 디지털타임스 | 민주, `이재명 펀드` 대신 은행 대출로 선거비용 마련 | 27% | 378 | |
4 | 한경비즈니스 | 이재명 50.2% 김문수 35.6% 이준석 8.7% | 26% | 340 | |
5 | 세계일보 | [속보] 이재명 50.2%로 1위… 김문수 35.6%·이준석 8.7% [리얼미터] | 25% | 664 | 관심 |
순위 | 언론 | 제목 | 40대 비율 | 댓글수 | |
---|---|---|---|---|---|
1 | MBC | "접대 의혹 사실 아냐" 지귀연 반박에 민주당, '주점 내 사진' 공개 | 48% | 284 | |
2 | KBS | 국민의힘, 이재명 '커피 원가 120원'에 "자영업자 가슴에 대못…사과부터 해야" | 45% | 231 | |
3 | YTN | 민주 선대위 "지귀연 판사 룸살롱 접대 사진 공개" | 44% | 368 | 관심 |
4 | 노컷뉴스 | 민주, '룸살롱 의혹' 지귀연 사진 공개…"공수처 고발 검토"[영상] | 44% | 324 | |
5 | 한겨레 | 대법, 민주당 사진 공개로 지귀연 '접대 의혹' 조사 속도 낼 듯 | 44% | 282 |
순위 | 언론 | 제목 | 50대 비율 | 댓글수 | |
---|---|---|---|---|---|
1 | JTBC | 민주, 지귀연 룸살롱 의혹 사진 공개…"거기서 삼겹살 드시냐" | 43% | 677 | |
2 | 경향신문 | 민주당 "지귀연 판사 유흥주점 접대 사진 공개···거짓말에 책임져야" | 42% | 954 | 관심 |
3 | 한겨레 | 민주, 오후 1시50분 '지귀연 룸살롱 접대' 의혹 사진 공개 | 42% | 481 | |
5 | JIBS | "구제불능이라 못 찍는다".. 한동훈, "이재명보다 더 무서운 건 우리 편" 직격 | 42% | 259 | |
4 | SBS | '접대 의혹' 부인하자…사진 3장 공개한 민주당 | 39% | 214 |
순위 | 언론 | 제목 | 60대+ 비율 | 댓글수 | |
---|---|---|---|---|---|
1 | 조선일보 | 지귀연 "접대받은 적 없다" 민주당은 사진 공개... 진실 공방 | 45% | 1,934 | 관심 |
2 | 중앙일보 | 박근혜 지지단체도 이재명 지지 선언…"반성조차 없는 국힘 환멸" | 45% | 1,023 | |
3 | TV조선 | 민주, 지귀연 룸살롱 사진 공개…"뻔뻔한 거짓말" | 42% | 409 | |
4 | 동아일보 | 민주 "술접대 의혹 부인한 지귀연 판사, 사진 공개하겠다" | 41% | 801 | |
5 | 조선일보 | [단독] 노태우 아내 김옥숙 여사, 5·18 민주묘지 첫 방문…"진심으로 죄송" | 41% | 249 |
순위 | 제목 | 언론 | 남성 비율 | 주요 연령대 | 댓글수 | |
---|---|---|---|---|---|---|
1 | 민주 "술접대 의혹 부인한 지귀연 판사, 사진 공개하겠다" | 동아일보 | 87% | 60대+/50대 | 801 | |
2 | [단독] 노태우 아내 김옥숙 여사, 5·18 민주묘지 첫 방문…"진심으로 죄송" | 조선일보 | 87% | 60대+/50대 | 249 | |
3 | 민주 선대위 "지귀연 판사 룸살롱 접대 사진 공개" | YTN | 86% | 50대/60대+ | 368 | |
4 | 지귀연 "접대받은 적 없다" 민주당은 사진 공개... 진실 공방 | 조선일보 | 85% | 60대+/50대 | 1,934 | 관심 |
5 | 민주, 지귀연 '접대' 의혹 사진 공개.."룸살롱에서 삼겹살 먹나" | kbc광주방송 | 84% | 40대/50대 | 834 |
순위 | 제목 | 언론 | 여성 비율 | 주요 연령대 | 댓글수 | |
