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분석 보고서
- '커피 원가 120원' 논란

득표율 영향:
-0.3~0.5%

작성일: 2025년 5월 19일 (월) 09:00 | 데이터 출처: 주요 언론사 보도, 소셜미디어 댓글, 여론조사 결과

1. 커피 원가 120원 논란 세부 분석
순위 하위 주제 주요 내용 관련 언론사
1 민주당 김용태 고발 (30%) "민주당, 이재명 '커피원가 120원' 발언 비판한 김용태 고발", "낙선목적 비방", "허위사실 유포", "커피 원가 발언은 2019년 수치", "맥락 떼어내 왜곡", "尹 대파값 875원 판박이", "이재명 후보 TV토론서 '2019년 수치' 해명" 서울신문, 노컷뉴스, 연합뉴스, 디지털데일리, 중앙일보, TV조선, CJB청주방송, JTBC, 부산일보, 매일신문
2 국민의힘 맞고발 및 비판 (28%) "국힘, 이재명 맞고발...'커피 원가 논란' 무고·허위사실 유포", "경제 몰이해 이재명 '커피 원가 120원'...소상공인을 악덕업자로 매도", "국힘·이준석, 이재명 '커피 원가 120원' 발언에 '사과해야'", "소상공인은 피눈물", "경제가 무한동력?", "국힘, 이재명 '커피 원가 120원' 발언에 집중 질타" CJB청주방송, KBS, 부산일보, 주간조선, JIBS, 매경이코노미, 시사저널, 전주MBC, 뉴스1, 매일신문
3 팩트체크 및 검증 (22%) "[토론 팩트체크] 이재명 후보 "커피 원재료값, 2019년 봄 경엔 120원 정도 맞다" 발언 검증해보니", "생두 가격 2019년 120원대 확인", "다양한 커피 원가 구성요소 있어", "윤석열 대파 875원과 비교", "최근 커피 생두가격 상승", "원가 vs 원재료비 개념 혼동" JTBC, 디지털데일리, 중앙일보, 연합뉴스, MBN
4 자영업자 반응 및 현장 목소리 (15%) "'커피값이 문제냐? 보는 눈이 문제다'.. 이재명 '120원 원가' 발언에 자영업자들 '격노'", "'커피 원가 120원' 李 발언에 뭇매…'자영업자가 악덕업자냐'", "사과요구 확산", "카페 운영비·인건비·임대료 고려 안해", "원가 개념 이해 부족" , JIBS, 매경이코노미, KBS, 부산일보, 주간조선
5 커피산업 현황 및 관련 정보 (5%) "불황에 더 잘 나가는 저가커피…컴포즈, 3000호점 노 젓는다", "생두 통째로 먹고 '커피똥' 싸려고?", "커피 프랜차이즈 현황", "저가커피 시장 확대", "커피 원가 구조" 디지털타임스, 코메디닷컴
2. 논란 배경 및 검토 사항

논란 배경: 이재명 후보가 전북 군산 유세에서 "커피 원가가 120원 이었다. 가격이 비쌌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이 논란이 되었습니다. 이에 국민의힘 김용태 의원이 "소상공인을 악덕업자로 매도했다"는 비판을 페이스북 게재와 기자회견을 했고, 민주당은 "발언을 왜곡해 허위사실을 유포했다"며 김용태 의원을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고발하면서 정치 공방으로 확대되었습니다.

보도 주제군: '커피 원가 120원' 논란 관련 보도는 민주당의 김용태 고발(30%), 국민의힘의 맞고발 및 비판(28%), 팩트체크 및 검증(22%)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특히 "커피 원가 120원 발언은 2019년 수치"라는 이재명 측 해명과 "소상공인을 악덕업자로 매도"라는 국민의힘 비판이 주요 쟁점이었습니다.

댓글 반응: 서울신문의 "민주, '이재명 커피원가 120원' 비판 김용태 고발" 기사(728건)와 부산일보의 비슷한 주제 기사(593건)에 가장 많은 댓글이 달렸습니다. 반면 조회수는 JTBC의 팩트체크 기사가 71,620회로 가장 높았습니다.

연령대별 관심:
- 20대: 부산일보와 주간조선의 관련 기사에 소수(5%) 관심
- 30대: 뉴스1의 "소상공인 악덕업자 매도" 기사에 가장 높은 관심(30%)
- 40대: 부산일보의 맞고발 관련 기사에 최고 관심(40%)
- 50대: JTBC의 팩트체크 기사(36%)와 조선비즈의 해명 기사(34%) 주목
- 60대+: TV조선과 주간조선의 비판적 기사에 높은 관심(43%, 36%)

성별 관심: 남성은 조선비즈, TV조선, 서울신문의 고발·맞고발 관련 기사(78-85%)에, 여성은 뉴스1의 "소상공인 악덕업자 매도" 기사(61%)와 중앙일보의 비교 분석(40%) 기사에 높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특히 남성은 50-60대 중심, 여성은 30-40대 중심으로 뚜렷한 연령대 차이를 보였습니다.

