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월 1일 언론 보도의 주요 이슈는 대법원의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 판결이었으며, 전일 대비 이재명 언급 비율 대폭 상승.
① 이재명 관련 기사는 전체 기사의 18.7%(2,495건), 제목 포함 기사는 12.7%(1,696건)로 전일(7.5%, 4.4%) 대비 급증
② 관련 기사는 대법원 파기환송 판결(1,273건), 정치권 반응(642건), 향후 전망(298건) 등 주제 중심으로 보도
③ 남성 참여율(74.4%)이 여성(25.6%)보다 높으나, 여성 참여율이 전일(22.8%) 대비 2.8%p 상승해 관심도 증가
④ 연령대별로는 50대(33.4%), 60대+(29.4%), 40대(25.7%) 순이며, 30대(9.5%)와 20대(1.8%)는 낮은 참여율 유지
⑤ 판결 관련 기사는 중립(84.1%), 우려(11.0%), 환영(4.9%) 순으로 보도되었으며, 정치적 파장과 대선 구도 영향에 초점
⑥ 댓글 분석 결과, 판결 평가에서는 우려(39.1%)와 중립(36.2%), 사법부 평가에서는 중립(57.5%)과 우려(25.5%) 의견이 주를 이룸
⑦ 특이사항: 제목 포함 기사 댓글에서 여성 참여율(26.2%)이 전체 기사(25.6%)보다 높아 판결에 대한 여성층의 적극적 의견 표명 경향
날짜 | 전체 기사량 | 참여도: 이재명 기사량 | 주목도: 이재명 제목 기사량 |
---|---|---|---|
5.1 (목) | 13,339건 | 2,495건 (18.7%) | 1,696건 (12.7%) |
4.30 (수) | 19,952건 | 1,492건 (7.5%) | 877건 (4.4%) |
4.29 (화) | 19,384건 | 1,157건 (6.0%) | 605건 (3.1%) |
4.28 (월) | 18,444건 | 1,516건 (8.2%) | 982건 (5.3%) |
4.27 (일) | 8,420건 | 1,580건 (18.8%) | 1,163건 (13.8%) |
4.25 (금) | 14,743건 | 827건 (5.6%) | 420건 (2.9%) |
4.24 (목) | 20,066건 | 1,412건 (7.0%) | 549건 (2.7%) |
날짜 | 댓글 포함 기사 | 전체 댓글 수 | 댓글 작성자 수 |
---|---|---|---|
5.1 | 1,708건 | 234,618개 (137.4개) | 217,220명 (92.6%) |
4.30 | 773건 | 54,907개 (71.0개) | 52,445명 (95.5%) |
4.29 | 888건 | 59,427개 (66.9개) | 57,140명 (96.2%) |
4.28 | 896건 | 69,730개 (77.8개) | 66,496명 (95.4%) |
4.27 | 723건 | 65,382개 (90.4개) | 62,442명 (95.5%) |
4.25 | 622건 | 41,067개 (66.0개) | 39,432명 (96.0%) |
4.24 | 870건 | 44,037개 (50.6개) | 42,488명 (96.5%) |
날짜 | 구분 | 기사 수 | 댓글 수 | 남성 | 여성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
---|---|---|---|---|---|---|---|---|---|---|
5.1 | 전체 기사 | 442 | 188,831 | 74.4% | 25.6% | 1.8% | 9.5% | 25.7% | 33.4% | 29.4% |
제목 포함 기사 | 319 | 141,109 | 73.8% | 26.2% | 1.9% | 9.6% | 26.2% | 33.8% | 28.4% | |
4.30 | 전체 기사 | 135 | 39,138 | 77.2% | 22.8% | 1.5% | 10.5% | 25.7% | 32.1% | 29.8% |
제목 포함 기사 | 91 | 27,592 | 78.0% | 22.0% | 1.7% | 11.3% | 26.3% | 31.6% | 28.8% | |
4.29 | 전체 기사 | 164 | 41,348 | 77.5% | 22.5% | 1.7% | 10.2% | 24.4% | 31.6% | 32.0% |
제목 포함 기사 | 98 | 23,641 | 80.2% | 19.8% | 2.1% | 10.3% | 24.0% | 31.1% | 32.3% | |
4.28 | 전체 기사 | 152 | 50,513 | 75.9% | 24.1% | 1.3% | 8.8% | 24.3% | 32.2% | 33.4% |
제목 포함 기사 | 96 | 30,920 | 77.5% | 22.5% | 1.5% | 9.5% | 24.1% | 31.8% | 33.1% | |
4.27 | 전체 기사 | 155 | 47,297 | 73.8% | 26.2% | 1.9% | 9.7% | 25.7% | 31.7% | 30.9% |
