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 Black을 잘못 표시한 사람들

랜덤화출석부에 있는 Red, Black 과 실제 구글예습퀴즈에 올린 Red, Black 이 여전히 다른 사람들이 있어서 파악해 보았습니다. Red를 Black 이라고 한 사람의 수효(4명)과 Black을 Red 라고 한 사람의 수효(5명)이 매우 닮았습니다. 9명을 랜덤하게 둘로 나누었을 때 더 이상 닮아질 수는 없습니다.

  Red(구글예습퀴즈) Black(구글예습퀴즈)
Red(랜덤화출석부) 352 4
Black(랜덤화출석부) 5 366

퀴즈 응답 비교

Q1. 국세와 지방세 비중

국세와 지방세 비중(집계표)

  78:22 77:23 76:24 75:25 74:26
Red 24 59 63 41 170 357
Black 26 68 67 31 178 370
50 127 130 72 348 727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2.182 4 0.7023

국세와 지방세 비중(%)

78:22 77:23 76:24 75:25 74:26
6.9 17.5 17.9 9.9 47.9 100.0

Q2. 조세부담률

조세부담률(집계표)

  10% 15% 20% 25% 30%
Red 11 34 259 49 4 357
Black 12 34 261 50 13 370
23 68 520 99 17 727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4.595 4 0.3314

조세부담률(%)

10% 15% 20% 25% 30%
3.2 9.4 71.5 13.6 2.3 100.0

Q3. OECD 국민부담률

OECD 국민부담률(집계표)

  조세 뿐 아니라 사회보장기여금을 포함하는 모든 강제적 납부액을 명목 GDP 대비 비율로 표시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국민부담률은 2010년 22.4%에서 꾸준히 상승하여 2020년 27.9%에 달하였다. OECD평균은 2010년 31.6%에서 2020년 33.5%까지 상승하였다. 프랑스와 스웨덴의 국민부담률은 꾸준히 40%를 넘고 있다. 미국의 국민부담률은 우리나라의 국민부담률보다 항상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Red 22 43 37 26 229 357
Black 19 48 35 32 236 370
41 91 72 58 465 727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1.044 4 0.9031

OECD 국민부담률(%)

조세 뿐 아니라 사회보장기여금을 포함하는 모든 강제적 납부액을 명목 GDP 대비 비율로 표시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국민부담률은 2010년 22.4%에서 꾸준히 상승하여 2020년 27.9%에 달하였다. OECD평균은 2010년 31.6%에서 2020년 33.5%까지 상승하였다. 프랑스와 스웨덴의 국민부담률은 꾸준히 40%를 넘고 있다. 미국의 국민부담률은 우리나라의 국민부담률보다 항상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5.6 12.5 9.9 8.0 64.0 100.0

Q4. 과세대상 근로소득 1,200만 원

과세대상 근로소득 1,200만 원(집계표)

  952만 명 779만 명 166만 명 38만 명
Red 178 84 77 18 357
Black 182 91 85 12 370
360 175 162 30 727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1.688 3 0.6397

과세대상 근로소득 1,200만 원(%)

952만 명 779만 명 166만 명 38만 명
49.5 24.1 22.3 4.1 100.0

Q5. 소득세 실효세율

소득세 실효세율(집계표)

  0.2% 15.1% 37.4% 5.9%
Red 8 94 37 218 357
Black 22 98 40 210 370
30 192 77 428 727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6.653 3 0.08383

소득세 실효세율(%)

0.2% 15.1% 37.4% 5.9%
4.1 26.4 10.6 58.9 100.0

Q6. 기업규모별 과세 현황

기업규모별 과세 현황(집계표)

  중소기업이 신고법인수의 91%를 차지하는 데 부담하는 세액은 24.6%이다 중견기업은 신고법인수의 0.5%를 차지하는 데 부담하는 세액은 8.7%이다 상호출자제한기업은 신고법인수의 0.1%를 차지하는 데 부담하는 세액은 25.5%이다 그 외 대기업은 신고법인수의 8.3%를 차지하는 데 부담하는 세액은 41.2%이다 법인당 평균세액은 상호출자제한기업 > 그외 대기업 > 중견기업 > 중소기업의 순서로 많이 부담하였다.
Red 28 43 52 67 167 357
Black 35 58 50 66 161 370
63 101 102 133 328 727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2.93 4 0.5695

기업규모별 과세 현황(%)

중소기업이 신고법인수의 91%를 차지하는 데 부담하는 세액은 24.6%이다 중견기업은 신고법인수의 0.5%를 차지하는 데 부담하는 세액은 8.7%이다 상호출자제한기업은 신고법인수의 0.1%를 차지하는 데 부담하는 세액은 25.5%이다 그 외 대기업은 신고법인수의 8.3%를 차지하는 데 부담하는 세액은 41.2%이다 법인당 평균세액은 상호출자제한기업 > 그외 대기업 > 중견기업 > 중소기업의 순서로 많이 부담하였다.
8.7 13.9 14.0 18.3 45.1 100.0

국민부담률 적정 수준

Q7. 아일랜드와 OECD 평균

질문 내용에 의도하는 바를 담으면 어떨까요? OECD 국가 중 국민부담률이 매우 낮은 편인 아일랜드의 사례를 들어서 감세정책이 가져온 긍정적적인 효과에 대해서 설명하고 우리나라의 바람직한 조정 방향은 무엇이냐고 묻는 것을 Red, 감세 정책이 가져온 부정적인 효과에 대해서 설명하고 우리나라의 바람직한 조정 방향은 무엇이냐고 묻는 것을 Black 에 배치했을 때, 설명이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 Red 와 Black에 차이가 없어야 할텐데 집계결과는 어떻게 나오고 있나요? 분명히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고 있습니다. 감세정책의 효과가 긍정적이라고 설명한 Red 에서는 낮춰야 한다는 응답이, 감세정책의 효과가 부정적이라고 설명한 Black 에서는 높여야 한다는 응답이 높게 나온 것을 볼 수 있고, 따라서 p-value 가 엄청나게 작은 값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집계표

  낮춰야 한다 높여야 한다 모름/무응답
Red(감세의 긍정적효과 설명) 144 117 96 357
Black(감세의 부정적 효과 설명) 63 209 98 370
207 326 194 727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57.47 2 3.323e-13 * * *

% 비교

  낮춰야 한다 높여야 한다 모름/무응답
Red(감세의 긍정적효과 설명) 40.3 32.8 26.9 100.0
Black(감세의 부정적 효과 설명) 17.0 56.5 26.5 100.0

Mosaic Plot

제출 시간의 분포

과제 제출이 제출 기간 마지막 날에 몰린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싶어서 하나 추가하였습니다. 아직은 학기초라 덜 한데, 중반 이후가 되면 마지막 날, 그것도 오후2시부터 몰리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조차 랜덤화 효과를 관찰할 수 있네요. p-value 에 유의해 주세요. 제출시간과 관련한 두 가지 현상에 대해서도 여러분의 생각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첫째, 랜덤화 효과. 둘쨰, 마감날에 몰리는 현상.

일 단위 마감 시간으로부터 제출 시간의 분포

분포표 (Red, Black 은 닮았는가?)

일 단위
  [0,1] (1,2] (2,3] (3,4] (4,5] (5,6] (6,7] (7,8] (8,9] (9,10] (10,11] (11,12] (12,13] (13,14]
Red 72 25 20 9 9 12 18 46 41 26 32 19 6 22
Black 82 20 14 9 11 2 14 56 37 36 39 23 12 15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17.07 13 0.196

막대그래프

Mosaic Pl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