언론사 논조: 서울신문, 노컷뉴스, 연합뉴스, JTBC 등은 이재명 측 해명과 맥락 검증에 중점을 둔 반면, KBS, 부산일보, 주간조선, JIBS 등은 소상공인 반응과 비판 프레임을 강조했습니다. 중앙일보는 윤석열 대파값 875원 사례와 비교하는 중립적 접근을 보였습니다.

3. 댓글 분석

댓글 Top 10

순위 제목 언론 댓글수 조회
1 민주, '이재명 커피원가 120원' 비판 김용태 고발 서울신문 728 51,881
2 민주, '李 커피원가 120원' 비판 김용태 고발…"낙선목적 비방" 부산일보 593 42,686
3 이재명 "커피 원가 120원" 발언 뭇매…"尹 대파값 875원 판박이" 중앙일보 411 -
4 국힘, 이재명 '커피원가 120원'에 "소상공인, 악덕업자 매도" 뉴스1 353 -
5 [토론 팩트체크] 이재명 후보 "커피 원재료값, 2019년 봄 경엔 120원 정도 맞다" 발언 검증해보니 JTBC 339 71,620 관심
6 민주, 李 '커피원가 120원' 논란에 "5년 전 값 말한 것"... 김용태 고발 조선비즈 318 14,163
7 민주당, 이재명 '커피원가 120원' 발언 비판한 김용태 고발 서울경제 312 -
8 국힘, 이재명 맞고발…'커피 원가 논란' 무고·허위사실 유포 부산일보 274 32,260
9 이재명 '커피 원가 120원' 후폭풍... "자영업자를 악덕사업자로..." 주간조선 250 15,298
10 국힘·이준석, 이재명 '커피 원가 120원' 발언에 '사과해야' 전주MBC 203 16,246
4. 인구통계별 관심 분석

20대 관심 Top 3

순위 언론 제목 20대 비율 댓글수
1 부산일보 민주, '李 커피원가 120원' 비판 김용태 고발…"낙선목적 비방" 5% 593 관심
2 주간조선 이재명 '커피 원가 120원' 후폭풍... "자영업자를 악덕사업자로..." 5% 250
3 JTBC [토론 팩트체크] 이재명 후보 "커피 원재료값, 2019년 봄 경엔 120원 정도 맞다" 발언 검증해보니 4% 339

30대 관심 Top 3

순위 언론 제목 30대 비율 댓글수
1 뉴스1 국힘, 이재명 '커피원가 120원'에 "소상공인, 악덕업자 매도" 30% 353
2 중앙일보 이재명 "커피 원가 120원" 발언 뭇매…"尹 대파값 875원 판박이" 20% 411 관심
3 JIBS "커피값이 문제냐? 보는 눈이 문제다".. 이재명 '120원 원가' 발언에 자영업자들 '격노' 19% 128

40대 관심 Top 3

순위 언론 제목 40대 비율 댓글수
1 부산일보 국힘, 이재명 맞고발…'커피 원가 논란' 무고·허위사실 유포 40% 274
2 뉴스1 국힘, 이재명 '커피원가 120원'에 "소상공인, 악덕업자 매도" 36% 353 관심
3 매일신문 '커피원가 120원' 공방…민주 "김용태 고발" vs 국힘 "이재명 맞고발" 31% 122

50대 관심 Top 3

순위 언론 제목 50대 비율 댓글수
1 JTBC [토론 팩트체크] 이재명 후보 "커피 원재료값, 2019년 봄 경엔 120원 정도 맞다" 발언 검증해보니 36% 339 관심
2 조선비즈 민주, 李 '커피원가 120원' 논란에 "5년 전 값 말한 것"... 김용태 고발 34% 318
3 매일신문 민주, '이재명 커피원가 120원 비싸게 판다?' 비판 김용태 고발…국힘 李 맞고발 31% 123

60대+ 관심 Top 3

순위 언론 제목 60대+ 비율 댓글수
1 TV조선 민주, '李 커피 원가 비판' 김용태 고발…"낙선 목적 허위사실" 43% 185
2 주간조선 이재명 '커피 원가 120원' 후폭풍... "자영업자를 악덕사업자로..." 36% 250
3 조선비즈 민주, 李 '커피원가 120원' 논란에 "5년 전 값 말한 것"... 김용태 고발 33% 318 관심

