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2025년 3월 18일 12:00 | 데이터 출처: 네이버 뉴스 기사 및 댓글 (03-14 ~ 03-17)
날짜 | 기사 수(건) | 비율(%) | 댓글 수(건) | 평균 댓글/기사 |
---|---|---|---|---|
03-14 | 2 | 0.3 | 66 | 33.0 |
03-15 | 130 | 19.9 | 19,908 | 153.1 |
03-16 | 118 | 18.0 | 9,458 | 80.2 |
03-17 | 404 | 61.8 | 24,545 | 60.8 |
합계 | 654 | 100 | 53,977 | 82.5 |
언론사 | 총 기사(건) | 정부 비판(%) | 야당 비판(%) | 중립(%) |
---|---|---|---|---|
KBS | 35 | 42.8 | 14.3 | 42.9 |
서울경제 | 14 | 57.1 | 7.2 | 35.7 |
연합뉴스 | 35 | 42.9 | 5.7 | 51.4 |
경향신문 | 19 | 52.6 | 15.8 | 31.6 |
한겨레 | 11 | 45.5 | 9.1 | 45.5 |
조선일보 | 8 | 12.5 | 50.0 | 37.5 |
YTN | 32 | 43.8 | 18.8 | 37.5 |
언론사별 평균 댓글 수/기사(건)
순위 | 기사 제목 | 언론사 | 댓글(건) | 날짜 |
---|---|---|---|---|
1 | 권영세 "이재명이 유력 대권 후보라 민감국가 지정" | 경향신문 | 1,723 | 03-17 |
2 | 美, 韓 민감국가 지정에… 한동훈 "계엄 막으려 앞장 선 이유" | 서울경제 | 1,549 | 03-15 |
3 | 한동훈 "미국의 민감국가 지정…이런 일 우려해 계엄 막은 것" | JTBC | 1,258 | 03-16 |
4 | 민감국가 지정 몰랐던 정부…탄핵정국 속 한미소통 '삐걱' | 연합뉴스 | 1,248 | 03-15 |
5 | 美민감국가 지정 배경 아직도 오리무중…정부 대응 한계 우려 | 연합뉴스 | 999 | 03-17 |
6 | [속보] 與 "美 민감국가 지정, '친중·반미' 이재명이 가장 큰 원인" | 대전일보 | 850 | 03-17 |
7 | 한동훈 "美, 한국 '민감국가' 지정…계엄 신속히 막은 이유" | 서울신문 | 852 | 03-15 |
8 | 민감국가 지정이 "반미친중 이재명 국정장악 탓"이라는 권영세 | 한겨레 | 645 | 03-17 |
9 | '민감국가'도 민주당 탓이라는 국민의힘‥민주당 "우리가 여당이냐?" | MBC | 581 | 03-17 |
주요 언론사: 서울경제(57.1%), 경향신문(52.6%), 한겨레(45.5%)
기사 제목 예시: "민주당 '美 민감국가' 지정 이후 한미동맹 균열 우려… 尹 파면해야", "이재명, 미국 韓 민감국가 지정에 '완벽한 외교 실패이자 정부 실패'"
주요 언론사: 조선일보(50.0%), 대전일보(66.7%)
기사 제목 예시: "與 '美 민감국가 지정, 친중·반미 이재명이 가장 큰 원인'", "권영세 '이재명이 유력 대권 후보라 민감국가 지정'"
미국의 한국 '민감국가' 지정 이슈는 2025년 3월 17일 기준으로 정점 단계에 위치.
(이슈 생명주기(발생→증폭→정점→정리) 관점)
정리 시기 예측: 4월 10~15일 사이 외교적 해결 또는 차기 이슈 등장으로 정리 단계 진입 예상
미국의 한국 '민감국가' 지정 이슈는 3월 17일 기사량 폭증과 여야 지도부의 적극 개입으로 정점 단계에 진입했으며, 정부 무능 비판 프레임과 함께 새롭게 등장한 '이재명 원인론'과 '보안문제설'의 대립 구도가 형성되었습니다. 양측의 대응 전략이 더욱 정교화되는 가운데, 다음과 같은 전략적 대응이 필요합니다.
핵심 실행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