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 언론-여론 동향 보고서

분석기간: 5월 12일 (월) 09:00-19:00 / 작성시간: 21시

점검사항

: 5월 12일(오늘) 언론 보도량은 이재명 관련 보도가 김문수 보다 높고, 댓글 참여도도 활발한 경향이 나타남.

① 이재명 관련 기사(2,534건, 13.9%)가 김문수 관련 기사(1,793건, 9.86%)보다 많고, 제목 포함 기사도 이재명(1,522건, 8.37%)이 김문수(1,091건, 6.0%)보다 높음
② 댓글 참여도는 이재명(108,790개)이 김문수(79,887개)보다 36.2% 많으며, 기사당 평균 댓글은 김문수(44.6개)가 이재명(42.9개)보다 소폭 높음
③ 남성 참여율이 이재명(74.8%)과 김문수(75.0%)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김문수 제목 포함 기사에서 여성 참여(26.3%)가 이재명(24.5%)보다 다소 높음
④ 연령대별로는 이재명 기사에서 30대(11.4%)와 60대+(30.4%) 참여가, 김문수 기사에서는 40대(26.2%)와 50대(34.3%) 참여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⑤ 공약 관련 기사는 이재명(332건, 1.83%)이 김문수(274건, 1.51%)보다 많으며, 이재명은 경제/일자리(47.3%)와 부동산/주거(31.0%), 김문수는 안보/외교(44.2%)와 경제/규제완화(32.5%) 중심
⑥ 언론 논조 분석 결과, 사실보도는 두 후보 모두 70% 이상으로 비슷하며, 이재명(17.6%)과 김문수(17.7%)의 긍정 보도 비율도 유사, 다만 김문수(12.2%)가 이재명(10.8%)보다 부정 보도 비율이 소폭 높음
⑦ 정책 관련 댓글 분석 결과, 김문수(24.6%)가 이재명(19.2%)보다 긍정적 평가가 5.4%p 높고, 이재명(11.6%)이 김문수(9.5%)보다 부정적 평가가 2.1%p 높게 나타남

1.1 기사 현황

날짜 전체 기사량 이재명 기사량 이재명 제목 기사량 김문수 기사량 김문수 제목 기사량
5.12 (월) 18,180건 2,534건 (13.9%) 1,522건 (8.37%) 1,793건 (9.86%) 1,091건 (6.0%)

기사량 비교 주요 특징

  • 5월 12일(월) 기준, 이재명 관련 기사량(2,534건)이 김문수 관련 기사량(1,793건)보다 41.3% 많음
  • 기사 제목에 포함된 비율에서도 이재명(8.37%)이 김문수(6.0%)보다 높은 수치 기록
  • 전체 기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이재명(13.9%)이 김문수(9.86%)보다 4.04%p 높게 나타남

1.2 댓글 현황

날짜 후보 댓글 포함 기사 전체 댓글 수 댓글 작성자 수 기사당 평균 댓글 댓글작성자 비율
5.12 (월) 이재명 2,534건 108,790개 103,802명 42.9개 95.4%
김문수 1,793건 79,887개 76,374명 44.6개 95.6%

댓글 현황 비교 주요 특징

  • 이재명 관련 전체 댓글 수(108,790개)가 김문수 관련(79,887개)보다 36.2% 더 많음
  • 기사당 평균 댓글 수는 김문수(44.6개)가 이재명(42.9개)보다 소폭 높게 나타남
  • 댓글작성자 비율은 두 후보 모두 95% 이상으로 유사한 수준
  • 이재명 관련 기사 양(2,534건)이 김문수(1,793건)보다 많아 총 댓글 수 차이 발생
  • 댓글 작성자는 이재명 관련(103,802명)이 김문수(76,374명)보다 약 27,428명 더 많음

2. 성별-연령대별 여론 분석

2.1 후보 관련 기사 전체 (비율계산 가능)

날짜 후보 구분 기사 수 댓글 수 남성 여성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5.12 (월) 이재명 전체 기사 253 83,296 74.8% 25.2% 1.8% 11.4% 25.4% 30.9% 30.4%
제목 포함 기사 154 49,153 75.5% 24.5% 1.9% 11.9% 25.4% 30.0% 30.7%
김문수 전체 기사 160 61,689 75.0% 25.0% 1.3% 9.2% 26.2% 34.3% 29.0%
제목 포함 기사 85 35,188 73.7% 26.3% 1.5% 10.4% 27.2% 32.9% 28.0%

