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표 언론보도 감정분석 보고서
- 5단계 감정척도 기반 언론사별 보도 경향성 분석 -

평균 점수
-0.43

작성일: 3월 21일 10:00 | 분석 기간: 3월 17일 ~ 20일 | 데이터 출처: 3,447건의 기사 제목 감정분석

1. 전체 분석 결과

날짜별 감정 변화 추이

날짜 기사 수 평균 점수 주요 이슈
3월 17일 (월) 705건 -0.29 "핵무장론 비판", "민감국가 지정" 이슈
3월 18일 (화) 597건 -0.45 "암살 위협설", "광주 방문", "신변보호" 이슈
3월 19일 (수) 814건 -0.98 "최상목 몸조심", "방탄복" 관련 발언 이슈
3월 20일 (목) 1,331건 -0.06 "이재용 회장 만남", "청년 취업지원" 이슈
전체 기사 감정 점수 분포
25.4%
4.2%
61.4%
7.0%
2.0%
매우부정
(-2)
다소부정
(-1)
중립
(0)
다소긍정
(+1)
매우긍정
(+2)
2. 언론사별 감정 분석

긍정 언론사 사례

순위 언론사 기사 수 평균 점수 매우부정 중립 매우긍정
1 전자신문 46건 +0.13 8.7% 60.9% 4.3%
2 노컷뉴스 67건 +0.12 19.4% 44.8% 17.9%
3 이데일리 106건 +0.07 19.8% 46.2% 16.0%
4 연합뉴스 589건 +0.03 11.4% 70.3% 7.3%
5 아시아경제 74건 -0.12 20.3% 47.3% 12.2%

부정 언론사 사례

순위 언론사 기사 수 평균 점수 매우부정 중립 다소긍정
1 JIBS 16건 -1.63 75.0% 12.5% 0.0%
2 전주MBC 13건 -1.15 61.5% 30.8% 7.7%
3 조선비즈 10건 -1.00 40.0% 40.0% 0.0%
4 동아일보 30건 -1.00 43.3% 43.3% 0.0%
5 SBS 67건 -0.96 50.7% 34.3% 6.0%
언론사별 데이터 해석: 감정지수 분석 결과, 통신사와 경제지는 상대적 중립성을 유지하는 반면, 방송사와 지방언론은 뚜렷한 부정 경향이 확인됨. 보수 성향 언론(-0.79)이 진보 성향 언론(-0.69)보다 소폭 더 부정적이나 두 집단 모두 자극적인 제목의 부정 경향성 공유. 기사량이 많은 대형 통신사(연합뉴스 +0.03, 뉴시스 -0.24, 뉴스1 -0.22)와 경제지(이데일리 +0.07)의 상대적 중립성이 전체 여론 분위기 형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
3. 주요 이슈별 감정 분석

3월 17일: 핵무장론 비판/민감국가 지정 (-0.29)

  • 대표적 부정 제목: "유승민, 이재명 '핵무장론 비판'에 "거짓선동…응분의 책임져야""
  • 대표적 긍정 제목: "이재명·이재용 20일 회동…청년 고용 확산·기업 지원 입법 논의 '주목'"

3월 18일: 암살 위협설/신변보호 (-0.45)

  • 대표적 부정 제목: "경찰, 이재명 '암살 계획설'에 오후부터 신변보호 시작"
  • 대표적 긍정 제목: "이재명 '2심 선고' 임박…민주당, 尹파면 '헌재 압박' 최고조"

3월 19일: 최상목 몸조심/방탄복 (-0.98)

  • 대표적 부정 제목: "권성동 "권한대행에 몸조심하라···이재명, 내란선동죄 현행범""
  • 대표적 긍정 제목: "이재명, 내일 청년 취업간담회서 이재용 만난다…반도체법 논의할까"

3월 20일: 이재용 회장 만남/청년 취업지원 (-0.06)

  • 대표적 부정 제목: "'최상목 몸조심하라' 경고한 이재명, 협박 혐의로 고발당해"
  • 대표적 긍정 제목: "이재명, 이재용과 간담회…청년 사회진출 지원 등 논의"
4. 주요 리스크 및 기회 요인

리스크 요인

  1. 발언 리스크의 증폭: "최상목 몸조심" 발언은 하루 만에 평균 감정점수를 -0.45에서 -0.98로 급락시킴.
  2. 방송사의 부정적 프레이밍: 방송사는 가장 부정적인 보도 경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3월 20일에도 SBS(-1.10)는 부정 보도를 지속함.
  3. 지방언론 관계: 지방언론이 가장 자극적인 보도 경향(-1.02)을 보이며, 지역 여론 형성에 부정적 영향 가능성.

기회 요인

  1. 경제 아젠다의 효과성: 이재용 회장과의 만남 관련 보도는 경제지와 통신사에서 크게 호평받음.
  2. 통신사의 중립적 보도: 연합뉴스(+0.03), 뉴시스(-0.24) 등 주요 통신사는 상대적으로 중립적인 경향을 보임.
  3. 경제 언론과의 관계 강화: 이데일리(+0.07), 아시아경제(-0.12) 등 경제지는 긍정적 보도 경향을 보임.
5. 종합 결론 및 제언

본 보고서는 이재명 대표 관련 언론 보도의 객관적 데이터 분석을 통해 매체별·이슈별 경향성을 파악하고 데이터 기반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데이터 기반 주요 발견점:

  1. 매체군별 차별화된 경향성: 통신사/경제지(-0.13~-0.33)와 방송/지방언론(-0.86~-1.02) 간 뚜렷한 감정지수 격차 확인
  2. 아젠다에 따른 급격한 변화: "최상목 발언"(-0.98)과 "이재용 회동"(-0.06) 간 24시간 내 급격한 여론 변화 패턴 관찰

데이터 기반 객관적 제언:

  1. 매체 특성별 차별화 전략: 매체군별 뚜렷한 감정지수 차이에 근거한 채널별 맞춤형 접근 필요
  2. 경제 이슈 프레이밍: 감정지수 데이터상 긍정 효과가 확인된 경제 관련 아젠다 활용 고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