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간: 2025년 5월 12일 ~ 5월 14일 19시까지 | 작성일: 5월 14일 21시
본 보고서는 2025년 5월 12일부터 14일 19시까지 이재명 후보의 10대 공약과 관련된 언론 보도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총 74,055건의 뉴스 기사 중에서 이재명 후보가 언급된 기사는 8,477건(11.45%)이었으며, 이 중 이재명 후보와 10대 공약 관련 기사는 약 180건으로 분석되었습니다.
공약별 보도량을 살펴보면, 경제 강국(26건, 15.3%), 세종 행정수도/국토균형발전(18건, 10.6%), 가계·소상공인 활력(16건, 9.4%)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반면, 생명과 안전, 노동 존중, 기후위기 관련 공약은 상대적으로 적은 보도량(각 8건, 4.7%)을 보였습니다.
분류 | 건수 | 비율 |
---|---|---|
전체 뉴스 기사 | 74,055건 | 100% |
이재명 언급 기사 | 8,477건 | 11.45% |
이재명 + 10대 + 공약 언급 기사 | 583건 | 0.79% |
이재명만의 10대 공약 기사 | 159건 | 0.21% |
10대 공약 분석 대상 기사(병합) | 약 180건 | 0.24% |
자료 출처: 2025년 5월 12일~14일 19시까지의 뉴스 데이터 분석
데이터 분류 설명:
순위 | 공약 | 기사 건수 | 비율 |
---|---|---|---|
1 | 공약 1: 세계를 선도하는 경제 강국 | 26건 | 15.3% |
2 | 공약 6: 세종 행정수도와 '5극 3특' 추진 | 18건 | 10.6% |
3 | 공약 3: 가계·소상공인 활력 증진과 공정경제 실현 | 16건 | 9.4% |
4 | 공약 2: 내란극복과 K-민주주의 위상 회복 | 11건 | 6.5% |
5 | 공약 4: 세계질서 변화에 실용적 대처 외교안보 | 10건 | 5.9% |
5 | 공약 8: 생활안정으로 모두가 잘사는 나라 | 10건 | 5.9% |
5 | 공약 9: 저출생·고령화 위기 극복과 돌봄체계 구축 | 10건 | 5.9% |
8 | 공약 5: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나라 | 8건 | 4.7% |
8 | 공약 7: 노동이 존중받고 모든 사람의 권리가 보장되는 사회 | 8건 | 4.7% |
8 | 공약 10: 미래세대를 위한 기후위기 대응 | 8건 | 4.7% |
- | 10대 공약 전반/미분류 | 55건 | 32.4% |
주요 키워드: AI 100조 투자, AI 3강 도약, K-콘텐츠, 해양강국/조선업 육성, R&D 예산 확대
특징: 가장 많은 보도량을 차지한 공약으로, AI 산업 육성과 관련된 구체적인 투자 계획(100조원)이 주목받았습니다. 특히 경제 성장의 새로운 동력으로서 AI와 K-콘텐츠, 방산 산업 등을 강조한 부분이 많이 보도되었습니다.
주요 키워드: 세종 행정수도 완성, 5극3특 추진, 해수부/HMM 부산 이전, 강원도 특별 지원
특징: 지역균형발전 정책 중 특히 'HMM 부산 이전' 공약이 많은 관심을 받았으며, 세종 행정수도 완성 관련 기사도 다수 보도되었습니다. 지역별 발전 전략이 구체적으로 제시된 점이 주목받았습니다.
주요 키워드: 포괄임금제 금지, 지역화폐 확대, 상법개정 재추진, 노란봉투법, 소상공인 지원
특징: 지역화폐와 소상공인 지원책이 주요 보도 대상이었으며, 특히 포괄임금제 금지에 대한 논의가 활발했습니다. 상법개정 재추진 의지도 여러 매체에서 다루었습니다.
주요 키워드: 내란 종식, 계엄권한 통제 강화, 정치보복 관행 근절, 3기 진실화해위 출범
특징: '내란 극복'이라는 강력한 메시지가 전달되었으며, 계엄권한 통제와 같은 구체적인 정책보다는 정치적 메시지가 주로 보도되었습니다.
날짜 | 전체 기사 | 이재명 언급 기사 | 이재명+10대+공약 기사 | 이재명만의 10대 공약 기사* |
---|---|---|---|---|
2025-05-12 | 24,967건 | 3,265건 (13.08%) | 275건 (1.10%) | 112건 (0.45%) |
2025-05-13 | 25,028건 | 2,673건 (10.68%) | 193건 (0.77%) | 28건 (0.11%) |
2025-05-14 (19시까지) | 24,060건 | 2,539건 (10.55%) | 115건 (0.48%) | 19건 (0.08%) |
합계 | 74,055건 | 8,477건 (11.45%) | 583건 (0.79%) | 159건 (0.21%) |
* 이재명만의 10대 공약 기사: 제목에 이재명이 언급되고, 본문에 이재명의 공약이 중심 주제인 기사로, 다른 후보와의 단순 나열식 비교가 아닌 이재명 공약을 독자적으로 다룬 기사
기사에 달린 댓글수를 분석하여 각 공약별 독자들의 관심도와 참여도를 파악했습니다. 댓글수는 해당 기사가 얼마나 많은 독자 반응을 이끌어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순위 | 공약 | 기사 건수 | 총 댓글수 | 기사당 평균 댓글수 |
---|---|---|---|---|
1 | 공약 2: 내란극복과 K-민주주의 위상 회복 | 11건 | 2,580개 | 234.5개 |
2 | 공약 4: 세계질서 변화에 실용적 대처 외교안보 | 10건 | 1,890개 | 189.0개 |
3 | 공약 3: 가계·소상공인 활력 증진과 공정경제 실현 | 16건 | 1,950개 | 121.9개 |
4 | 공약 1: 세계를 선도하는 경제 강국 | 26건 | 2,340개 | 90.0개 |
5 | 공약 9: 저출생·고령화 위기 극복과 돌봄체계 구축 | 10건 | 860개 | 86.0개 |
6 | 공약 7: 노동이 존중받고 모든 사람의 권리가 보장되는 사회 | 8건 | 620개 | 77.5개 |
7 | 공약 6: 세종 행정수도와 '5극 3특' 추진 | 18건 | 1,380개 | 76.7개 |
8 | 공약 8: 생활안정으로 모두가 잘사는 나라 | 10건 | 720개 | 72.0개 |
9 | 공약 5: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나라 | 8건 | 530개 | 66.3개 |
10 | 공약 10: 미래세대를 위한 기후위기 대응 | 8건 | 480개 | 60.0개 |
댓글수 분석을 통해, 정치적 의제(내란극복)와 외교안보 같은 논쟁적인 주제가 독자들의 참여를 더 많이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기후위기와 같은 장기적 이슈는 상대적으로 낮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결론적으로, 이재명 후보의 10대 공약 중 경제 성장과 지역 발전 관련 공약이 언론의 주목을 가장 많이 받았지만, 독자들은 내란극복과 외교안보와 같은 정치적·논쟁적 주제에 더 활발히 반응했습니다. 이는 언론 보도의 초점과 실제 독자 관심사 사이에 괴리가 존재함을 보여주며, 보도량만으로는 공약의 사회적 영향력을 온전히 평가하기 어렵다는 점을 시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