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후보 미디어 활동 분석 보고서(4월 25일 TV토론)

작성: 2025년 4월 26일 15시

종합 요약

  • ① 23일 오마이TV 토론회 대비, 4월 25일 TV토론회의 채팅 참여(+53.9%)와 댓글 참여(+111.4%)가 크게 증가하여 시청자들의 관심도가 높아짐
  • ② 이재명 후보의 긍정 비율이 82.5%에서 86.8%로 상승하여 지지세가 더욱 공고화됨
  • ③ 김동연 후보의 긍정 비율이 26.1%에서 39.4%로 크게 상승하여, 4월 23일 토론회 당시 강했던 부정적 이미지가 다소 완화됨
  • ④ 초기 토론회의 인물 중심 논쟁에서 경제, 복지, 안보, 환경 등 다양한 정책 분야로 논의가 확장됨
  • ⑤ 25일 토론에서는 채널별(JTBC, TVCHOSUN, MBN) 시청자 성향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남
  • ⑥ 23일에는 유튜브 채팅과 댓글의 이재명 후보 지지율이 유사했으나, 4월 25일에는 유튜브 채팅(86.8%)이 댓글(74.4%)보다 크게 높아 시간 경과에 따른 평가 변화 발생
  • ⑦ 긍정 반응 비율이 75.6%에서 91.9%로 크게 증가하여 토론회 전반에 대한 시청자들의 평가가 더욱 긍정적으로 변화

1. 미디어 분석 개요

4월 25일 저녁 10시에 진행된 이재명, 김경수, 김동연 세 후보의 TV토론회(JTBC, MBN, TVCHOSUN) 유튜브 라이브 채팅 데이터 분석

구분 수치 비고
총 작성자 수 4,063개 JTBC(3,135개), TVCHOSUN(807개), MBN(121개)
각 채널 총 채팅 수 33,346개 JTBC(15,715개), TVCHOSUN(16,156개), MBN(1,475개)
총 후보자 언급 횟수 1,716회 이재명(1,342회), 김동연(221회), 김경수(153회)
4월 25일 TV토론회 개요
방송일시 4월 25일 저녁 10시
방송 채널 JTBC, MBN, TVCHOSUN
채널별 작성자 수 JTBC(3,135명), TVCHOSUN(807명), MBN(121명)
참여 후보 이재명, 김동연, 김경수

2. TV토론회 유튜브 채팅 분석

세 방송사(JTBC, MBN, TVCHOSUN)의 유튜브 채널에서 진행된 생중계 영상 채팅을 분석한 결과입니다:

후보자 긍정 중립 부정 언급 횟수
이재명 1,165회 (86.8%) 157회 (11.7%) 20회 (1.5%) 1,342회
김동연 87회 (39.4%) 94회 (42.5%) 40회 (18.1%) 221회
김경수 68회 (44.4%) 66회 (43.1%) 19회 (12.5%) 153회

2.1. 채널별 채팅 참여도

채널 고유 사용자 수 비율 평균 채팅 길이
JTBC 3,135명 77.2% 31.0자
TVCHOSUN 807명 19.9% 37.9자
MBN 121명 3.0% 30.5자

2.2. 후보별 주요 키워드 분석

후보자 자주 등장한 키워드 채널별 언급 횟수
이재명 대통령(268회), 지금은(142회), 화이팅(72회), 👍(124회), 💙(31회) TVCHOSUN(299회), JTBC(1,006회), MBN(37회)
김동연 경제(관련 언급), 통합, 유능 TVCHOSUN(31회), JTBC(185회), MBN(5회)
김경수 화이팅, 민주당, 막내 TVCHOSUN(26회), JTBC(123회), MBN(4회)

3. 주제별 언급 빈도

채팅에서 언급된 주요 주제별 언급 빈도입니다:

주제 TVCHOSUN JTBC MBN 전체
정치 20회 73회 1회 94회
경제 21회 51회 4회 76회
국방 7회 13회 0회 20회
사회 3회 11회 1회 15회
교육 1회 6회 0회 7회

