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2025년 04월 28일 (월) 21:00
이슈 체크
① 20대 인구 급감(-11.0%)과 60대, 70세 이상 고령층 급증(+8.3/15.1%)으로 유권자 구성의 고령화 심화
② 18-19세 신규 유권자(약 89만 명)의 투표 성향의 영향 가능성
③ 여성 유권자는 고령층에서 높은 비중 차지 (70세 이상 여성 비율 57.8%)
④ 40-50대 중장년층이 전체 유권자의 32% 차지하며 핵심 계층으로 부상
구분 | 18-19세 | 20-29세 | 30-39세 | 40-49세 | 50-59세 | 60-69세 | 70세 이상 |
---|---|---|---|---|---|---|---|
인구 비율 | 1.7% | 11.5% | 12.9% | 15.0% | 17.0% | 15.3% | 13.2% |
* 전체 인구(51,183,336명) 기준 비율, 0-17세 인구(13.3%) 제외
연령대 | 전체 | 남성 | 여성 | |
---|---|---|---|---|
전체 인구 | 51,183,336 (-442,225, -0.9%) |
25,479,498 (-258,699, -1.0%) |
25,703,838 (-183,526, -0.7%) |
|
18-19세 | 892,061 (-87,234, -8.9%) |
460,061 (-48,509, -9.5%) |
432,000 (-38,725, -8.2%) |
감소 |
20-29세 | 5,876,842 (-729,909, -11.0%) |
3,056,473 (-408,523, -11.8%) |
2,820,369 (-321,386, -10.2%) |
급감 |
30-39세 | 6,623,561 (-57,946, -0.9%) |
3,460,105 (+6,077, +0.2%) |
3,163,456 (-64,023, -2.0%) |
|
40-49세 | 7,679,566 (-493,235, -6.0%) |
3,906,921 (-244,644, -5.9%) |
3,772,645 (-248,591, -6.2%) |
감소 |
50-59세 | 8,696,609 (+66,546, +0.8%) |
4,386,295 (+22,900, +0.5%) |
4,310,314 (+43,646, +1.0%) |
|
60-69세 | 7,826,668 (+598,312, +8.3%) |
3,857,070 (+314,671, +8.9%) |
3,969,598 (+283,641, +7.7%) |
증가 |
70세 이상 | 6,772,304 (+887,738, +15.1%) |
2,856,448 (+428,093, +17.6%) |
3,915,856 (+459,645, +13.3%) |
급증 |
* 괄호 안은 2022년 2월 대비 변화량과 변화율
권역 | 유권자 수 | 증감율(2022년 대비) | 초고령화율 (70세 이상) |
주요 특징 | |
---|---|---|---|---|---|
서울 | 8,287,538명 | -0.7% | 14.6% | 청년층 감소 지속, 1인 가구 증가 | |
인천/경기 | 14,320,429명 | 2.6% | 12.5% | 수도권 인구 유입 지속, 신도시 개발 | |
대전/세종/충남/충북 | 4,765,702명 | 1.7% | 15.8% | 세종 성장, 타 지역 감소 대비 | |
광주/전남/전북 | 4,266,579명 | -1.3% | 19.1% | 초고령화 심각, 청년층 유출 지속 | 심각 |
대구/경북 | 4,261,037명 | -1.3% | 18.2% | 고령층 비율 높음, 생산인구 감소 | |
부산/울산/경남 | 6,574,694명 | -1.4% | 16.6% | 산업구조 변화, 인구 유출 | |
강원/제주 | 1,891,632명 | -0.3% | 18.0% | 관광지 중심 인구 유입 있으나 초고령화 |
권역 | 전체 유권자 | 남성 | 여성 | 성비 (남/여×100) |
주요 특징 | |
---|---|---|---|---|---|---|
서울 | 8,287,538명 | 3,966,835명 | 4,320,703명 | 91.8 | 여성 인구 비율 높음, 성비 불균형 | |
인천/경기 | 14,320,429명 | 7,165,338명 | 7,155,091명 | 100.1 | 균형적 성비, 젊은층 비율 높음 | |
대전/세종/충남/충북 | 4,765,702명 | 2,411,476명 | 2,354,226명 | 102.4 | 남성 비율 높음, 고학력층 집중 | |
광주/전남/전북 | 4,266,579명 | 2,121,376명 | 2,145,203명 | 98.9 | 초고령화 심각, 여성 고령자 비율 높음 | 심각 |
대구/경북 | 4,261,037명 | 2,113,259명 | 2,147,778명 | 98.4 | 청년층 남성 비율 높음, 고령화 진행 | |
부산/울산/경남 | 6,574,694명 | 3,258,721명 | 3,315,973명 | 98.3 | 산업지역 남성 청년층 집중, 고령화 진행 | |
강원/제주 | 1,891,632명 | 946,368명 | 945,264명 | 100.1 | 청년층 성비 불균형, 고령화 진행 |
권역 | 연령대별 성비 (남성/여성×100) | ||||||
---|---|---|---|---|---|---|---|
18-19세 | 20-29세 | 30-39세 | 40-49세 | 50-59세 | 60-69세 | 70세 이상 | |
서울 | 100.2 | 88.7 | 100.2 | 97.7 | 96.8 | 90.0 | 75.6 |
인천/경기 | 105.9 | 109.3 | 109.7 | 104.6 | 101.0 | 99.2 | 74.8 |
대전/세종/충남/충북 | 106.1 | 117.8 | 117.3 | 107.1 | 107.0 | 101.2 | 73.2 |
광주/전남/전북 | 109.2 | 117.8 | 110.3 | 105.6 | 108.1 | 100.8 | 68.8 |
대구/경북 | 111.0 | 121.0 | 118.0 | 103.7 | 101.5 | 97.4 | 69.8 |
부산/울산/경남 | 109.7 | 118.2 | 112.1 | 104.6 | 100.4 | 95.1 | 72.7 |
강원/제주 | 111.8 | 123.1 | 111.9 | 103.0 | 106.6 | 100.6 | 72.1 |
* 100보다 큰 값은 남성이 더 많음, 100보다 작은 값은 여성이 더 많음을 의미
구분 | 전체 | 남성 | 여성 | 성비(여성 100명당 남성) |
---|---|---|---|---|
18-19세 | 892,061명 | 460,061명 | 432,000명 | 106.5 |
* 18-19세 인구는 전체 인구의 1.74%를 차지
전체 | 남성 | 여성 |
---|---|---|
1,101,568명 | 585,122명 | 516,446명 |
이슈 체크
① 온라인 공간의 성별 불균형 심화 - 실제 인구는 남녀 균등하나 온라인 참여는 남성 74-78% 차지
② 30-40대 이하 온라인 활동 지속 감소(-39~68%) vs 60대 이상 온라인 참여 급증(+21~86%)
③ 2024년 말부터 온라인 활동 반등 추세, 2025년 모든 세대 활동 증가
④ 경제·일자리 관련 기사에서 20-30대 참여 집중, 정치 관련 기사는 50-60대 참여 우세
그림 1: 네이버 뉴스 기사 댓글 사용자 추세 (2021-12-01 이후)
주요 인사이트:
그림 2: 네이버 뉴스 기사 댓글 사용자 남성 연령대 추세 (2021-12-01 이후)
주요 인사이트 - 남성:
그림 3: 네이버 뉴스 기사 댓글 사용자 여성 연령대 추세 (2021-12-01 이후)
주요 인사이트 - 여성:
그림 4: 네이버 뉴스 기사 댓글 사용자 성별 추세 (2021-12-01 이후)
주요 인사이트 - 성별 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