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구글예습퀴즈) | Black(구글예습퀴즈) | |
---|---|---|
Red(랜덤화출석부) | 340 | 1 |
Black(랜덤화출석부) | 0 | 351 |
1분위의 평균소비성향이 5분위의 평균소비성향보다 낮다 | 1분위의 평균소비성향이 5분위의 평균소비성향보다 높다 | 1분위의 평균소비성향이 5분위의 평균소비성향과 같다 | 1분위의 평균소비성향과 5분위의 평균소비성향은 비교할 수 없다 | 계 | |
---|---|---|---|---|---|
Red | 33 | 219 | 71 | 17 | 340 |
Black | 25 | 240 | 57 | 30 | 352 |
계 | 58 | 459 | 128 | 47 | 692 |
Test statistic | df | P value |
---|---|---|
6.985 | 3 | 0.07237 |
1분위의 평균소비성향이 5분위의 평균소비성향보다 낮다 | 1분위의 평균소비성향이 5분위의 평균소비성향보다 높다 | 1분위의 평균소비성향이 5분위의 평균소비성향과 같다 | 1분위의 평균소비성향과 5분위의 평균소비성향은 비교할 수 없다 | 계 |
---|---|---|---|---|
8.4 | 66.3 | 18.5 | 6.8 | 100.0 |
낙수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 낙수효과를 잘 보여주고 있다 | 소비지출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 고소득층의 평균소비성향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 계 | |
---|---|---|---|---|---|
Red | 192 | 71 | 49 | 28 | 340 |
Black | 220 | 69 | 37 | 26 | 352 |
계 | 412 | 140 | 86 | 54 | 692 |
Test statistic | df | P value |
---|---|---|
3.473 | 3 | 0.3243 |
낙수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 낙수효과를 잘 보여주고 있다 | 소비지출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 고소득층의 평균소비성향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 계 |
---|---|---|---|---|
59.5 | 20.2 | 12.4 | 7.8 | 100.0 |
최고한계세율이 높을 때 상위1%의 소득점유율도 높다. | 최고한계세율이 낮을 때 상위1%의 소득점유율도 낮다. | 최고한계세율이 높을 때 상위1%의 소득점유율은 낮다. | 최고한계세율이 높아지면 상위1%의 소득점유율은 낮아진다. | 계 | |
---|---|---|---|---|---|
Red | 31 | 59 | 205 | 45 | 340 |
Black | 34 | 46 | 221 | 51 | 352 |
계 | 65 | 105 | 426 | 96 | 692 |
Test statistic | df | P value |
---|---|---|
2.517 | 3 | 0.4723 |
최고한계세율이 높을 때 상위1%의 소득점유율도 높다. | 최고한계세율이 낮을 때 상위1%의 소득점유율도 낮다. | 최고한계세율이 높을 때 상위1%의 소득점유율은 낮다. | 최고한계세율이 높아지면 상위1%의 소득점유율은 낮아진다. | 계 |
---|---|---|---|---|
9.4 | 15.2 | 61.6 | 13.9 | 100.0 |
최고한계세율이 높았던 시기에 하위 99%의 소득증가율이 상위1%의 소득증가율 보다 높았다. | 최고한계세율을 높이면 하위 99%의 소득증가율이 상위1%의 소득증가율보다 높아진다. | 최고한계세율이 높았던 시기에 하위 99%의 소득이 상위1%의 소득보다 많았다. | 최고한계세율을 높이면 하위 99%의 소득이 상위1%의 소득보다 많아진다. | 계 | |
---|---|---|---|---|---|
Red | 161 | 75 | 70 | 34 | 340 |
Black | 176 | 74 | 77 | 25 | 352 |
계 | 337 | 149 | 147 | 59 | 692 |
Test statistic | df | P value |
---|---|---|
2.173 | 3 | 0.5373 |
최고한계세율이 높았던 시기에 하위 99%의 소득증가율이 상위1%의 소득증가율 보다 높았다. | 최고한계세율을 높이면 하위 99%의 소득증가율이 상위1%의 소득증가율보다 높아진다. | 최고한계세율이 높았던 시기에 하위 99%의 소득이 상위1%의 소득보다 많았다. | 최고한계세율을 높이면 하위 99%의 소득이 상위1%의 소득보다 많아진다. | 계 |