성별-연령대별 비교 주요 특징

  • 성별 비교: 두 후보 모두 남성 참여율(이재명 74.8%, 김문수 75.0%)이 압도적으로 높으나, 김문수 제목 포함 기사에서는 여성 참여율(26.3%)이 이재명(24.5%)보다 다소 높음
  • 20~30대: 이재명 관련 기사에서 20대(1.8%)와 30대(11.4%) 참여율이 김문수(1.3%, 9.2%)보다 높게 나타남
  • 40~50대: 김문수 관련 기사에서 40대(26.2%, 27.2%)와 50대(34.3%, 32.9%) 참여율이 이재명보다 높음
  • 60대+: 이재명 관련 기사에서 60대+(30.4%, 30.7%)가 김문수(29.0%, 28.0%)보다 높은 참여율 보임
  • 연령대 분포: 이재명은 30대와 60대+ 참여가 상대적으로 높고, 김문수는 40~50대 참여가 더 활발한 경향

3.1 주제: 대선 후보 공약 관련 보도 분석

5.12(오늘) 이재명 공약 관련 기사: 332건 5.12(오늘) 김문수 공약 관련 기사: 274건
날짜 후보 구분 기사 수 댓글 수 남성 여성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5.12 (월) 이재명 공약 관련 기사 32 12,799 75.3% 24.7% 2.3% 12.2% 27.8% 30.7% 26.8%
제목 포함 기사 25 11,482 75.2% 24.8% 2.2% 12.0% 27.9% 30.9% 26.8%
김문수 공약 관련 기사 24 9,813 74.4% 25.6% 1.5% 11.2% 29.5% 33.4% 24.0%
제목 포함 기사 17 8,149 72.6% 27.4% 1.5% 11.5% 30.5% 32.8% 23.2%
공약 기사 비율(이재명)
1.83%
+0.32%p
공약 기사 비율(김문수)
1.51%
-
공약 기사당 댓글(이재명)
400개
+9개
공약 기사당 댓글(김문수)
391개
-

3.1.1 대선 후보 공약 관련 언론 보도 논조 분석

후보 분류 건수 비율 대표 기사 제목 예시 주요 언론사
이재명 사실보도 126건 71.6% "이재명 10대 공약 발표…\"AI 등 집중육성·경제강국 실현\"", "이재명 10대 공약, 성장에 초점두고 軍·檢권력기관 고강도 개혁", "이재명 '광화문'·김문수 '가락시장'…공식 선거운동 개막" 연합뉴스, KBS, SBS, YTN, 뉴시스, 뉴스1, 아시아경제, 이데일리, TV조선, 전자신문
홍보/긍정 31건 17.6% "이재명 1호 공약은 'AI 경제 강국'... 내란 종식보다 성장 앞세웠다", "\"이재명는 부동산 부패 끊을 수 있다... 경험자니까\"", "빛의 혁명, 지금은 1 이재명" 경향신문, 한겨레, 오마이뉴스, 프레시안, 노컷뉴스, 파이낸셜뉴스, 매일신문
비판/부정 19건 10.8% "이재명 10대 공약 모두 '돈 더 든다'…재원 마련은 어떻게?", "세수대책도 없이…이재명·김문수, 수조원 드는 '선심' 공약만", "개혁신당 \"이재명의 햇빛연금은 '잿빛정책'...규모 경제 역행\"" 한국경제,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국민일보, YTN
김문수 사실보도 115건 70.1% "김문수, 10대 공약 발표…\"기업하기 좋은 나라로 일자리 창출\"", "김문수, 10대 대선공약 발표…'기업 하기 좋은 나라·일자리 창출'", "김문수, '자유주도 성장·AI 3대 강국 도약' 10대 공약 발표" 연합뉴스, KBS, SBS, YTN, 뉴시스, 뉴스1, 서울경제, 매일경제, 디지털타임스, 이데일리
홍보/긍정 29건 17.7% "'자유 시장경제' 앞세운 김문수의 공약, 청년·일자리에 방점 찍혔다", "취업.결혼 포기 청년층에 희망 주는 333 맞춤형 복지정책", "김문수 최우선 공약은 '기업하기 좋은 나라'… 전술핵 재배치 美와 협의" 한국경제, 조선일보, 조선비즈, 동아일보, 매일신문, 파이낸셜뉴스, 머니투데이
비판/부정 20건 12.2% "김문수, 기다렸단듯 막말 쏟아내…선대위는 수습 진땀", "진보당 "김문수, 막말 쏟아내…선거운동 첫날부터 눈과 귀를 의심"", "김문수의 적은 김문수? '윤석열 딜레마' 풀어낼까" 한겨레, 경향신문, 노컷뉴스, KBS, 시사저널, 프레시안

