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후보 미디어 활동 분석 보고서(+유튜브 후보토론)

※ 자료: 025년 4월 24일 01시 업데이트

1 미디어 분석 개요

2025년 4월 24일 기준, 36개 채널(공중파, 종편, 진보/보수 포함)의 유튜브 영상 콘텐츠에서 이재명 후보가 언급된 미디어 현황을 분석

구분 수치 비고
총 유튜브 영상 수 287개 제목 또는 설명에 '이재명' 키워드 포함
총 조회수 4,325,516회 평균 조회수: 15,071회/영상
총 좋아요 수 298,754개 평균 좋아요 비율: 6.9% (조회 대비)
총 댓글 수 39,786개 평균 댓글 수: 139개/영상
오마이TV 민주당 대통령후보자 경선 토론회
방송일시 2025년 4월 23일 오후
조회수 78,912회
좋아요 수 10,465개
댓글 수 324개 (+139)
실시간 채팅 수 21,667개
참여 후보 이재명, 김동연, 김경수

2. 민주당 경선 토론회 실시간 채팅 분석

오마이TV에서 주관한 민주당 대통령선거 경선 후보자 토론회(2025.04.23) 생중계 영상에 달린 21,667건의 실시간 채팅을 분석한 결과입니다:

후보자 긍정 중립 부정 합계
이재명 8,412건 (82.5%) 1,124건 (11.0%) 658건 (6.5%) 10,194건
김동연 2,318건 (26.1%) 2,654건 (29.9%) 3,906건 (44.0%) 8,878건
김경수 1,187건 (45.7%) 897건 (34.6%) 511건 (19.7%) 2,595건

2.1. 대표적 채팅 내용

후보자 긍정적 채팅 부정적 채팅
이재명 "트럼프 상대는 이재명대통령 👍👍👍"
"국민 최고의 도구 이재명 💙 대한민국 살릴 이재명"
"이재명 차기대통령! 지금은 오직 이재명 반드시 이나라의 대통령이 되시리라 저는 확신합니다 💙💙💙💙💙💙💙"
"이재명 대통령의 원대한 꿈이 이루어지길!"
"진짜 대한민국 💙 지금은 이재명대통령"
"멀쫌 했어야 후보자격이 있지 선거때 주둥이만 털면 후보냐"
"이재명 대통령이 말만 피하나?"
"나중에 지켜볼 거야 이재명"
김동연 "김동연 파이팅~~~ ☘️☘️☘️"
"💙💙💙💙💙💙💙💙경제 전문가 통합의 적임자 김동연!!!"
"경제9단김동연! 경제9단김동연!"
"정직하다 유능하다 김동연🔥"
"대한민국도 깨끗하고 올곧은, 당당하고 실력있는 대통령 김동연을 가지고 싶어요"
"김동연 당원들의 민심저버린 배신자"
"배은망덕 김동연"
"김동연 자격미달"
"김동연 무능하다"
김경수 "김경수 화이팅"
"민주당 막내아들 김경수!"
"2번엔 김경수 2번엔 김경수 2번엔 김경수 222222222222222김경수 2"
"김경수가 내란 범죄자"
"농담이 장난이 아닌듯"
"능력 부족은 안된다"

2.2. 후보별 주요 키워드 분석

후보자 긍정 키워드 부정 키워드
이재명 대통령(923회), 화이팅(782회), 지금은 이재명(678회), 최고(456회), 응원(412회) 말만(87회), 주둥이(34회), 피하다(29회)
김동연 경제전문가(421회), 통합(312회), 경제9단(287회), 유능(178회) 배신자(541회), 배은망덕(432회), 자격미달(301회), 아웃(287회)
김경수 화이팅(143회), 막내아들(89회), 2번(76회) 드루킹(63회), 범죄자(42회), 능력부족(37회)

3. 녹화영상 댓글 분석 (신규)

오마이TV 토론회 녹화영상에 달린 324개의 댓글을 분석한 결과입니다:

후보자 긍정 중립 부정 합계
이재명 158건 (82.8%) 30건 (15.5%) 3건 (1.7%) 191건
김동연 9건 (9.4%) 22건 (22.6%) 66건 (68.0%) 97건
김경수 18건 (50.0%) 11건 (31.3%) 7건 (18.7%) 36건

3.1. 실시간 채팅과 녹화영상 댓글 비교 (신규)

실시간 채팅과 녹화영상 댓글의 톤과 내용을 비교 분석했습니다:

구분 실시간 채팅 녹화영상 댓글
이재명 긍정 비율 82.5% 82.8% (+0.3%)
김동연 부정 비율 44.0% 68.0% (+24.0%)
김경수 긍정 비율 45.7% 50.0% (+4.3%)
주요 논쟁점 내각제 도입, 임기단축 개헌 김동연의 배은망덕, 개헌 논의 시기 적절성
댓글 문체 짧고 감탄사 위주 길고 서술형, 분석적

4. 토론회 이후 언론 반응 (신규)

주요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