제목 포함 기사 | 112 | 36,488 | 73.4% | 26.6% | 1.9% | 10.1% | 25.8% | 31.2% | 30.7% | |
4.25 | 전체 기사 | 102 | 29,144 | 73.9% | 26.1% | 1.9% | 11.4% | 26.0% | 30.6% | 30.0% |
제목 포함 기사 | 62 | 18,069 | 75.7% | 24.3% | 2.2% | 13.1% | 25.4% | 28.7% | 30.5% | |
4.24 | 전체 기사 | 109 | 27,195 | 74.4% | 25.6% | 1.7% | 10.8% | 26.4% | 31.9% | 29.1% |
제목 포함 기사 | 62 | 15,267 | 75.5% | 24.5% | 2.1% | 12.4% | 26.5% | 29.6% | 29.4% |
구분 | 기사 수 | 댓글 수 | 남성 | 여성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
---|---|---|---|---|---|---|---|---|---|
후보 관련 기사 | 292 | 124,086 | 75.1% | 24.9% | 1.7% | 9.6% | 25.4% | 33.2% | 29.9% |
제목 포함 기사 | 210 | 86,409 | 74.1% | 25.9% | 1.7% | 9.6% | 26.0% | 33.8% | 28.7% |
분류 | 건수 | 비율 | 주요 언론사 | 대표 기사 제목 예시 |
---|---|---|---|---|
사실보도/중립 | 1,070건 | 84.1% | 뉴스1, 뉴시스, YTN, 머니투데이, 연합뉴스TV, 이데일리, KBS, 노컷뉴스, 파이낸셜뉴스 | "이재명 '선거법 위반' 상고심 선고‥TV 생중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위반 2심 판결 파기환송…유죄취지" |
우려/부정 | 140건 | 11.0% | 서울신문, 한겨레, 연합뉴스, 매일신문, 헤럴드경제, JTBC, 국제신문, 머니S, 시사저널 | "李 파기환송에 민주 격앙…'대법원의 쿠데타, 명백한 선거개입'",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유죄 취지 파기환송…대선후보 자격 논란 불가피" |
환영/긍정 | 63건 | 4.9% | 동아일보, 경기일보, SBS Biz, 조세일보, 서울경제, SBS, KBS, 이데일리, 대전일보 | "권성동, 이재명 선거법 파기환송에 '상식의 승리·법치의 복원'", "대법, 2심 선고 36일만에 파기 환송…'이례적 속도전'" |
대법원 이재명 후보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 판결 관련 기사에 달린 5,000개의 댓글을 분석한 결과입니다:
평가 분류 | 환영 | 중립 | 우려 |
---|---|---|---|
판결 평가 | 1,235건 (24.7%) | 1,812건 (36.2%) | 1,953건 (39.1%) |
사법부 평가 | 854건 (17.1%) | 2,873건 (57.5%) | 1,273건 (25.5%) |
구분 | 환영 댓글 | 우려 댓글 |
---|---|---|
판결 평가 |
"상식과 법치의 승리다. 이제 이재명은 후보직을 사퇴하고 국민 앞에 석고대죄해야 한다." "피선거권 상실은 시간문제다. 누가 봐도 유죄인 사안을 정치적으로 무죄 판결한 고등법원을 바로잡았다." "대법원이 용기있게 올바른 판결을 내렸다. 거짓말하고 공직선거법 위반한 사람이 대통령 될 수 없다." "당연한 결과. 2심은 무슨 생각으로 무죄를 내린 건지 이해가 안 된다." |
"사법 쿠데타가 일어났다. 대법원이 선거에 개입한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대선 코앞인데 이재명 찍으려고 서두르는 꼴이 역겹다. 정치 재판의 극치." "법원이 정치권력의 하수인 노릇을 하는구나. 국민들은 다 알고 있다." "사법부가 정권의 손발이 되어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날이다. 역사가 기억할 것이다." |
사법부 평가 |
"대법원이 정의와 법치를 바로 세웠다. 사법부의 독립성을 지켜냈다." "이번 대법원 판결은 사법적 독립성과 공정성을 보여준 모범 사례다." "사법부가 정치적 압력에 굴하지 않고 법과 원칙대로 판결했다." "선관위 검증 회피한 거짓말쟁이 대선후보를 인정할 수 없다는 상식적인 판결." |
"대법원은 이제 권력의 시녀가 되었다. 사법부의 독립은 끝났다." "사법부가 정치에 개입해서는 안 된다. 이건 명백한 선거 개입이다." "정권 교체 앞두고 사법부가 움직이는 모습이 너무 노골적이다." "법관의 양심은 어디로 갔나? 이런 판결이 공정하다고 볼 수 있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