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표 언론보도 감정분석 보고서
- 5단계 감정척도 기반 언론사별 보도 경향성 분석 -

평균 점수
-0.39

작성일: 3월 22일 10:00 | 분석 기간: 3월 15일 ~ 21일 | 데이터 출처: 4,113건의 기사 제목 감정분석

1. 전체 분석 결과

날짜별 감정 변화 추이

날짜 기사 수 평균 점수 총 댓글 수 주요 이슈
3월 15일 (토) 71건 -0.32 27,371개 "모수개혁 합의", "여야 대치" 이슈
3월 16일 (일) 63건 +0.17 20,567개 "이재용 회장 만남 예고", "첫 정재계 회동" 이슈
3월 17일 (월) 678건 -0.29 97,014개 "핵무장론 비판", "민감국가 지정" 이슈
3월 18일 (화) 543건 -0.45 86,709개 "암살 위협설", "광주 방문", "신변보호" 이슈
3월 19일 (수) 778건 -0.98 137,697개 "최상목 몸조심", "방탄복" 관련 발언 이슈
3월 20일 (목) 1,256건 -0.06 95,142개 "이재용 회장 만남", "청년 취업지원" 이슈
3월 21일 (금) 724건 -0.27 82,654개 "동남권 조선업 벨트", "경제 활성화" 이슈
전체 기사 감정 점수 분포
26.3%
4.0%
58.5%
8.0%
3.2%
매우부정
(-2)
다소부정
(-1)
중립
(0)
다소긍정
(+1)
매우긍정
(+2)
2. 언론사별 감정 분석

긍정 언론사 사례

순위 언론사 기사 수 평균 점수 총 댓글 수 매우부정 중립 매우긍정
1 전자신문 51건 +0.16 797개 7.8% 64.7% 5.9%
2 노컷뉴스 82건 +0.13 5,279개 18.3% 47.6% 15.9%
3 이데일리 120건 +0.09 9,589개 18.3% 48.3% 15.0%
4 연합뉴스 673건 +0.05 23,203개 10.8% 71.3% 7.7%
5 아시아경제 86건 -0.08 7,671개 19.8% 50.0% 11.6%
6 뉴스1 551건 -0.19 29,539개 22.5% 62.3% 4.2%
7 매일경제 65건 -0.22 8,884개 24.6% 58.5% 3.1%

부정 언론사 사례

순위 언론사 기사 수 평균 점수 총 댓글 수 매우부정 중립 다소긍정
1 JIBS 17건 -1.65 4,515개 76.5% 11.8% 0.0%
2 전주MBC 15건 -1.20 4,723개 66.7% 26.7% 6.7%
3 조선비즈 14건 -1.07 3,436개 42.9% 42.9% 0.0%
4 동아일보 37건 -1.05 17,974개 45.9% 40.5% 0.0%
5 SBS 75건 -0.99 7,768개 53.3% 32.0% 6.7%
6 KBS 68건 -0.94 5,679개 50.0% 36.8% 5.9%
7 중앙일보 29건 -0.90 16,288개 41.4% 44.8% 3.4%
언론사별 데이터 해석: 감정지수 분석 결과, 통신사와 경제지는 상대적 중립성을 유지하는 반면, 방송사와 지방언론은 뚜렷한 부정 경향이 확인됨. 보수 성향 언론(-0.81)이 진보 성향 언론(-0.65)보다 소폭 더 부정적이나 두 집단 모두 자극적인 제목의 부정 경향성 공유. 기사량이 많은 대형 통신사(연합뉴스 +0.05, 뉴시스 -0.21, 뉴스1 -0.19)와 경제지(이데일리 +0.09)의 상대적 중립성이 전체 여론 분위기 형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
3. 주요 이슈별 감정 분석

3월 15일: 모수개혁 합의/여야 대치 (-0.32)

  • 대표적 부정 제목: "與유경준, 여야 모수개혁 합의에 "이재명 꾀에 넘어가선 안돼""
  • 대표적 긍정 제목: "이재명 "모수개혁 합의, 정치권 대타협의 좋은 사례""

3월 16일: 이재용 만남 예고/정재계 회동 (+0.17)

  • 대표적 부정 제목: "이재명 행보에 '이재용 만남 악수' 악수는 누가 먼저?"
  • 대표적 긍정 제목: "이재명과 이재용…정재계 거두의 첫 만남 '초미의 관심'"

3월 17일: 핵무장론 비판/민감국가 지정 (-0.29)

