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월 12일(오늘) 언론 보도량은 이재명 관련 보도가 김문수 보다 높고, 댓글 참여도도 활발한 경향이 나타남.
① 이재명 관련 기사(2,534건, 13.9%)가 김문수 관련 기사(1,793건, 9.86%)보다 많고, 제목 포함 기사도 이재명(1,522건, 8.37%)이 김문수(1,091건, 6.0%)보다 높음
② 댓글 참여도는 이재명(108,790개)이 김문수(79,887개)보다 36.2% 많으며, 기사당 평균 댓글은 김문수(44.6개)가 이재명(42.9개)보다 소폭 높음
③ 남성 참여율이 이재명(74.8%)과 김문수(75.0%)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김문수 제목 포함 기사에서 여성 참여(26.3%)가 이재명(24.5%)보다 다소 높음
④ 연령대별로는 이재명 기사에서 30대(11.4%)와 60대+(30.4%) 참여가, 김문수 기사에서는 40대(26.2%)와 50대(34.3%) 참여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⑤ 공약 관련 기사는 이재명(332건, 1.83%)이 김문수(274건, 1.51%)보다 많으며, 이재명은 경제/일자리(47.3%)와 부동산/주거(31.0%), 김문수는 안보/외교(44.2%)와 경제/규제완화(32.5%) 중심
⑥ 언론 논조 분석 결과, 사실보도는 두 후보 모두 70% 이상으로 비슷하며, 이재명(17.6%)과 김문수(17.7%)의 긍정 보도 비율도 유사, 다만 김문수(12.2%)가 이재명(10.8%)보다 부정 보도 비율이 소폭 높음
⑦ 정책 관련 댓글 분석 결과, 김문수(24.6%)가 이재명(19.2%)보다 긍정적 평가가 5.4%p 높고, 이재명(11.6%)이 김문수(9.5%)보다 부정적 평가가 2.1%p 높게 나타남
날짜 | 전체 기사량 | 이재명 기사량 | 이재명 제목 기사량 | 김문수 기사량 | 김문수 제목 기사량 |
---|---|---|---|---|---|
5.12 (월) | 18,180건 | 2,534건 (13.9%) | 1,522건 (8.37%) | 1,793건 (9.86%) | 1,091건 (6.0%) |
기사량 비교 주요 특징
날짜 | 후보 | 댓글 포함 기사 | 전체 댓글 수 | 댓글 작성자 수 | 기사당 평균 댓글 | 댓글작성자 비율 |
---|---|---|---|---|---|---|
5.12 (월) | 이재명 | 2,534건 | 108,790개 | 103,802명 | 42.9개 | 95.4% |
김문수 | 1,793건 | 79,887개 | 76,374명 | 44.6개 | 95.6% |
댓글 현황 비교 주요 특징
날짜 | 후보 | 구분 | 기사 수 | 댓글 수 | 남성 | 여성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
---|---|---|---|---|---|---|---|---|---|---|---|
5.12 (월) | 이재명 | 전체 기사 | 253 | 83,296 | 74.8% | 25.2% | 1.8% | 11.4% | 25.4% | 30.9% | 30.4% |
제목 포함 기사 | 154 | 49,153 | 75.5% | 24.5% | 1.9% | 11.9% | 25.4% | 30.0% | 30.7% | ||
김문수 | 전체 기사 | 160 | 61,689 | 75.0% | 25.0% | 1.3% | 9.2% | 26.2% | 34.3% | 29.0% | |
제목 포함 기사 | 85 | 35,188 | 73.7% | 26.3% | 1.5% | 10.4% | 27.2% | 32.9% | 28.0% |
성별-연령대별 비교 주요 특징
날짜 | 후보 | 구분 | 기사 수 | 댓글 수 | 남성 | 여성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
---|---|---|---|---|---|---|---|---|---|---|---|
5.12 (월) | 이재명 | 공약 관련 기사 | 32 | 12,799 | 75.3% | 24.7% | 2.3% | 12.2% | 27.8% | 30.7% | 26.8% |
제목 포함 기사 | 25 | 11,482 | 75.2% | 24.8% | 2.2% | 12.0% | 27.9% | 30.9% | 26.8% | ||
김문수 | 공약 관련 기사 | 24 | 9,813 | 74.4% | 25.6% | 1.5% | 11.2% | 29.5% | 33.4% | 24.0% | |
