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분석 보고서
- 김문수·한동훈 경선 결과 '예측' 분석
최종 업데이트

결선 예측:
김문수 우세

작성일: 2025년 5월 3일 | 분석대상: 4월 10일~5월 3일 언론보도 | 데이터 출처: 주요 언론사 보도, 댓글분석, 여론조사

1. 언론 동향 분석

최신 보도 동향

주요 프레임

미디어 유형 보도 특징
지면/온라인
(동아일보, 조선일보 등)
정통 보수 이념 프레임 중심 보도, 탄핵 찬반 구도의 역사적 맥락과 의미 조명
방송사
(KBS, MBC 등)
토론회 주요 발언, 메시지 균형 강조, 양측 입장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보도
유튜브/블로그 결선 관전포인트·단일화 시나리오 집중 조명, 보다 직접적인 입장과 예측 제시
경선 당일 보도 킨텍스 전당대회 생중계, 결과 예측 및 후보 동향 실시간 보도, 투표율 52.62% 강조 예상
언론 동향 종합: 대부분 언론은 '보수 내 노선 갈등'을 경선의 핵심 축으로 해석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전통 매체는 탄핵 찬반을 역사적 맥락에서 조명하는 반면, 온라인 미디어는 단일화 변수와 인물 간 역학관계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경선 당일에는 대부분 언론이 후보자 간 통합과 한덕수 전 총리와의 단일화 가능성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2. 민심 동향 분석 (댓글 기반)

김문수 지지층 반응

  • 긍정적 반응: 홍준표 계승자 이미지, 강한 원칙형 보수 기대
  • 주요 키워드: #정통보수 #원칙주의 #홍준표계승
  • 최근 반응: #홍준표지지층_김문수로 #경선승리_단일화승리

한동훈 지지층 반응

  • 교차하는 의견: 준비된 개혁통 vs 검찰 중심 정치인 우려
  • 주요 키워드: #새로운보수 #젊은리더십 #검찰출신
  • 최근 반응: #확장성이_승리요건 #이재명이기려면_한동훈
민심 특징 분석 내용
세대별 지지 성향 김문수: 50대 이상 중심 지지 / 한동훈: 30~40대 지지율 상대적 우세
지역별 반응 차이 TK지역: 김문수 우세 / 수도권: 한동훈 지지 경향 확인
온라인 여론 특이점 댓글 매크로 의혹 등 민심 혼탁 이슈 등장, 실제 여론과 온라인 여론 간 괴리 가능성
홍준표 지지층 향방 홍준표의 정계 은퇴 선언 후 지지층은 정통 보수 성향이 강한 김문수 쪽으로 표심 이동 관측
3. 최종 결선 분석
최신 여론조사 지지율 (2025년 4월 말 리얼미터)
김문수
19.7%
한동훈
17.4%
※ 김문수 지지율이 리얼미터 기준 2.3%p 앞서는 상황
결선 투표 요소 최신 상황
투표 비율 당원투표 50% + 여론조사 50% 반영
진행 일정 5월 1~2일 투표 완료, 52.62% 투표율로 역대 최고 기록
전당대회 5월 3일 오후 2시 킨텍스에서 개최, 오후 3시 46분경 최종 결과 발표 예정
후보 특성 김문수: 당심 우세, 탄핵반대·정통보수 노선 강점, 홍준표 지지층 흡수
한동훈: 여론 확장성, 중도·무당층 인기, 젊은 층 지지율 우세
결선 결과 예측: 현재 당심과 민심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때, 리얼미터 여론조사에서 김문수 후보가 2.3%p 앞서고 있으며, 당원 투표에서도 우세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원 비중이 50%라는 점과, 홍준표 지지층의 표심이 김문수 쪽으로 이동한 점을 고려하면, 매우 접전이지만 김문수 후보의 승리 가능성이 다소 높을 것으로 예측됩니다.
4. 단일화 이슈 분석 (한덕수 변수)

최신 상황:

단일화 입장 주요 견해
김문수 - 조기 단일화 적극 주장
-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강조
- "단일화는 우리 당원들이 납득할 방법으로 돼야 한다" 발언
한동훈 - 현재는 단일화 선긋기
- "경선 중 단일화 언급 부적절" 입장
- "그건 패배주의 아니냐" 비판적 입장 표명
한덕수 - 출마 선언 후 "통합 정치" 강조
- "단일화는 국민 뜻에 따르겠다" 신중한 태도
- 친윤계 인사들의 지지 확보로 협상력 제고
부정적 견해 - 절차적 정당성 및 당원 권리 침해 우려
- 내부 분열 및 '제2의 후단협' 사태 우려
- 당내 후보들의 견제와 비판 제기
5. 종합 결론 및 전망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은 52.62%의 역대 최고 투표율을 기록하며 당원들의 높은 관심 속에 진행 중입니다. 결과는 오후 3시 46분에 발표될 예정이며, 현재까지의 분석에 따르면 김문수 후보가 미세하게 우세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습니다. 홍준표 지지층의 표심 향방과 당원 투표 비중이 50%라는 점이 김문수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분석됩니다.

향후 관건은 한덕수 전 총리와의 단일화 여부입니다. 친윤계 인사들이 한덕수 지지를 표명한 가운데, 후보 등록 마감일(5월 11일)까지의 상황이 주목됩니다. 단일화 성사 여부와 방식이 6월 3일 대선의 향방을 결정할 핵심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