  • 대표적 부정 제목: "유승민, 이재명 '핵무장론 비판'에 "거짓선동…응분의 책임져야""
  • 대표적 긍정 제목: "이재명·이재용 20일 회동…청년 고용 확산·기업 지원 입법 논의 '주목'"

3월 18일: 암살 위협설/신변보호 (-0.45)

  • 대표적 부정 제목: "경찰, 이재명 '암살 계획설'에 오후부터 신변보호 시작"
  • 대표적 긍정 제목: "이재명 '2심 선고' 임박…민주당, 尹파면 '헌재 압박' 최고조"

3월 19일: 최상목 몸조심/방탄복 (-0.98)

  • 대표적 부정 제목: "권성동 "권한대행에 몸조심하라···이재명, 내란선동죄 현행범""
  • 대표적 긍정 제목: "이재명, 내일 청년 취업간담회서 이재용 만난다…반도체법 논의할까"

3월 20일: 이재용 회장 만남/청년 취업지원 (-0.06)

  • 대표적 부정 제목: "'최상목 몸조심하라' 경고한 이재명, 협박 혐의로 고발당해"
  • 대표적 긍정 제목: "이재명, 이재용과 간담회…청년 사회진출 지원 등 논의"

3월 21일: 동남권 조선업 벨트/경제 활성화 (-0.27)

  • 대표적 부정 제목: "이재명, '최상목 몸조심' 발언 논란에 "1분도 못 버티는 정권 탓""
  • 대표적 긍정 제목: "이재명 "동남권 '조선업 벨트' 부흥시켜 새 성장동력 만들 것""

전체 기간 감정 변화 추이

  • 긍정 전환점: 3월 16일(+0.17) - 이재용 회장 만남 예고
  • 부정 최저점: 3월 19일(-0.98) - 최상목 몸조심 발언
  • 회복 추세: 3월 20일(-0.06) - 이재용 회장과 실제 만남
4. 주요 리스크 및 기회 요인

리스크 요인

  1. 발언 리스크의 증폭: "최상목 몸조심" 발언은 하루 만에 평균 감정점수를 -0.45에서 -0.98로 급락시킴.
  2. 방송사의 부정적 프레이밍: 방송사는 가장 부정적인 보도 경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3월 20일에도 SBS(-1.10)는 부정 보도를 지속함.
  3. 지방언론 관계: 지방언론이 가장 자극적인 보도 경향(-1.05)을 보이며, 지역 여론 형성에 부정적 영향 가능성.
  4. 정치적 발언의 영향력: 핵무장론 관련 발언(-0.29)과 같은 정치적 이슈는 여전히 부정적으로 보도되는 경향이 있음.

기회 요인

  1. 경제 아젠다의 효과성: 이재용 회장과의 만남(3월 20일, -0.06)과 동남권 조선업 벨트(3월 21일, -0.27) 등 경제 관련 아젠다는 호의적 보도 경향.
  2. 통신사의 중립적 보도: 연합뉴스(+0.05), 뉴시스(-0.21) 등 주요 통신사는 상대적으로 중립적인 경향을 보임.
  3. 경제 언론과의 관계 강화: 이데일리(+0.09), 전자신문(+0.16) 등 경제지는 긍정적 보도 경향을 보임.
  4. 주말 아젠다 활용: 주말(3월 16일, +0.17)에 이재용 회장 만남과 같은 긍정적 아젠다 설정이 효과적이었음.
5. 종합 결론 및 제언

본 보고서는 이재명 대표 관련 언론 보도의 객관적 데이터 분석을 통해 매체별·이슈별 경향성을 파악하고 데이터 기반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데이터 기반 주요 발견점:

  1. 매체군별 차별화된 경향성: 통신사/경제지(-0.10~-0.30)와 방송/지방언론(-0.90~-1.05) 간 뚜렷한 감정지수 격차 확인
  2. 아젠다에 따른 급격한 변화: "최상목 발언"(-0.98)과 "이재용 회동"(-0.06) 간 24시간 내 급격한 여론 변화 패턴 관찰
  3. 주말 여론 관리 가능성: 주말(3월 16일)에 긍정 아젠다 설정이 주중 여론 기반 형성에 효과적

데이터 기반 객관적 제언:

  1. 매체 특성별 차별화 전략: 매체군별 뚜렷한 감정지수 차이에 근거한 채널별 맞춤형 접근 필요
  2. 경제 이슈 프레이밍: 감정지수 데이터상 긍정 효과가 확인된 경제 관련 아젠다 활용 고려
  3. 발언 영향력 관리: 일시적 발언이 여론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 관리를 위한 대응 체계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