성별 관심 분석

성별 제목 언론 비율 주요 연령대
남성 민주, 李 '커피원가 120원' 논란에 "5년 전 값 말한 것"... 김용태 고발 조선비즈 85% 50대/60대+
민주, '李 커피 원가 비판' 김용태 고발…"낙선 목적 허위사실" TV조선 80% 60대+/50대
민주, '이재명 커피원가 120원' 비판 김용태 고발 서울신문 78% 60대+/50대
여성 국힘, 이재명 '커피원가 120원'에 "소상공인, 악덕업자 매도" 뉴스1 61% 40대/30대
이재명 "커피 원가 120원" 발언 뭇매…"尹 대파값 875원 판박이" 중앙일보 40% 30대/60대+
'커피원가 120원' 공방…민주 "김용태 고발" vs 국힘 "이재명 맞고발" 매일신문 34% 50대/40대
5. 여론 및 댓글 심층 분석

댓글 주요 쟁점: 총 4,116개의 댓글을 분석한 결과, 다음 5개 쟁점을 중심으로 의견이 나뉘었습니다.

원가 vs 원재료비 개념 구분 (37.4%): 가장 많은 댓글이 이 개념 혼동을 논쟁의 핵심으로 언급했습니다. 원가 개념 옹호 입장(42.3%)은 "생두 원가만 언급한 것이지 총원가 개념으로 이야기한 적 없다"고 주장했고, 비판 입장(57.7%)은 "원가에는 임대료, 인건비, 세금, 각종 비용이 모두 포함됨을 모르는 것"이라고 반박했습니다.

자영업자/소상공인 매도 논란 (29.6%): 두 번째로 많은 댓글이 이 주제를 다뤘습니다. "가격 구조 문제 지적한 것이지 소상공인 비난한 적 없다"는 입장(38.1%)과 "자영업자들을 폭리 취하는 사람들로 매도하는 발언"이라는 의견(61.9%)이 대립했습니다. 특히 자영업 경험자 댓글(식별 가능한 경우, 약 312개)의 83.7%가 비판적 입장이었습니다.

2019년 수치의 적절성 (15.8%): "당시 발언은 2019년 커피 생두 시세 기준으로 맞는 말"이라는 옹호 의견(54.2%)과 "과거 수치를 현재처럼 말하는 것은 기만적"이라는 비판 의견(45.8%)이 맞섰습니다. JTBC 팩트체크 기사 댓글에서는 옹호 의견 비율이 68.5%로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대파값 875원 비교 적절성 (10.2%): "대파값도 맥락 떼어내서 논란됐는데 이것도 마찬가지"라는 비교 의견(48.3%)과 "대파는 단순 사실 언급, 커피는 폭리 비판 의도가 있어 다르다"는 반론(51.7%)이 있었습니다. 중앙일보 기사 댓글의 73.4%가 이 주제를 언급했습니다.

정치 공방화에 대한 비판 (7.0%): "말실수 가지고 고발·맞고발은 민주주의 후퇴"(56.3%), "이런 논쟁보다 실질적 자영업자 지원책을 논의해야"(43.7%)와 같이 정치권 전반을 비판하는 의견도 상당수 있었습니다.

매체별 댓글 성향: 서울신문 댓글(728개)은 이재명 옹호 성향이 62.4%, 부산일보 댓글(593개)은 비판 성향이 73.8%로 나타났습니다. JTBC 팩트체크 기사 댓글(339개)은 원가와 원재료비 개념에 대한 전문적 논의 비율이 가장 높았습니다(47.2%).

연령 및 성별 특성: 20-30대 댓글은 경제적 개념과 팩트체크에 집중(63.5%)했고, 40-50대는 정치적 맥락과 의도 해석에 더 관심(58.7%)을 보였습니다. 여성 댓글은 자영업 현실과 물가 인상에(66.3%), 남성 댓글은 정치적 공방과 개념 논쟁에(71.8%) 더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가장 많은 '좋아요'를 받은 댓글(1,247개 좋아요)은 "원가, 원재료비, 원가율의 개념부터 제대로 알고 논쟁해야 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6. 선거(지지율) 영향 분석 및 전망

이 논란은 중도층 득표율에 1~2%의 제한적 영향을 미치며, 전체 유권자 기준으로는 약 0.3~0.5%의 소폭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재명 후보에게 다소 불리한(마이너스)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경제 전문성과 현장 감각에 의구심을 품은 중도 성향 유권자들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양측의 고발·맞고발 과잉대응이 유권자 피로감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국민의힘의 집중 공세가 오히려 역효과를 낼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동시에 등장한 개헌안과 TV토론에서의 다른 정책 이슈들이 더 큰 관심을 받고 있어, 이 논란의 독자적 영향력은 제한적입니다. 댓글 분석 결과, 유권자들은 이 논란보다 실질적 경제 정책과 소상공인 지원 방안에 더 관심이 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이 이슈의 영향력은 빠르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