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 실시간라이브 댓글 비교 분석 보고서
- 3월 9일~10일 여론 변화 추적 -

작성일: 2025년 3월 11일 | 데이터 출처: YTN 유튜브채널 실시간라이브 댓글

1. 댓글 내용 및 프레임 변화

주요 키워드 변화

  • '탄핵'이 가장 많이 언급된 키워드로 부상 (1위로 상승)
  • '대통령', '민주당' 키워드 언급 크게 증가
  • '내란', '공수처', '파면' 등 법적 용어 사용 강화
  • '심우정' 관련 댓글이 상위권으로 부상 (9위→5위)
키워드 변화의 맥락 해석: "탄핵"과 "대통령" 키워드의 급격한 증가는 해당 기간 정치적 이슈가 격화되었음을 시사. 특히 "내란" 관련 프레임이 강화되는 추세로, 정치적 논쟁이 법적 차원으로 확대됨을 보여줌.

반복 댓글 패턴 변화

  • 이틀 전: 단순 감정 표현("ㅋㅋ") 및 경제 위기 경고 중심
  • 하루 전: 구체적 비난/주장 및 법적 용어 사용 증가
  • 반복 댓글 유형 크게 증가 (164개 → 223개, +36.0%)
  • 최대 반복 횟수도 증가 (75회 → 97회)
이틀 전 상위 반복: "계엄하고 외국투자자 200조 빠져 ㅋㅋㅋ환율폭등 ㅋㅋ경제 폭망 ㅋㅋ..."
하루 전 상위 반복: "이넘들아 ■■■내란범들의:face-orange-frowning::card-red-penalty::card-red-penalty:인권만 보여 ㅡㅡ■분 단위로 계산해 ㅡㅡㅡ구속기각이냐 !"

내용 표현 방식 변화

  • 단순 감정 표현에서 구체적 주장/비난으로 변화
  • 경제적 우려 중심 → 법적 용어 및 프레임 중심으로 변화
  • "부정선거" 관련 댓글 감소, "내란" 관련 댓글 증가
  • 특정 인물(심우정, 김건희 등)에 대한 타겟팅 강화
  • 이모티콘 사용 패턴: 웃음 표현(ㅋㅋ) → 비판/경고 관련 이모티콘

심우정 관련 댓글 변화 사례

  • 이틀 전 표현: "심우정 구속", "심우정 탄핵" 형태의 단순 주장
  • 하루 전 표현:
    • "심우정 내란동조로 쳐 넣어라" (다수 반복)
    • "심우정은 내란 수괴 급!" (법적 프레임 강화)
    • "입벌구의 처남친구 마약덮개 내란공범 심우정 탄핵하라" (연계 주장)
  • 맥락 변화: 단독 인물 → 다른 인물과 연계 (공모관계 암시)
  • 감정 표현: 비판/분노 → 분노/경멸 (감정 강도 심화)
중요 발견점: 심우정에 대한 댓글은 단순 비판/탄핵 요구에서 "내란동조"라는 구체적 혐의 프레임으로 변화. 특히 "내란 수괴 급!"이라는 표현이 다수 등장하며 법적 용어를 활용한 프레임 구축 시도가 관찰됨.
2. 댓글 작성 패턴 및 시간대별 변화

시간대별 활동 변화

  • 심야 시간대(00-06시): 가장 큰 증가율 보임 - 적극적 참여층 확대
  • 오전 시간대(06-12시): 크게 증가 - 뉴스 소비 및 반응 패턴 변화
  • 오후 시간대(12-18시): 소폭 감소 - 관심 시간대 이동
  • 피크 시간대: 22시 유지, 다만 16시→12시로 낮 피크 이동

댓글 길이 및 구조 변화

  • 댓글 길이 분포는 거의 변화가 없음 (비율 기준)
  • 짧은 댓글이 여전히 절반 이상을 차지 (~54%)
  • 중간 길이와 긴 댓글 비율도 유사하게 유지
  • 전체적인 댓글 구조 패턴 유지 - 짧은 구호형 댓글 선호

이모티콘/특수문자 사용 패턴

  • 사용 비율: 소폭 증가 (54.47% → 55.03%)
  • 사용 패턴 변화:
    • 이틀 전: 웃음 표현(ㅋㅋ) 등 감정 표현 중심
    • 하루 전: ":face-orange-frowning:", ":card-red-penalty:" 등 비판/경고 관련 이모티콘 증가
  • 시각적 강조: 특수문자(■■■■)를 활용한 시각적 주목도 향상 전략 강화
  • 목적성 변화: 단순 감정 표현 → 논점 강조 및 주목도 향상

조직적 활동 징후

  • 반복 댓글: 동일한 문구가 최대 97회까지 반복됨
  • 유형 증가: 10회 이상 반복된 댓글 유형이 164개→223개로 36.0% 증가
  • 유사 패턴: 문장 구성과 이모티콘 사용이 완전히 동일한 댓글이 다수 계정에서 발견
  • 시간 집중: 특정 시간대(22시, 심야)에 집중된 댓글 활동 관찰
  • 특정 주제: "내란동조", "심우정", "탄핵" 관련 댓글의 조직적 반복
분석 인사이트: 댓글 길이 분포는 거의 변화가 없으나, 이모티콘 사용 패턴이 단순 감정 표현에서 비판적 맥락의 시각적 강조로 변화. 특히 특정 인물 비판 시 이모티콘과 특수문자를 활용한 시각적 강조 전략이 증가함.
종합 함의 및 여론 변화 전망