제목 포함 기사 | 17 | 8,149 | 72.6% | 27.4% | 1.5% | 11.5% | 30.5% | 32.8% | 23.2% |
후보 | 분류 | 건수 | 비율 | 대표 기사 제목 예시 | 주요 언론사 |
---|---|---|---|---|---|
이재명 | 사실보도 | 126건 | 71.6% | "이재명 10대 공약 발표…\"AI 등 집중육성·경제강국 실현\"", "이재명 10대 공약, 성장에 초점두고 軍·檢권력기관 고강도 개혁", "이재명 '광화문'·김문수 '가락시장'…공식 선거운동 개막" | 연합뉴스, KBS, SBS, YTN, 뉴시스, 뉴스1, 아시아경제, 이데일리, TV조선, 전자신문 |
홍보/긍정 | 31건 | 17.6% | "이재명 1호 공약은 'AI 경제 강국'... 내란 종식보다 성장 앞세웠다", "\"이재명는 부동산 부패 끊을 수 있다... 경험자니까\"", "빛의 혁명, 지금은 1 이재명" | 경향신문, 한겨레, 오마이뉴스, 프레시안, 노컷뉴스, 파이낸셜뉴스, 매일신문 | |
비판/부정 | 19건 | 10.8% | "이재명 10대 공약 모두 '돈 더 든다'…재원 마련은 어떻게?", "세수대책도 없이…이재명·김문수, 수조원 드는 '선심' 공약만", "개혁신당 \"이재명의 햇빛연금은 '잿빛정책'...규모 경제 역행\"" | 한국경제,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국민일보, YTN | |
김문수 | 사실보도 | 115건 | 70.1% | "김문수, 10대 공약 발표…\"기업하기 좋은 나라로 일자리 창출\"", "김문수, 10대 대선공약 발표…'기업 하기 좋은 나라·일자리 창출'", "김문수, '자유주도 성장·AI 3대 강국 도약' 10대 공약 발표" | 연합뉴스, KBS, SBS, YTN, 뉴시스, 뉴스1, 서울경제, 매일경제, 디지털타임스, 이데일리 |
홍보/긍정 | 29건 | 17.7% | "'자유 시장경제' 앞세운 김문수의 공약, 청년·일자리에 방점 찍혔다", "취업.결혼 포기 청년층에 희망 주는 333 맞춤형 복지정책", "김문수 최우선 공약은 '기업하기 좋은 나라'… 전술핵 재배치 美와 협의" | 한국경제, 조선일보, 조선비즈, 동아일보, 매일신문, 파이낸셜뉴스, 머니투데이 | |
비판/부정 | 20건 | 12.2% | "김문수, 기다렸단듯 막말 쏟아내…선대위는 수습 진땀", "진보당 "김문수, 막말 쏟아내…선거운동 첫날부터 눈과 귀를 의심"", "김문수의 적은 김문수? '윤석열 딜레마' 풀어낼까" | 한겨레, 경향신문, 노컷뉴스, KBS, 시사저널, 프레시안 |
정책 분야 | 이재명 | 김문수 |
---|---|---|
경제/산업 |
|
|
복지/청년 |
|
|
정치/사법 |
|
|
지역/교통 |
|
|
안보/국방 |
|
|
언론 보도를 통해 본 두 후보 공약의 주요 차이점
후보 | 정책 관련 댓글 수 | 긍정적 | 중립적 | 부정적 |
---|---|---|---|---|
이재명 | 2,108건 | 404건 (19.2%) | 1,460건 (69.3%) | 244건 (11.6%) |
김문수 | 1,532건 | 377건 (24.6%) | 1,010건 (65.9%) | 145건 (9.5%) |
후보 | 긍정적 댓글 예시 | 부정적 댓글 예시 |
---|---|---|
이재명 | "피해자가 다수 여자일 뿐. 성별과 나이 불문하고 묻지마 폭력이나 디지털 범죄에 대해 처벌 강화하는건 무조건 환영" | "이재명 10대 공약 모두 돈 더 들고 재원 마련 방안 제시 없음. 표 얻으려는 포퓰리즘 정책" |
"디지털성범죄는 남녀 없음 좋은 정책방향임👍" | "AI 육성이 말처럼 쉽지 않음. 예산 100조 투자한다고 성공하는 것도 아님. 구체적 계획 없는 공약" | |
"AI 신산업 육성 정말 필요한 공약, 우리나라 경쟁력 확보에 도움될 듯" | "10대 공약 순서가 반대구먼!!!!" | |
김문수 | "역시 최고. 청렴하되 국회의원 특권폐지 좋아요." | "GTX 지방에 깔면 적자 100프로 확정 아닌가?" |
"공약 이행률 1위 김문수. 응원합니다" | "좋은 말만 늘어놓았지만 구체적인 예산 계획 없는 공약은 실현 불가능" | |
"좋은 공약 많네요 특히 9호 너무 좋습니다" | "일자리 창출 공약은 모든 후보가 하는 말, 실질적 방안 제시 부족" |
정책 관련 댓글 분석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