4. 감정 분석

채널별 긍정/부정 표현 분석 결과입니다:

채널 긍정 표현 부정 표현 비율(긍정:부정)
TVCHOSUN 57회 18회 3.2:1
JTBC 270회 10회 27.0:1
MBN 12회 2회 6.0:1
전체 339회 30회 11.3:1

5. 영상 댓글 분석

TV토론 영상에 달린 총 685개의 댓글을 분석한 결과입니다:

채널 댓글 수 고유 작성자 수
TVCHOSUN 201개 96명
JTBC 453개 306명
MBN 31개 15명
전체 685개 417명

5.1. 댓글 내 후보자 언급 횟수

후보자 TVCHOSUN JTBC MBN 전체
이재명 59회 130회 9회 198회
김경수 2회 32회 7회 41회
김동연 3회 22회 2회 27회
합계 64회 184회 18회 266회

5.2. 댓글 감정 분석

각 채널 댓글의 감정 분석 결과입니다:

채널 긍정적 표현 부정적 표현 긍정 비율
TVCHOSUN 25회 14회 64.3%
JTBC 67회 13회 83.9%
MBN 2회 1회 66.7%
전체 94회 28회 77.3%

5.3. 채널별 댓글 주요 키워드

채널 자주 등장한 키워드
TVCHOSUN 이재명(26회), 민주당(15회), 대한민국(13회), 대통령(8회), 토론(7회)
JTBC 이재명(67회), 너무(31회), 민주당(30회), 토론(26회), 역시(23회)
MBN 이재명(6회), 너무(6회), 국민을(5회), 김경수(5회), 토론(4회)

5.4. 유튜브 채팅과 녹화 영상 댓글 비교

유튜브 채팅과 녹화 영상 댓글의 톤과 내용을 비교 분석:

구분 유튜브 채팅 녹화 영상 댓글
총 메시지 수 33,346개 685개
고유 작성자 수 4,063명 417명
긍정 비율 91.9% 77.3%
이재명 언급 비율 78.2% 74.4%
메시지 유형 짧고 감탄사 위주, 이모티콘 다수 길고 서술형, 구체적 의견 제시

5.5. 정책 분야별 언급 분석

토론 영상 댓글에서 언급된 주요 정책 분야별 분석 결과입니다:

정책 분야 TVCHOSUN JTBC MBN 전체
정치/제도 45회 113회 10회 168회
경제/일자리 14회 24회 4회 42회
복지/의료 5회 13회 1회 19회
사회/인권 6회 11회 1회 18회
국방/안보 7회 9회 0회 16회
환경/에너지 5회 5회 3회 13회
교육/문화 4회 7회 1회 12회
과학/기술 5회 5회 1회 11회

5.6. 후보자별 정책 분야 언급

정책 분야 이재명 김동연 김경수
정치/제도 75회 11회 10회
경제/일자리 13회 3회 3회
복지/의료 7회 1회 4회
사회/인권 4회 0회 0회
국방/안보 3회 0회 0회
과학/기술 4회 1회 1회
환경/에너지 0회 0회 0회
교육/문화 1회 0회 0회

