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 Black을 잘못 표시한 사람들
랜덤화출석부에 있는 Red, Black 과 실제 구글예습퀴즈에 올린 Red, Black
이 다른 사람들이 있어서 파악해 보았습니다. 랜덤화 효과를 논하기에는 아주
적은 인원이 관찰되었습니다. Red를 Black 이라고 한 사람의 수효(2명)과
Black을 Red 라고 한 사람의 수효(1명)이 비슷합니다. 굳이 학번까지 올린
이유는 그 다음 구글예습퀴즈부터라도 제대로 올려주길 바라서입니다.
20132720 |
Red |
Black |
20181102 |
Red |
Black |
20234132 |
Red |
Black |
Red(랜덤화출석부) |
422 |
3 |
Black(랜덤화출석부) |
0 |
428 |
퀴즈 응답 비교
Q1. Latane and Darley

방관자 효과
Red |
223 |
131 |
59 |
9 |
422 |
Black |
236 |
111 |
62 |
22 |
431 |
계 |
459 |
242 |
121 |
31 |
853 |
Pearson’s Chi-squared test: .
7.453 |
3 |
0.05878 |
Q2. Stanley Milgram

450V까지 누르는 사람
Red |
34 |
87 |
268 |
33 |
422 |
Black |
34 |
90 |
286 |
21 |
431 |
계 |
68 |
177 |
554 |
54 |
853 |
Pearson’s Chi-squared test: .
3.208 |
3 |
0.3607 |
Q3. Solomon Asch

Power of 3
Red |
53 |
73 |
89 |
207 |
422 |
Black |
30 |
63 |
101 |
237 |
431 |
계 |
83 |
136 |
190 |
444 |
853 |
Pearson’s Chi-squared test: .
9.8 |
3 |
0.02035 * |
Q4. BFI 줄 긋기

몇 개나 맞추나?
Red |
52 |
63 |
26 |
51 |
230 |
422 |
Black |
36 |
58 |
35 |
52 |
250 |
431 |
계 |
88 |
121 |
61 |
103 |
480 |
853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5.192 |
NA |
0.2744 |
몇 개나 맞추나? (%)
10.3 |
14.2 |
7.2 |
12.1 |
56.3 |
100.0 |
맞힌 갯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각각 3.5, 1.9 으로 완전히 랜덤하게
골랐을 때의 기대값과 표준편차인 1, 1과 매우 어긋난다.
Q5. 다중지능 짝 짓기

몇 개나 맞추나?
Red |
54 |
25 |
17 |
8 |
18 |
13 |
77 |
210 |
422 |
Black |
41 |
19 |
15 |
15 |
22 |
20 |
80 |
219 |
431 |
계 |
95 |
44 |
32 |
23 |
40 |
33 |
157 |
429 |
853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6.889 |
NA |
0.4353 |
몇 개나 맞추나? (%)
11.1 |
5.2 |
3.8 |
2.7 |
4.7 |
3.9 |
18.4 |
50.3 |
100.0 |
맞힌 갯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각각 5.7, 2.9 으로 완전히 랜덤하게
골랐을 때의 기대값과 표준편차인 1, 1과 매우 어긋난다.
Q6.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점

자기성찰지능의 중요성
Red |
30 |
34 |
60 |
295 |
3 |
422 |
Black |
33 |
24 |
55 |
310 |
9 |
431 |
계 |
63 |
58 |
115 |
605 |
12 |
853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5.362 |
NA |
0.2464 |
자기성찰지능 (%)
7.4 |
6.8 |
13.5 |
70.9 |
1.4 |
100.0 |
Framing Effect
Q7. 삶과 죽음


600명 중 200명이 사는 거나 400명이 죽는 것, 모두 살리는 거나 모두
죽지 않는 것이나 같은 내용임에도 반응이 다르게 나타남에 유의. 손실회피
경향과 같은 현상을 관찰할 수 있음.
집계
생존 프레임 |
258 |
164 |
422 |
사망 프레임 |
138 |
293 |
431 |
계 |
396 |
457 |
853 |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Yates’ continuity correction:
.
71.52 |
1 |
2.739e-17 * * * |
% 비교.
생존 프레임 |
61.1 |
38.9 |
100.0 |
사망 프레임 |
32.0 |
68.0 |
100.0 |
Mosaic Plot

일 단위 마감 시간으로부터 제출 시간의 분포
일 단위
Red |
184 |
58 |
26 |
12 |
10 |
9 |
11 |
25 |
16 |
24 |
9 |
16 |
8 |
14 |
Black |
182 |
50 |
26 |
15 |
14 |
9 |
10 |
31 |
25 |
15 |
9 |
13 |
11 |
20 |
Pearson’s Chi-squared test: .
8.115 |
13 |
0.83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