---|---|---|---|---|---|---|
1 | "구제불능이라 못 찍는다".. 한동훈, "이재명보다 더 무서운 건 우리 편" 직격 | JIBS | 70% | 50대/60대+ | 259 | |
2 | 나경원 "민주, 애매한 지귀연 사진으로 거짓 선동…결정적 증거 공개해야" | 대전일보 | 57% | 30대/40대 | 206 | |
3 | "지귀연 접대 의혹" 민주당 주장 확인해보니 룸살롱 아닌 단란주점, 남은 쟁점은 | 시사저널 | 42% | 30대/50대 | 448 | 관심 |
4 | 민주, 김문수 '선거법 위반' 고발… "'10억 민주보상금 포기' 허위 홍보" | 조선비즈 | 41% | 30대/40대 | 201 | |
5 | 민주, `이재명 펀드` 대신 은행 대출로 선거비용 마련 | 디지털타임스 | 34% | 30대/40대 | 378 |
방송사 | 총 댓글수 | 사용자수 | 이재명 | 김문수 | 이준석 | 권영국 | |
---|---|---|---|---|---|---|---|
MBC | 231,704 | 48,859 | 24,439 | 14,018 | 20,741 | 3,755 | 최다 참여 |
TV조선 | 86,568 | 7,272 | 11,926 | 24,013 | 7,001 | 2,090 | |
채널A | 82,534 | 20,334 | 5,559 | 18,324 | 7,359 | 962 | |
YTN | 53,809 | 12,116 | 3,241 | 5,795 | 3,814 | 454 | |
델리민주 | 49,044 | 8,381 | 9,335 | 1,707 | 1,298 | 1,733 | |
SBS | 46,289 | 7,924 | 13,066 | 12,641 | 2,958 | 316 | |
KBS | 45,129 | 4,572 | 15,757 | 14,009 | 1,744 | 348 | |
JTBC | 42,432 | 7,360 | 5,639 | 3,421 | 3,407 | 1,285 | |
MBN | 17,849 | 1,607 | 3,810 | 7,293 | 1,370 | 412 | |
연합뉴스TV | 8,056 | 766 | 937 | 1,939 | 506 | 154 | |
전체 | 663,414 | 106,514* | 93,709 | 103,160 | 50,198 | 11,509 | 합계 |
* 사용자ID 중복을 제거한 실제 고유 사용자 수
후보 | 총 언급 횟수 | 비율 | 고유 사용자 | 비율 |
---|---|---|---|---|
김문수 | 103,160 | 39.9%* | 19,203 | 29.5% |
이재명 | 93,709 | 36.3% | 21,302 | 32.7%* |
이준석 | 50,198 | 19.4% | 18,509 | 28.4% |
권영국 | 11,509 | 4.4% | 6,107 | 9.4% |
합계 | 258,576 | 100% | 65,121* | 100% |
* 한 사용자가 여러 후보를 언급할 수 있어 고유 사용자 합계는 전체 사용자 수보다 클 수 있음
항목 | 수치 |
---|---|
전체 채팅 숫자 | 663,414개 |
전체 고유 사용자 수 | 106,514명 |
사용자ID 중복 비율 | 10.64% |
ID별 평균 채팅수 | 6.23개 |
최다 참여 채널 수 | 7개 |
전체 참여자 중 90%는 단일 채널에서만 활동, 약 10%만이 복수 채널 참여
후보별 채팅 언급 비교: 총 언급 횟수 vs. 고유 사용자 기준
TV토론 채팅 데이터 분석 결과, 단순 언급 횟수와 고유 사용자 기준 분석 사이에 주목할 만한 차이가 발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