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 Black을 잘못 표시한 사람들

랜덤화출석부에 있는 Red, Black 과 실제 구글예습퀴즈에 올린 Red, Black 이 다른 사람들이 있어서 파악해 보았습니다. 대부분 제대로 적은 결과 단 세명이 잘못 적어 냈습니다. Red를 Black 이라고 한 사람의 수효가 2명입니다.

  Red(구글예습퀴즈) Black(구글예습퀴즈)
Red(랜덤화출석부) 359 1
Black(랜덤화출석부) 0 373

퀴즈 응답 비교

Q1. OECD 2022년 9월 실업률 비교

실업률 가장 낮은 나라

  스페인 미국 OECD 전체 대한민국
Red 19 25 15 300 359
Black 25 26 13 310 374
44 51 28 610 733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0.838 3 0.8404

실업률 가장 낮은 나라 (%)

스페인 미국 OECD 전체 대한민국
6.0 7.0 3.8 83.2 100.0

Q2. 고용률의 산식

고용률?

  경제활동인구 / 15세이상 인구 취업자 / 경제활동인구 취업자 / 15세 이상 인구 실업자 / 경제활동인구
Red 43 80 218 18 359
Black 37 93 226 18 374
80 173 444 36 733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1.265 3 0.7376

고용률? (%)

경제활동인구 / 15세이상 인구 취업자 / 경제활동인구 취업자 / 15세 이상 인구 실업자 / 경제활동인구
10.9 23.6 60.6 4.9 100.0

Q3. 취업자의 조건

취업자란?

  조사 대상 주간 중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한 자 자기 가구에서 경영하는 농장이나 사업체의 수입을 높이는 데 도운 가족종사자로서 주당 18시간 이상 일한 자 조사대상 주간에 일시적으로 병이 나거나, 날씨가 안 좋거나, 휴가 또는 연가, 노동쟁의 등의 이유로 일을 못한 일시 휴직자 조사대상 주간에 수입 있는 일을 하지 않았으나, 지난 4주간 구직활동하였으며 즉시 취업 가능한자
Red 31 55 67 206 359
Black 32 41 73 228 374
63 96 140 434 733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3.124 3 0.3729

취업자란? (%)

조사 대상 주간 중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한 자 자기 가구에서 경영하는 농장이나 사업체의 수입을 높이는 데 도운 가족종사자로서 주당 18시간 이상 일한 자 조사대상 주간에 일시적으로 병이 나거나, 날씨가 안 좋거나, 휴가 또는 연가, 노동쟁의 등의 이유로 일을 못한 일시 휴직자 조사대상 주간에 수입 있는 일을 하지 않았으나, 지난 4주간 구직활동하였으며 즉시 취업 가능한자
8.6 13.1 19.1 59.2 100.0

Q4. 평균과 중위값

집계

  평균 : 100만원, 중위값 : 200만원 평균 : 200만원, 중위값 : 100만원 평균 : 1,000만원, 중위값 : 100만원 평균 : 100만원, 중위값 : 1,000만원
Red 38 245 56 20 359
Black 47 267 46 14 374
85 512 102 34 733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3.632 3 0.304

%

평균 : 100만원, 중위값 : 200만원 평균 : 200만원, 중위값 : 100만원 평균 : 1,000만원, 중위값 : 100만원 평균 : 100만원, 중위값 : 1,000만원
11.6 69.8 13.9 4.6 100.0

Q5. 평균과 중위값

집계

  평균 : 100만원, 중위값 : 200만원 평균 : 200만원, 중위값 : 100만원 평균 : 1,000만원, 중위값 : 100만원 평균 : 100만원, 중위값 : 1,000만원
Red 23 66 229 41 359
Black 21 48 264 41 374
44 114 493 82 733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5.113 3 0.1637

%

평균 : 100만원, 중위값 : 200만원 평균 : 200만원, 중위값 : 100만원 평균 : 1,000만원, 중위값 : 100만원 평균 : 100만원, 중위값 : 1,000만원
6.0 15.6 67.3 11.2 100.0

Q6. 연 500만원 이하 근로소득자의 비율

집계

  5% 10% 15% 19.1% 25%
Red 20 55 57 219 8 359
Black 22 48 55 237 12 374
42 103 112 456 20 733
Pearson’s Chi-squared test: .
Test statistic df P value
1.811 4 0.7705

%

5% 10% 15% 19.1% 25%
5.7 14.1 15.3 62.2 2.7 100.0

디폴트 효과

Q7. … 하면 표시하세요.의 효과

표시하지 않으면 사후 장기기증 의사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경우(Red)와 표시하면 사후 장기기증 의사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경우(Black), 표시하지 않으면 사후 장기기증 의사가 있다고 보는 질문지(Red)에 사후 장기기증 의사 비율이 더 높게 나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관찰 결과는 반대로 나옴. 어디다 디폴트를 두느냐에 따라 조사결과가 달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응답 결과는 랜덤화 효과에 가까움.

집계 (전체)

  사후 장기기증 의사 있음 사후 장기기증 의사 없음
Red(사후 장기기증 의사 없으면 표시) 147 212 359
Black(사후 장기기증 의사 있으면 표시) 228 146 374
375 358 733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Yates’ continuity correction: .
Test statistic df P value
28.57 1 9.022e-08 * * *

% 비교

  사후 장기기증 의사 있음 사후 장기기증 의사 없음
Red(사후 장기기증 의사 없으면 표시) 40.9 59.1 100.0
Black(사후 장기기증 의사 있으면 표시) 61.0 39.0 100.0

합산(%)

  사후 장기기증 의사 있음 사후 장기기증 의사 없음
51.2 48.8 100.0

Mosaic Plot

집계 (오류 공지 이후)

  사후 장기기증 의사 있음 사후 장기기증 의사 없음
Red(사후 장기기증 의사 없으면 표시) 146 150 296
Black(사후 장기기증 의사 있으면 표시) 171 146 317
317 296 613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Yates’ continuity correction: .
Test statistic df P value
1.129 1 0.2879

% 비교

  사후 장기기증 의사 있음 사후 장기기증 의사 없음
Red(사후 장기기증 의사 없으면 표시) 49.3 50.7 100.0
Black(사후 장기기증 의사 있으면 표시) 53.9 46.1 100.0

합산(%)

  사후 장기기증 의사 있음 사후 장기기증 의사 없음
51.7 48.3 100.0

Mosaic Plot

Thinking, Fast and Slow

Article

Facts Found

Original Article (Johnson & Goldstein 2003)

일 단위 마감 시간으로부터 제출 시간의 분포

분포표

일 단위
  [0,1] (1,2] (2,3] (3,4] (4,5] (5,6] (6,7] (7,8] (8,9] (9,10] (10,11] (11,12] (12,13] (13,14]
Red 121 32 18 13 13 2 18 48 15 28 23 7 6 15
Black 146 37 14 13 12 12 13 31 22 25 17 13 9 10
Pearson’s Chi-squared test with simulated p-value (based on 2000 replicates): .
Test statistic df P value
20.35 NA 0.08246

막대그래프

Mosaic Plot