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2025년 3월 17일 12:00 | 데이터 출처: 네이버 뉴스 기사 및 댓글 (03-14 ~ 03-16)
날짜 | 기사 수(건) | 비율(%) | 댓글 수(건) | 평균 댓글/기사 |
---|---|---|---|---|
03-14 | 2 | 0.8 | 66 | 33.0 |
03-15 | 130 | 52.0 | 19,908 | 153.1 |
03-16 | 118 | 47.2 | 9,458 | 80.2 |
합계 | 250 | 100 | 29,432 | 117.7 |
언론사 | 총 기사(건) | 정부 비판(%) | 야당 비판(%) | 중립(%) |
---|---|---|---|---|
서울경제 | 7 | 66.7 | 0.0 | 33.3 |
경향신문 | 6 | 66.7 | 33.3 | 0.0 |
연합뉴스 | 16 | 50.0 | 0.0 | 50.0 |
한겨레 | 5 | 33.3 | 0.0 | 66.7 |
조선일보 | 3 | 0.0 | 50.0 | 50.0 |
KBS | 11 | 45.5 | 9.1 | 45.5 |
YTN | 16 | 56.3 | 6.3 | 37.5 |
언론사별 평균 댓글 수/기사(건)
순위 | 기사 제목 | 언론사 | 댓글(건) | 날짜 |
---|---|---|---|---|
1 | 美, 韓 민감국가 지정에… 한동훈 "계엄 막으려 앞장 선 이유" | 서울경제 | 1,549 | 03-15 |
2 | 한동훈 "미국의 민감국가 지정…이런 일 우려해 계엄 막은 것" | JTBC | 1,258 | 03-16 |
3 | 민감국가 지정 몰랐던 정부…탄핵정국 속 한미소통 '삐걱' | 연합뉴스 | 1,248 | 03-15 |
4 | 한동훈 "美, 한국 '민감국가' 지정…계엄 신속히 막은 이유" | 서울신문 | 852 | 03-15 |
5 | 한국, 이미 '민감국가' 포함…'탄핵정국' 바이든 정부 말 조치 | JTBC | 746 | 03-15 |
6 | 한동훈, '韓 민감국가 지정'에 "이래서 계엄 막으려 했는데" | 시사저널 | 738 | 03-15 |
7 | 민주, '美민감국가' 지정에 "한미동맹 균열… 尹 빨리 파면해야" | 한국일보 | 727 | 03-15 |
8 | 野, '美민감국가' 지정에 "한미동맹 균열 우려…尹 파면해야" | 연합뉴스 | 695 | 03-15 |
9 | 미 '민감국가' 리스트 포함 논란 확산…야3당 '제 역할 못한 정부 책임' | 경향신문 | 671 | 03-15 |
주요 언론사: 서울경제(66.7%), 경향신문(66.7%), YTN(56.3%)
기사 제목 예시: "민주당 '美 민감국가' 지정 이후 한미동맹 균열 우려… 尹 파면해야", "미국 '민감국가' 목록에 한국 추가…정부, 두달간 전혀 몰라"
주요 언론사: 조선일보(50.0%)
기사 제목 예시: "美 민감국가 지정에…'탄핵 남발 탓' vs '尹 정부 무능'", "여야, 민감국가 지정 '공방'…'내란 후과' vs '연쇄 탄핵 때문'"
미국의 한국 '민감국가' 지정 이슈는 2025년 3월 16일 기준으로 증폭 단계에 위치. (이슈 생명주기(발생→증폭→정점→정리) 관점).
정리 시기 예측: 4월 15일 시행일 전후 외교적 합의나 실질적 영향 확인 시 가능성 높음
미국의 한국 '민감국가' 지정 관련 보도에서는 윤석열 정부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압도적으로 많은 가운데, 정부의 대응 부족과 한미동맹 위기에 대한 우려가 주요 프레임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 이슈가 현 탄핵 정국과 결합되어 정치적으로 활용되는 양상이 뚜렷합니다.
핵심 실행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