핵심 발견점

  1. 여론 관심도의 급격한 상승: 댓글 수 24.3% 증가는 정치적 이슈에 대한 관심 폭발을 의미
  2. 법적 프레임 강화: "탄핵", "내란" 관련 용어 사용 증가, 정치적 논쟁이 법적 프레임으로 전환
  3. 인물 타깃팅의 변화: "심우정"에 대한 언급이 9위→5위로 상승하며 비판 강도 심화
  4. 조직적 댓글 활동 강화: 10회 이상 반복된 댓글 유형 36.0% 증가, 최대 반복 횟수도 증가
  5. 심야/오전 시간대 활동 급증: 특히 심야, 오전 시간대 댓글 증가로 24시간 여론전 양상

정치적 함의 및 전망

  1. 정치적 양극화 심화: 댓글의 정치적 주장이 더욱 명확하고 강경해지는 추세
  2. 법적 프레임 경쟁: "내란", "탄핵", "공수처" 등 법적 용어 사용 증가로 정치적 대립의 법적 프레임화 가속
  3. 여론 형성 전략 변화: 단순 감정 표현에서 구체적 주장/비난 및 시각적 효과 활용으로 변화
  4. 인물 중심 비판 강화: 특히 심우정에 대한 비판이 "내란동조"라는 구체적 혐의 형태로 조직화
  5. 기존 이슈 약화, 새 이슈 부상: "부정선거" 관련 언급 감소, "내란" 관련 언급 증가

정책적 제언

  1. 댓글 모니터링 강화: 반복 패턴 및 시간대별 변화에 주목한 지속적 모니터링 필요
  2. 키워드 추이 분석: "탄핵", "내란", "심우정" 등 핵심 키워드 추이 지속 관찰
  3. 조직적 활동 파악: 특정 시간대(22시, 심야) 집중 현상에 주목하여 조직적 활동 시간 분석
  4. 프레임 대응 전략 수립: "내란" 관련 법적 프레임에 대한 사실 기반 대응 마련
  5. 다매체 여론 비교: 유튜브 외 타 플랫폼(네이버, 다음 등)과의 여론 비교 분석 필요
댓글 분석 통계 데이터

1. 핵심 데이터 비교

구분 이틀 전 (3/9-10) 하루 전 (3/10-11) 변화
총 댓글 수 35,253개 43,808개 +8,555개 (+24.3%)
피크 시간대 22시(3,021개), 16시(3,178개) 22시(3,011개), 12시(2,603개) 피크는 유지, 분포 변화
정치 관련 댓글 비율 20.89% (7,364개) 19.13% (8,379개) -1.76%p
10회 이상 반복된 댓글 유형 164개 223개 +59개 (+36.0%)
이모티콘/특수문자 사용 비율 54.47% 55.03% +0.56%p

2. 주요 키워드 변화 추이

키워드 이틀 전 하루 전 변화율
탄핵 667회 2,891회 +333.4%
윤석열 728회 1,870회 +156.9%
민주당 541회 1,608회 +197.2%
대통령 466회 1,599회 +243.1%
이재명 576회 1,284회 +122.9%
심우정 225회 678회 +201.3%

3. 심우정 관련 댓글 변화

구분 이틀 전 하루 전
언급 빈도 561회 (9위) 678회 (5위)
주요 표현 "심우정 구속", "심우정 탄핵" "심우정 내란동조로 쳐 넣어라"
"심우정은 내란 수괴 급!"
반복 패턴 중간-낮은 빈도 높은 빈도 (최대 30회 반복)

4. 시간대별 활동 변화

시간대 이틀 전 하루 전 변화율
오전(06-12시) 6,357개 (18.0%) 9,353개 (21.4%) +47.1%
오후(12-18시) 10,651개 (30.2%) 10,543개 (24.1%) -1.0%
저녁(18-24시) 11,602개 (32.9%) 13,673개 (31.2%) +17.9%
심야(00-06시) 6,643개 (18.8%) 10,239개 (23.4%) +54.1%

5. 댓글 길이 및 구조 변화

길이 구분 이틀 전 하루 전 변화
짧은 댓글 (20자 이하) 54.5% (19,219개) 53.9% (23,612개) -0.6%p
중간 길이 (21-50자) 28.1% (9,921개) 28.7% (12,586개) +0.6%p
긴 댓글 (50자 초과) 17.3% (6,113개) 17.4% (7,610개) +0.1%p
댓글 분석 방법론 및 데이터 한계점

분석 방법론

  • 텍스트 마이닝 및 키워드 빈도 분석
  • 시계열 비교 분석 (이틀 전 vs 하루 전)
  • 반복 패턴 및 조직적 활동 징후 탐지
  • 정성적 내용 분석 (심우정 등 특정 인물 관련)
  • 감정 분석 및 프레임 분석

데이터 한계점

  • 댓글 작성자의 중복 여부 확인 불가
  • 자동 생성 댓글/봇 활동 구분 한계
  • 전체 시청자 대비 댓글 작성자의 대표성 부족
  • 시간대별 댓글 블록 삭제 가능성
  • 유튜브 알고리즘의 댓글 노출 영향

분석 관점 및 시사점

  • 여론 형성보다는 '온라인 여론전' 관점에서 해석
  • 전체 국민 여론보다는 적극적 참여자 의견으로 제한
  • 댓글 특성상 극단적/감정적 의견 과대 대표 가능성
  • 정치적 양극화 현상의 온라인 표출로 해석
  • 조직적 활동의 영향력 고려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