5.7. 정책 분야별 주요 논의 내용

정책 분야 주요 내용
정치/제도 - 개헌 및 내각제 도입 논의가 가장 활발했으며, 특히 김동연 후보의 내각제 성향에 대한 비판적 의견이 다수
- 대통령 집무실 세종시 이전 문제와 관련한 개헌 문제 언급
- 통합 정치에 대한 회의적 시각과 진영 간 대립에 대한 우려 표현
- 이재명 후보의 리더십과 통치 능력에 대한 평가가 주를 이룸
경제/일자리 - 경제 정책에 관한 유능함에 대한 평가(특히 이재명 후보)
- 미국 관세 분리 대응론(김동연 후보)에 대한 긍정 평가
- 경제 성장을 위한 규제 개혁에 대한 의견
- 기본소득 등 포퓰리즘 정책에 대한 찬반 논쟁
복지/의료 - 복지 정책 확대와 재정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의
- 경기도의 복지 정책 성과에 대한 평가
- 기본소득과 사회안전망 확충에 대한 의견
- 재정 부담과 세대 간 형평성 문제 제기
환경/에너지 -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정책 관련 논의
- 탈원전 정책에 대한 비판적 시각
-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정책 관련 의견
- 원전 정책 방향에 대한 토론
국방/안보 - 북한 관련 정책 및 안보 이슈에 대한 언급
- 청년층이 요구하는 강력한 리더십과 안보 문제
- 남북관계 방향성에 대한 의견

5.8. 4월 23일 오마이TV 토론회와 4월 25일 TV토론회 비교

23일 오마이TV 토론회와 25일 JTBC, MBN, TVCHOSUN 토론회 데이터를 비교 분석:

구분 23일 오마이TV 토론회 25일 TV토론회 변화
총 유튜브 채팅 수 21,667개 33,346개 +11,679개 (+53.9%)
총 댓글 수 324개 685개 +361개 (+111.4%)
이재명 긍정 비율 82.5% 86.8% +4.3%p
김동연 긍정 비율 26.1% 39.4% +13.3%p
김경수 긍정 비율 45.7% 44.4% -1.3%p
전체 긍정 비율 75.6% 91.9% +16.3%p

5.9. 후보자별 이미지 변화

후보자 4월 23일 주요 키워드 4월 25일 주요 키워드 변화
이재명 대통령(923회), 화이팅(782회), 지금은 이재명(678회), 최고(456회), 응원(412회) 대통령(268회), 지금은(142회), 화이팅(72회), 민주당(123회), 토론(103회) '대통령', '화이팅' 키워드 지속 우위
'토론' 관련 언급 증가
김동연 경제전문가(421회), 통합(312회), 경제9단(287회), 유능(178회)
배신자(541회), 배은망덕(432회)
경제(관련 언급), 통합, 유능
내각제(관련 비판)
경제 전문성 이미지 지속
내각제 관련 비판 증가
김경수 화이팅(143회), 막내아들(89회), 2번(76회)
드루킹(63회), 범죄자(42회)
화이팅, 민주당, 막내 '화이팅', '막내' 이미지 지속
부정 언급 감소

5.10. 토론 주제 변화

두 토론회의 주요 논의 주제 및 관심도 변화입니다:

4월 23일 주요 주제 4월 25일 주요 주제 변화 및 특징
내각제 도입, 임기단축 개헌 정치/제도(168회), 경제/일자리(42회) 정치 제도 관련 논의 지속
경제 주제 심화
김동연의 배은망덕 논란 복지/의료(19회), 사회/인권(18회) 정책 중심 논의로 전환
인물 논쟁 감소
개헌 논의 시기 적절성 국방/안보(16회), 환경/에너지(13회) 안보, 환경 등 정책 범위 확대

5.11. 유튜브 채팅과 댓글 비교 변화

구분 4월 23일 토론회 4월 25일 토론회
유튜브 채팅 vs 댓글
(이재명 긍정 비율)
채팅: 82.5% / 댓글: 82.8%
(+0.3%p)
채팅: 86.8% / 댓글: 74.4%
(-12.4%p)
유튜브 채팅 vs 댓글
(김동연 부정 비율)
채팅: 44.0% / 댓글: 68.0%
(+24.0%p)
채팅: 18.1% / 댓글: 17.3%
(-0.8%p)
채팅/댓글 문체 특징 채팅: 짧고 감탄사 위주
댓글: 길고 서술형, 분석적
채팅: 짧고 이모티콘 다수
댓글: 길고 정책 중심 논의
긍정:부정 비율 변화 채팅: 75.6% / 댓글: 72.2% 채팅: 91.9% / 댓글: 7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