공약 관련 보도 논조 비교 분석

3.1.2 대선 후보 공약 관련 주요 언론 보도 내용 차이

정책 분야 이재명 김문수
경제/산업
  • AI 등 신산업 집중 육성
  • AI 3대 강국 도약 (100조 투자)
  • 구독경제 활성화
  • K-시리즈 산업 육성
  • 기업하기 좋은 나라
  • 규제 철폐/완화
  • AI 3대 강국 민관합동펀드 100조 조성
  • 법인세 인하
복지/청년
  • 청년 전월세 보증금 1% 대출
  • 18세까지 아동수당
  • 기초생활보장 선정기준 완화
  • 4.5일제 도입
  • 3·3·3 주거지원(결혼 3년, 첫째·둘째 출산 3년씩)
  • 디딤돌 소득(오세훈식 기본소득)
  • 소상공인 채무 완화
  • 청년 맞춤형 일자리 지원
정치/사법
  • 검찰 수사·기소 분리
  • 정치보복 관행 근절
  • 대법관 증원
  • 세종 의사당 임기 내 건립
  • 이재명 방지 감사관제 도입
  • 공수처 폐지
  • 국회의원 불체포특권 폐지
  • 사법방해죄 신설
지역/교통
  • 지역화폐 사용 확대
  • 세종 행정수도화
  • 강원도 미래산업 선도도시
  • 부산 균형발전
  • GTX 전국 확대
  • CTX(충청권 GTX) 개통
  • 세종시 대통령 집무실 설치
  • 부울경 GTX 지역 균형발전
안보/국방
  • 군 민주적 통제 강화
  • K-방산 집중 육성
  • 3기 진실화해위 신속 출범
  • 국방 기술 혁신
  • 주한미군 전술핵 재배치
  • K-방산 집중 육성
  • 북핵 공동 대응
  • 핵잠수함 도입

언론 보도를 통해 본 두 후보 공약의 주요 차이점

  • 경제 접근법: 이재명(신산업 육성, 성장 중심) vs 김문수(규제 완화, 기업 중심)
  • 청년 정책: 이재명(주거 지원, 복지 확대) vs 김문수(결혼·출산 연계 지원)
  • 사법 개혁: 이재명(검찰 개혁, 대법관 증원) vs 김문수(사법방해죄 신설, 불체포특권 폐지)
  • 국방 정책: 이재명(민주적 통제, 방산 육성) vs 김문수(전술핵 재배치, 핵잠수함)
  • 지역 정책: 이재명(지역화폐, 지역별 산업 육성) vs 김문수(GTX 확대, 교통망 개선)

3.1.3 대선 후보 공약 관련 댓글 감성 분석

후보 정책 관련 댓글 수 긍정적 중립적 부정적
이재명 2,108건 404건 (19.2%) 1,460건 (69.3%) 244건 (11.6%)
김문수 1,532건 377건 (24.6%) 1,010건 (65.9%) 145건 (9.5%)
긍정적 댓글 비율(이재명)
19.2%
긍정적 댓글 비율(김문수)
24.6%
+5.4%p
부정적 댓글 비율(이재명)
11.6%
부정적 댓글 비율(김문수)
9.5%
-2.1%p

대표적 정책 관련 댓글 내용

후보 긍정적 댓글 예시 부정적 댓글 예시
이재명 "피해자가 다수 여자일 뿐. 성별과 나이 불문하고 묻지마 폭력이나 디지털 범죄에 대해 처벌 강화하는건 무조건 환영" "이재명 10대 공약 모두 돈 더 들고 재원 마련 방안 제시 없음. 표 얻으려는 포퓰리즘 정책"
"디지털성범죄는 남녀 없음 좋은 정책방향임👍" "AI 육성이 말처럼 쉽지 않음. 예산 100조 투자한다고 성공하는 것도 아님. 구체적 계획 없는 공약"
"AI 신산업 육성 정말 필요한 공약, 우리나라 경쟁력 확보에 도움될 듯" "10대 공약 순서가 반대구먼!!!!"
김문수 "역시 최고. 청렴하되 국회의원 특권폐지 좋아요." "GTX 지방에 깔면 적자 100프로 확정 아닌가?"
"공약 이행률 1위 김문수. 응원합니다" "좋은 말만 늘어놓았지만 구체적인 예산 계획 없는 공약은 실현 불가능"
"좋은 공약 많네요 특히 9호 너무 좋습니다" "일자리 창출 공약은 모든 후보가 하는 말, 실질적 방안 제시 부족"

정책 관련 댓글 감성 분석 주요 특징

정책 관련 댓글 분석 결론

  • 두 후보의 공약에 대한 온라인 여론은 김문수가 이재명보다 상대적으로 긍정적 평가가 높고 부정적 평가가 낮게 나타남
  • 이재명는 디지털 성범죄 대책과 AI 산업 육성 관련 공약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두드러짐
  • 김문수는 기업 규제 완화와 청년 주거 지원 공약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주목됨
  • 양 후보 모두 재원 마련 방안과 예산 계획의 구체성 부족에 대한 지적이 공통적으로 나타남
  • 정책 관련 댓글 비중이 전체의 약 40% 수준으로, 개인 평가 중심의 댓글이 여전히 많은 비중을 차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