---|---|---|---|---|
48.7 | 21.5 | 21.2 | 8.5 | 100.0 |
1948년부터 1979년까지는 생산성과 급료가 함께 상승하였다. | 1979년 이후 생산성과 급료가 함께 상승하였다. | 1979년 이후 생산성은 62.5%의 상승을 보였다. | 1979년 이후 급료는 15.9% 의 상승을 보였다. | 계 | |
---|---|---|---|---|---|
Red | 51 | 205 | 52 | 32 | 340 |
Black | 39 | 226 | 52 | 35 | 352 |
계 | 90 | 431 | 104 | 67 | 692 |
Test statistic | df | P value |
---|---|---|
2.55 | 3 | 0.4663 |
1948년부터 1979년까지는 생산성과 급료가 함께 상승하였다. | 1979년 이후 생산성과 급료가 함께 상승하였다. | 1979년 이후 생산성은 62.5%의 상승을 보였다. | 1979년 이후 급료는 15.9% 의 상승을 보였다. | 계 |
---|---|---|---|---|
13.0 | 62.3 | 15.0 | 9.7 | 100.0 |
10억원 | 20억원 | 25억원 | 30억원 | 계 | |
---|---|---|---|---|---|
Red | 23 | 223 | 73 | 21 | 340 |
Black | 22 | 214 | 91 | 25 | 352 |
계 | 45 | 437 | 164 | 46 | 692 |
Test statistic | df | P value |
---|---|---|
2.324 | 3 | 0.508 |
10억원 | 20억원 | 25억원 | 30억원 | 계 |
---|---|---|---|---|
6.5 | 63.2 | 23.7 | 6.6 | 100.0 |
이 질문은 기준점이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서 응답이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국공립대학의 등록금이 무상인 나라들을 소개한 Red군에서는 적정 수준이 “무상” 또는 100만원 이라고 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57.6%로 국공립대학의 등록금이 우리나라보다 높거나 대등한 나라들의 예를 먼저 들고 적정 수준을 물어본 경우(Black)에 “무상” 또는 100만원이라고 응답한 비율인 22.7%보다 월등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500만원 이상을 적정하다고 응답한 비율의 비교도 흥미롭습니다.
무상 | 100만원 | 200만원 | 500만원 | 1,000만원 | 계 | |
---|---|---|---|---|---|---|
Red(등록금무상국가 소개) | 63 | 133 | 121 | 19 | 4 | 340 |
Black(등록금고액국가 소개) | 22 | 58 | 189 | 69 | 14 | 352 |
계 | 85 | 191 | 310 | 88 | 18 | 692 |
Test statistic | df | P value |
---|---|---|
97.93 | 4 | 2.714e-20 * * * |
무상 | 100만원 | 200만원 | 500만원 | 1,000만원 | 계 | |
---|---|---|---|---|---|---|
Red(등록금무상국가 소개) | 18.5 | 39.1 | 35.6 | 5.6 | 1.2 | 100.0 |
Black(등록금고액국가 소개) | 6.2 | 16.5 | 53.7 | 19.6 | 4.0 | 100.0 |
무상, 100만원 => 100만원 이하, 200만원, 500만원, 1,000만원 => 200만원 이상
100만원 이하 | 200만원 이상 | 계 | |
---|---|---|---|
Red(등록금무상국가 소개) | 57.6 | 42.4 | 100.0 |
Black(등록금고액국가 소개) | 22.7 | 77.3 | 100.0 |
[0,1] | (1,2] | (2,3] | (3,4] | (4,5] | (5,6] | (6,7] | (7,8] | (8,9] | (9,10] | (10,11] | (11,12] | (12,13] | (13,14] | |
---|---|---|---|---|---|---|---|---|---|---|---|---|---|---|
Red | 130 | 20 | 20 | 8 | 13 | 4 | 10 | 34 | 22 | 15 | 24 | 9 | 11 | 19 |
Black | 148 | 27 | 7 | 13 | 14 | 8 | 15 | 29 | 18 | 15 | 16 | 14 | 10 | 17 |
Test statistic | df | P value |
---|---|---|
15.47 | 13 | 0.27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